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장관 전재수)가 항만 무탄소화를 위한 핵심 장비 보급에 본격 나선다. 해양수산부(장관 전재수)가 항만 무탄소화를 위한 핵심 장비 보급에 본격 나선다. 해수부는 오는 9월 12일 부산항 신항에서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사들을 대상으로 국산 전기 야드트랙터 실증 성과를 공유하고, 향후 보급 확대 방안을 논의하는 간담회를 개최한다고 25일 밝혔다. 야드트랙터는 항만 내에서 컨테이너를 이동시키는 대표적인 하역장비로, 지금까지는 대부분 경유나 LNG를 연료로 사용해왔다. 해수부는 올해부터 ‘항만 무탄소화 전환 지원 사업’을 추진하며, 국산 전기 야드트랙터를 최초로 항만 현장에 도입하기 위해 7월부터 부산항 신항 4부두에서 실증 운행을 진행해왔다. 이번 간담회에서는 전기 야드트랙터의 성능, 내구성, 배터리 안전성, 충전 편의성 등 항만 현장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집중 검증한 결과가 공유된다. 아울러 실제 장비 시연을 통해 운영사들이 직접 성능을 확인할 수 있는 기회도 마련된다. 해수부는 오는 9월 19일부터 항만 운영사를 대상으로 장비 도입 공모를 진행한다. 선정된 부두에는 도입 비용의 50%(국비 25%, 항만공사 25%)가 지원된다. 이를
캠핑과 ‘불멍’ 열풍 속에서 수요가 급증한 휴대용 에탄올 화로에 대해 정부가 별도 안전기준을 마련했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원장 김대자)은 화재사고와 신체 부상 방지를 위해 휴대용 에탄올 화로를 `KC 안전기준 준수대상 생활용품`으로 지정하고, 관련 안전기준을 신설했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원장 김대자)은 화재사고와 신체 부상 방지를 위해 휴대용 에탄올 화로를 ‘KC 안전기준 준수대상 생활용품’으로 지정하고, 관련 안전기준을 신설했다고 25일 밝혔다. 휴대용 에탄올 화로는 전기나 가스 연결 없이 에탄올 연소로 불꽃을 발생시키는 제품으로, 캠핑이나 실내 장식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하지만 불꽃이 꺼진 것으로 착각한 상태에서 연료를 주입하거나, 사용 중 제품이 쓰러져 연료가 흘러나오는 사고가 빈번히 발생했다. 실제로 2022년부터 올해 6월까지 화재 40건, 부상 12명이 보고됐다. 이번에 마련된 안전기준에는 ▲연료 주입장치·점화장치 의무화 ▲제품 전도 방지 설계 ▲표면 재질별 최고 온도 제한 등이 포함됐다. 이를 통해 사용자 부주의로 인한 화재 위험과 화상 사고를 최소화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중소벤처기업부(장관 한성숙)가 소상공인의 혁신성과 경쟁력을 겨루는 ‘강한 소상공인 파이널 오디션’을 25일부터 28일까지 광명 아이벡스 스튜디오에서 개최한다. 이번 무대는 한국 소상공인이 세계적(글로벌) 혁신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한 데뷔 무대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메인 STAGE (파이널 오디션 피칭) ‘강한 소상공인’ 사업은 소상공인이 창작자나 창업기업과 협업해 기존 제품과 서비스를 혁신하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지난 5월 열린 1차 오디션에는 총 7,147개 기업이 참여했으며, 이 가운데 160개 기업이 선정돼 기업당 최대 6천만 원의 사업화 자금을 지원받았다. 이번 파이널 오디션에서는 1차 선정 기업 160곳 중 혁신성과 성장성이 높은 60개 기업을 최종 선발한다. 선정 기업은 ‘라이콘(LICORN·Lifestyle & Local Innovation uniCORN)’이라 불리며, 각 기업은 최대 4천만 원의 추가 사업화 자금을 지원받는다. 또한 국내외 판로 개척, 투자·융자 연계 등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종합적 지원을 받는다. 행사 기간 동안에는 공
