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서울 외환시장이 달러 강세와 외국인 매도 공세 속에 요동치고 있다. 달러-원 환율이 1,450원선을 코앞에 두고 급등하며 당국의 개입 가능성이 시장의 최대 관심사로 부상했다.
11월5일 서울 외환시장에 따르면 달러-원 환율은 전일 대비 8.10원 오른 1,446.00원에 출발해 장중 1,449.50원까지 치솟았다. 정규장 기준으로는 지난 4월 11일(1,457.20원) 이후 7개월 만의 최고치다. 이틀 연속 10원 가까이 상승한 데 이어 최근 3거래일 동안 약 25원 급등하면서 당국이 경계하던 변동성 수준에 근접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 1,430원→1,450원 돌파 직전…‘구두개입’ 경계 레벨 재부상
외환당국은 지난달 13일, 환율이 단기간 30원 급등하며 1,430원대로 진입하자 1년 6개월 만에 공동 구두개입에 나선 바 있다. 당시 “원화 변동성 확대 과정의 쏠림을 경계한다”고 경고했지만, 이후 환율은 1,440원대까지 추가 상승하며 경고의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됐다.
시장에서는 1,450원대가 실질적 개입 레벨로 인식되고 있다. 한 시중은행 외환딜러는 “1,430원대는 예고 수준이었고, 1,450원선을 위협하면 물리적 개입 가능성이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 달러 강세+외국인 매도 겹쳐…원화 압력 ‘이중 충격’
이번 급등은 글로벌 달러 강세에다 코스피 급락이 맞물린 결과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이날 2조3천억 원을 순매도했고, 전날에도 2조2천억 원을 팔아치웠다. 증시 자금 유출이 원화 약세 압력을 더한 셈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글로벌 달러화 강세가 주된 배경이며, 당국은 특정 환율 레벨 방어보다는 변동성 완화·속도 조절에 초점을 맞출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현재 수급은 양방향 균형을 이루고 있지만, 증시 약세가 이어질 경우 외국인 매도가 지속되며 원화 절하가 가속화될 위험이 있다. 또 다른 딜러는 “1,450원은 상징적인 저항선이지만, 원화만 약세가 아닌 상황이라면 당국도 일시적 고평가 구간을 용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