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국내 증시가 마침내 ‘4,000 코스피’ 시대를 열었다. 10월27일 코스피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01.24포인트(2.57%) 오른 4,042.83에 마감했다. 지난 6월 3000선을 넘어선 지 불과 4개월 만의 1,000포인트 상승이다. 이는 한국 증시 역사상 최단 기간 상승폭 중 하나로 기록됐다. 이날 장 초반 3,999선에서 출발한 코스피는 개장 직후 4,000선을 돌파한 뒤, 3시간도 채 지나지 않아 4,030선을 넘어섰다. 오후 들어 상승폭을 키우며 장중 한때 4,047.81까지 오르기도 했다. 시장에서는 “‘미증유’의 상승 랠리가 본격화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상승장의 중심에는 외국인 투자자가 있었다. 외국인은 이날 하루에만 유가증권시장에서 6,455억 원어치를 순매수하며 랠리를 주도했다. 기관투자자도 2,340억 원을 사들이며 상승세에 힘을 보탰다. 특히 외국인은 삼성전자(5,182억 원) 와 SK하이닉스(831억원)를 집중 매수했다. 삼성전자는 3.24% 올라 10만2천 원을 기록, 상징적인 ‘10만전자’를 재탈환했다. SK하이닉스 역시 4.9% 급등(53만5천원) 하며 사상 최고가를 새로 썼다. 이달 들어 외국인 순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한국 증시가 사상 처음으로 코스피 4,000 고지를 돌파하며 새로운 역사를 썼다. ‘코리아 디스카운트’로 불렸던 한국 시장이 기업 거버넌스 개혁과 외국인 자금 유입, 반도체 호황이라는 세 축을 바탕으로 구조적 상승기에 진입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10월27일 코스피 지수는 장중 한때 4,024.35를 기록하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재명 정부가 공약으로 내세운 ‘5천피(코스피 5000)’ 달성 목표도 가시권에 들어왔다는 평가다. ■ 정권 교체 이후 반전…“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본격화” 대선 이전 6월2일 2,698.97이던 코스피는 불과 넉 달 만에 4,000선을 돌파했다. 그간 ‘저평가’라는 꼬리표가 붙었던 한국 증시가 거버넌스 개선·정책 신뢰 회복·글로벌 유동성 확장이라는 삼박자를 맞추며 ‘정권 교체 이후 반등장’을 완성한 것이다. 증권가에서는 이번 상승이 단순한 경기 반등이 아니라 “한국 자본시장의 체질 변화”라는 평가를 내놓고 있다. 한 대형 증권사 리서치센터장은 “상법 개정을 통한 기업 지배구조 투명화와 주주 권익 보호 강화가 외국인 신뢰 회복의 결정적 계기가 됐다”며 “한국 증시가 이제 선진시장형 구조로 재편되고 있다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코스피 4,000 시대’를 연 상승 랠리의 배경에는 외국인 매수세뿐 아니라 기업들의 자사주 매입(자기주식 취득)이 있었다. 올해 들어 10월까지 상장사들의 자사주 순취득 규모는 18조1000억원으로, 이미 지난해 연간 규모(9조5000억원)의 두 배 가까이 치솟으며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 “자사주 매입, 증시의 숨은 하방 지지선 역할” 이 같은 대규모 자사주 매입은 시장 전반의 수급 안정에 결정적 역할을 했다. 유통주식 수를 줄임으로써 주당순이익(EPS)을 높이고, 시장 내 매물 부담을 완화하는 ‘완충 장치(Buffer)’ 역할을 한 것이다. 특히 코스피가 4,000선을 돌파하며 밸류에이션(Valuation) 부담이 커진 상황에서 자사주 소각 효과로 PER(주가수익비율)이 낮아져 주가 상승 여력이 확대되는 ‘밸류에이션 방어막’으로 작용했다. 증권가에서는 내년에도 자사주 매입·소각이 증시의 핵심 수급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상법 개정으로 자사주 소각 의무화 제도가 도입되면 기업의 주주환원 정책이 한층 강화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한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과거처럼 경영권 방어용으로 자사주를 쌓아두는 시대는 끝나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코스피 4,000 시대’가 마침내 열렸다. 연중 최고치를 경신하며 사상 처음 4,000선을 돌파한 국내 증시는 과열 논란 속에서도 AI·반도체 주도의 실적 장세와 풍부한 유동성을 기반으로 내년에도 상승세를 이어갈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 “내년에도 랠리 지속”…증권사들, ‘4,000 중반’ 전망 10월27일 주요 증권사들이 발표한 2026년 증시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증권사들은 내년 코스피 상단을 평균 4,000선 초중반으로 제시했다. 