여행과 브이로그 촬영 등에서 활용되는 ‘액션카메라’의 주요 제품 간 성능 차이가 크다는 시험평가 결과가 나왔다. 한국소비자원의 액션카메라 구매‧선택가이드 한국소비자원(원장 윤수현)은 25일 액션카메라 6개 브랜드 제품을 대상으로 화질, 배터리 성능, 방수, 내환경 성능 등 품질과 안전성을 비교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비교정보는 ‘소비자24’ 내 ‘비교공감’ 코너를 통해 제공될 예정이다. 소비자원에 따르면 화질과 흔들림 안정성(EIS)에서는 고프로 ‘히어로13 블랙’, DJI ‘오즈모 액션5 프로’, 인스타360 ‘에이스 프로2’ 등 3개 제품이 상대적으로 우수했다. 다만, 유프로 ‘프리미엄2’, 내셔널지오그래픽 ‘액션캠 프로’, 에이스원 ‘엑스프로3 듀얼’ 등 일부 제품은 광고한 최대 화각보다 18~32도 좁게 촬영돼 표시·광고 개선 권고를 받았다. 최고 해상도(5.3K·8K) 촬영 시에는 고프로와 인스타360 제품이 일정 시간 후 과열 보호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연금통계」에 따르면, 고령층의 연금 수급은 확대되고 있는 반면 청년층의 연금 가입률은 낮아지는 추세로 나타났다. 2023년 연금통계 결과 전문가들은 이번 결과가 현재 세대의 노후 안전망은 강화되고 있지만, 미래 세대의 준비 부족을 시사한다고 평가했다. 올해 65세 이상 인구 중 연금을 1개 이상 수급한 사람은 863만6천명으로 전년 대비 5.6% 증가했다. 수급률은 전체 고령 인구의 90.9%에 달하며, 수급자의 월평균 수급액은 69만5천원으로 6.9% 늘었다. 성별로는 남성이 90만1천원, 여성은 59만여원을 받았고, 연령대별로는 65~69세가 80만7천원으로 가장 많았다. 주택 소유자(87만3천원)와 등록취업자(77만9천원)도 비교적 높은 수급액을 기록했다. 반면 18~59세 연금 가입자는 2,374만1천명으로 전년보다 9만8천명 줄었다. 가입률은 81.0%로 소폭 상승했으나, 18~29세 청년층 가입자는 439만명으로 감소해 가입률이 63.5%에 머물렀다. 30~39세는 88.2%, 40~49세는 86.0%, 50~59세는 85.5%로 중·장년층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이었다. 가입자의 월평균 보험료는 34만4천원으로
행정안전부(장관 윤호중)는 26일 「행정안전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개정령과 시행규칙 개정을 공포·시행하며 경찰국 폐지 절차를 공식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이 2022년 7월25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별관 브리핑룸에서 경찰국 신설 관련 총경회의에 대한 행정안전부 입장문 발표를 하고 있다. 경찰국 폐지안은 지난 18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됐으며, 이날 시행으로 설치 2년여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됐다. 행안부는 “경찰국은 설치 과정에서 경찰 내부의 강한 반발과 대국민 공감대 부족 등 운영상 논란이 지속돼왔다”며 “경찰의 독립성과 정치적 중립성을 보장하기 위해 조속한 폐지가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충분히 형성됐다”고 설명했다. 경찰국이 폐지되더라도 자치경찰 지원 등 주요 기능은 신설 이전 소관 부서로 이관돼 차질 없이 이어진다. 윤호중 행안부 장관은 “취임 이후 속도감 있게 추진한 경찰국 폐지 작업을 마무리하며 비로소 경찰 조직 정상화에 한 걸음 더 다가섰다”며 “앞으로도 경찰의 독립성과 민주적 통제를 강화해 경찰이 오직 시민의 안전과 행복을 위해 봉
행정안전부(장관 윤호중)가 인구감소지역의 활력을 높이기 위해 ‘생활인구 등록제’를 도입한다. 행안부는 생활인구 활성화 정책이 지역에서 적극 추진될 수 있도록 관련 근거를 담은 ‘생활인구 확대 지원 등에 관한 참고조례안’을 인구감소지역 89개 지자체에 25일 제공했다고 밝혔다. 행정안전부 생활인구는 기존의 정주인구 개념을 넘어, 해당 지역에 일정 기간 체류하면서 소비·활동을 통해 활력을 불어넣는 사람들을 포함한다. 행안부는 지난해부터 「인구감소지역 지원 특별법」에 따라 생활인구를 산정·발표해 왔다. 참고조례안에는 지자체가 지역 특성에 맞는 생활인구 정책을 수립·시행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담겼다. ▲생활인구 등록제 도입 및 운영, ▲생활인구 확대 지원 사업 추진,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등이 주요 내용이다. 시장·군수·구청장은 지역 고유의 생활시·군·구민 명칭을 지정해 생활인구 등록제를 시행할 수 있으며, 등록자에게는 연간 행사·축제 일정 제공, 숙박·교통 지원, 맞춤형 정책 등 다양한 혜택이 주어진