예상 밴드는 3,300~4,350포인트로, 전년 대비 추가 상승 여력을 남겼다. 가장 낙관적인 전망을 내놓은 대신증권은 코스피가 4,400선에 근접할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 증권사는 “글로벌 정책 공조, AI·반도체 중심의 실적 개선(EPS 레벨업)이 지수 상승을 주도할 것”이라며 “한국 증시는 기술주 중심의 글로벌 성장 사이클에 편입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신영증권과 상상인증권은 나란히 4,350선을 상단으로 제시했다. 신영증권은 “2026년 코스피 예상 자기자본이익률(ROE) 10.6%에 근거한 적정 주가순자산비율(P/B)을 반영했다”며, “실적 기반의 상승이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상상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국내 증시가 외국인과 기관의 대규모 매수세에 힘입어 사상 처음으로 3950선을 돌파했다. AI 반도체 호황과 2차전지 업종 강세, 미·중 정상회담 확정에 따른 위험자산 선호 확대가 맞물리며 투자심리가 급반등했다. 10월2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96.03포인트(2.50%) 오른 3941.59에 거래를 마쳤다. 장중 한때 3951.07까지 치솟으며 사상 최고치를 새로 썼다.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5,689억 원, 1조 4,972억 원을 순매수한 반면, 개인은 2조 923억 원을 순매도하며 차익을 실현했다. ■ 반도체·2차전지·전력기기 강세…AI 업황 기대감 반영 이날 상승세를 주도한 것은 반도체와 2차전지, 전력기기 업종이었다. 삼성전자(2.38%)와 SK하이닉스(6.58%)가 나란히 강세를 보이며 지수 상승을 견인했고, LG에너지솔루션(9.94%), 두산에너빌리티(6.03%), HD현대중공업(2.95%) 등 전기·전자·에너지 관련 종목들도 일제히 상승했다. 대신증권은 “인텔이 구글·엔비디아와의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빠른 실적 개선세를 보이고 있으며, AI 반도체 시장에서 2026년까지 수요가 공급을 초과할 것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코스피가 장중 3,900선을 돌파하며 사상 최고치를 다시 경신했다. 미국 뉴욕증시 3대 지수가 모두 상승한 데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회담 일정이 발표되며 위험자산 선호심리가 살아난 영향이다. 10월24일 오전 9시13분 기준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48.20포인트(1.25%) 오른 3,893.76을 기록했다. 장중 한때 3,903.81까지 오르며 또 한 번의 신고가를 썼다. 전날 잠시 숨 고르기에 들어갔던 코스피는 이날 다시 상승세로 전환했다. 지난밤 미국에서는 S&P500(0.58%), 나스닥(0.89%), 다우지수(0.31%) 등 3대 지수가 일제히 상승, 글로벌 투자심리에 긍정적 신호를 보냈다. 이번 상승세는 미·중 정상회담 소식이 촉발한 ‘리스크온(Risk-on)’ 전환이 주된 배경이다.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28일 일본 도쿄에서 다카이치 사나에 신임 일본 총리를 만난 뒤, 29일 부산에서 이재명 대통령과 회담하고, 30일 한국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을 가질 예정이라고 밝혔다. 미·중 무역협상 재개에 대한 기대감은 글로벌 증시 전반의 위험자산 선호를 자극했다. 이에 따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6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던 코스피가 10월23일 숨 고르기에 들어갔다. 장중 사상 처음 3900선을 돌파했으나 오후 들어 상승 폭을 반납하며 하락 마감했다. 10월23일 코스피는 전일 대비 38.12포인트(0.98%) 내린 3,845.56으로 장을 마쳤다. 코스닥지수는 7.12포인트(0.81%) 하락한 872.03으로 거래를 마감했다. 이날 코스피는 오전 11시 53분 장중 3,902.21까지 치솟으며 사상 첫 3,900선 돌파 기록을 세웠지만, 정오를 기점으로 매도세가 확대되며 상승분을 대부분 반납했다. 개인은 7,502억 원 규모의 순매수를 보이며 지수를 방어했지만, 외국인(4,071억 원)과 기관(4,000억 원)의 동반 매도세에 밀렸다. 