소방청(청장 허석곤)은 올해 여름철 폭염으로 인한 온열질환 구급 출동 건수가 총 2,866건에 달했다고 25일 밝혔다. 소방청(청장 허석곤)은 올해 여름철 폭염으로 인한 온열질환 구급 출동 건수가 총 2,866건에 달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37배 늘어난 수치로, 집중호우 이후 이어진 기록적 폭염이 국민 건강에 직접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소방청이 공개한 119구급활동 통계(8월 12일 기준)에 따르면 연령별로는 60대 이상 고령층이 전체 환자의 57.8%(1,644명)를 차지해 가장 큰 비중을 보였다. 성별로는 남성이 72.0%(2,047명)로 여성(27.9%, 793명)보다 약 2.5배 많았다. 발생 시간대는 정오~오후 3시 32.2%(924명), 오후 3시~6시 30.0%(862명)로, 이 시간대 환자가 전체의 62.3%를 차지했다. 소방청은 “한낮 야외 활동과 고온 노출이 주요 위험 요인”이라고 분석했다. 발생 장소별로는 ‘집’ 20.3%(575명), ‘도로 외 교통지역’ 18.4%(522명), ‘바다·강·산&mid
앞으로 자전거도로와 숲길에서도 도로명을 통해 쉽게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행정안전부(장관 윤호중)는 「도로명주소법 시행령」 개정안이 공포돼 26일부터 시행된다고 밝혔다. 앞으로 자전거도로와 숲길에서도 도로명을 통해 쉽게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번 개정으로 「자전거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에 따른 자전거도로가 도로명 부여 대상에 명확히 포함됐다. 그동안 일부 자전거도로는 「도로법」에 따른 도로에 해당돼 도로명이 부여됐으나, 법적 근거가 불분명한 구간도 있어 개선 필요성이 제기돼 왔다. 또한, 숲길과 자전거도로의 도로구간 설정 기준도 합리화됐다. 기존에는 일반도로와 겹치지 않게 도로구간을 분절해야 해 ‘자전거길’, ‘탐방로’ 등 국민에게 친숙한 노선명을 도로명에 반영하기 어려웠다. 개정된 시행령은 자전거도로와 숲길에 예외를 적용해 기존 노선의 연속성을 도로명에 담을 수 있도록 했다. 행안부는 2021년부터 강·하천변 자전거도로에 도로명을 부여하며 위치 안내와 공중화장실, 휴게소 등 시설 관리에 활용해왔다. 2025년 8월 기준으로 전국 688개 구간이 도로명 부여를 완료했다. 김민재 행정안
경찰청(청장 직무대행 유재성)이 가정폭력·아동학대·스토킹·교제폭력 등 이른바 ‘관계성 범죄’에 대응하기 위한 종합대책을 내놓았다. 최근 관계성 범죄가 살인으로 비화하는 사건이 연이어 발생하자 기존 정책을 전면적으로 고도화하고 입법 보완에 나선 것이다. 경찰청(청장 직무대행 유재성)이 가정폭력 · 아동학대 · 스토킹 · 교제폭력 등 이른바 `관계성 범죄`에 대응하기 위한 종합대책을 내놓았다. 경찰은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발생한 살인사건 가운데 선행 여성폭력이 확인된 70건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11개 정책 과제를 마련했다. 우선, 재범 고위험군 가해자를 전자발찌·유치·구속 등을 통해 격리하고, 접근금지 처분을 받은 경우 기동순찰대를 집중 배치한다. 앞으로는 접근금지 위반을 자동으로 인식해 경찰에 통보하는 ‘자동신고 앱’을 개발해 신고 부담이 큰 피해자 보호에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피해자 보호도 한층 강화된다. 가해자 격리 조치가 기각되거나 종료되면 피해자 점검을 의무화하고, 민간 경호·지능형 CCTV 등 안전조치를 지원한다. 여성가족부와 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