이 같은 하락 흐름 속에서도 전기·전력 관련주가 시장을 주도했다. LS일렉트릭은 3분기 ‘어닝 서프라이즈’를 발표하며 전날 대비 14.87% 급등, 36만7천 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3분기 영업이익은 1,008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1.7% 증가했다. HD현대일렉트릭도 8.75% 오른 74만6천 원에 마감했다. 3분기 영업이익은 2,471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1% 증가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코스피가 사상 최고치 랠리를 이어가는 가운데, 옵션 시장이 ‘과열 신호’를 보내고 있다. 지수의 급등세에 맞춰 콜옵션 내재변동성(IV, Implied Volatility)이 10년래 최고 수준으로 치솟으며, 시장 불확실성이 극단적으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10월23일 뱅크오브아메리카(BofA) 글로벌 리서치에 따르면, 최근 코스피 콜옵션 내재변동성이 지난 10년간 관측치 중 상위 1% 구간에 도달했다. 이는 올해 4월 미국발 관세 폭탄으로 증시가 폭락했던 이른바 ‘해방의 날’, 그리고 지난해 8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최악의 폭락장으로 불린 ‘검은 월요일’과 유사한 수준이다. 내재변동성은 옵션 가격을 결정짓는 핵심 변수로, 시장 참여자들이 향후 지수 변동폭을 얼마나 불확실하게 보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다. 즉, 변동성이 높아질수록 “미래의 코스피 흐름을 예측하기 어렵다”는 시장 인식이 커졌다는 뜻이다. BofA는 이번 급등의 배경으로 가파른 코스피 상승세가 시장의 불확실성을 오히려 자극한 점을 지목했다. 코스피는 9월 초 3,142.93에서 전날 3,883.68까지 오르며 두 달도 채 안 되는 기간에 23.57% 급등, 신고점을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코스피가 미국 증시 급락의 충격을 고스란히 반영하며 약세 출발했다. 장 초반 한때 3,800선이 위태로웠지만, 기관의 일부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며 간신히 하락폭을 제한하는 모습이다. 10월22일 코스피는 오전 9시4분 현재 전일 대비 60.15포인트(1.55%) 하락한 3,823.53을 기록했다. 장 초반부터 매도세가 강하게 유입되며 지수는 3,800선 초반에서 등락을 거듭하고 있다. 전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주요 3대 지수는 일제히 하락했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 전장보다 334.33포인트(0.71%) 하락한 46,590.41,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35.95포인트(0.53%) 하락한 6,699.40, 나스닥종합지수: 213.27포인트(0.93%) 떨어진 22,740.40에 장을 마쳤다, 투자심리 악화의 주요 요인으로는 △미국과 중국 간 무역 갈등 재점화 우려, △미국 기술주 중심 버블 붕괴 가능성이 꼽힌다. 특히, 테크기업 실적 부진과 금리 불확실성이 맞물리며 글로벌 위험자산 선호심리가 빠르게 위축된 것으로 분석된다. 국내 증시에서도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대표주가 동반 약세를 보였다.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10월22일 코스피가 장 초반 약세를 보인 뒤 기관 매수세에 힘입어 1% 넘게 상승 마감했다. 장중 미중 관계 긴장과 차익실현 매물로 출발은 불안했지만, 오후 들어 기관의 대규모 매집세가 유입되면서 ‘전약후강(前弱後强)’ 흐름이 뚜렷했다. 이날 코스피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59.84포인트(1.56%) 오른 3,883.68에 마감했다. 거래 초반 차익실현과 미중 갈등 경계감이 시장을 눌렀으나, 기관투자가들이 7,600억 원을 순매수하며 지수를 견인했다. 기관은 이날 포함 3거래일 연속 순매수를 이어가며 이 기간 누적 매수 규모는 1조5천억 원 이상에 달했다. 반면 개인은 540억 원, 외국인은 7,200억 원을 각각 순매도했다. 시장에서는 “기관이 저가 구간에서 주도권을 다시 가져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 중에서는 한화오션이 9.69% 급등하며 눈에 띄는 상승세를 보였다. 이어 LG에너지솔루션(4.00%), 한화에어로스페이스(3.39%), HD현대중공업(3.20%) 등 방산·조선·2차전지 관련 종목들이 상승 흐름을 이끌었다. 삼성전자(1.13%)와 SK하이닉스(0.52%)도 상승 마감하며 반도체주 강세 기조를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