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타임스 전영진 기자 | 하나은행은 2025년 3분기 누적 은행권 퇴직연금 적립금 증가 1위를 달성했다고 22일 밝혔다. 금융감독원 통합연금포탈 퇴직연금 비교공시에 따르면, 2025년 9월말 하나은행의 퇴직연금 적립금은 총 44조 1083억원으로, IRP 2조 6583억원과 확정기여형(DC) 1조 1586억원 증가에 힘입어 전년말 대비 3조 8349억원 증가했다. 하나은행은 지난 2023년과 2024년 2년 연속 전 금융권에서 퇴직연금 적립금 증가 1위를 기록한 데 이어 2025년에도 매분기마다 은행권 적립금 증가 1위를 달성하며, '퇴직연금 1등 은행'으로서 위상을 공고히 하고 있다. 더불어, 하나은행은 2025년 3분기 확정기여형(DC) 원리금비보장 부문 운용 수익률에서도 17.18%로 시중은행 1위를 기록했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이러한 꾸준한 성과는 대면과 비대면을 아우르는 하나은행만의 차별화된 손님 맞춤형 연금자산관리 서비스 제공의 결과"라고 설명했다. 한편, 하나은행은 오는 27일부터 11월 말까지 손님의 퇴직연금 수익률 제고를 위한 '가을 빛 혜택! 연금 어썸 리워즈' 이벤트를 진행한다.
 
								경제타임스 여원동 기자 | SK텔레콤이 넷플릭스 예능 ‘피지컬: 아시아’와 협업한 체험형 팝업 전시 ‘T-스타디움 두근득근 챌린지’를 10월 30일부터 11월 30일까지 한 달간 T팩토리 성수에서 운영한다고 밝혔다. 이번 전시는 넷플릭스 인기 예능 ‘피지컬 100’의 후속작인 ‘피지컬: 아시아’의 방영(10월 28일)을 기념해 기획된 것으로, 아시아 8개국의 피지컬 최강자들이 펼치는 서바이벌 콘텐츠를 테마로 한다. SKT는 이를 통해 관람객에게 색다른 체험 기회를 제공하고, 자사의 넷플릭스 전용 요금제 및 T 우주 구독 상품을 자연스럽게 알릴 계획이다. 전시는 T팩토리 성수의 실내외 공간을 모두 활용해 구성됐다. 방문객들은 ‘득근(근육을 얻는다는 뜻)’ 리플렛을 받고 총 5가지 피지컬 훈련 미션에 참여할 수 있다. 실외 마당에서는 ▲한발 뛰기 ‘T 우주 점핑’ ▲국기 꽂기 ‘아시아 셔틀런’ ▲밸런스 볼 위 공 튀기기 ‘균형의 승부’가 진행되며, 실내 2층에서는 ▲글러브 펀치 ‘펀치펀치 챌린지’ ▲모래주머니 옮기기 ‘근력 레이스’가 마련된다. 또한 오는 11월 24일에는 ‘피지컬: 아시아’의 메인 PD 장호기 PD가 참여하는 특별 토크쇼 ‘덕톡’도 열릴 예정이
 
								경제타임스 고은정 기자 | 'AI 시대,' ‘API’, ‘플랫폼’, ‘RAG’ 같은 용어가 난무하는 회의실에서 말문이 막힌 문과 출신 직장인들을 위한 책이 출간됐다. 『문과의 언어로 풀어낸 AI 필수 용어 56』(저자 남규택)은 ‘AI 용어를 세상에서 가장 쉽고 간결하게 설명하겠다’는 목표로 탄생한 책이다. 이 책은 20년 넘게 브랜드와 서비스를 소비자의 언어로 풀어온 마케팅 전문가이자 경영자인 저자가 기술과 비기술 사이의 ‘이해의 간극’을 메우기 위해 쓴 결과물이다. 복잡한 전문용어 대신 일상적 비유로 AI와 디지털 개념을 설명해, 기술 배경이 없는 사람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책의 가장 큰 특징은 ‘생활 속 비유로 푼 기술 언어’다. 예를 들어 저자는 ‘API’를 “주민센터에서 주민등록등본을 신청할 때 쓰는 서류 신청서”에 빗댄다. 정해진 양식에 따라 정보를 제출하면 원하는 서류를 받듯, API도 일정한 형식으로 요청하면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또한 ‘VAE’를 ‘몽타주 전문가가 단편적인 증언으로 얼굴을 복원하는 과정’에 비유해 독자가 개념을 한눈에 그릴 수 있도록 돕는다. 저자는 “검색창에 ‘API란?’을 쳐보면 수많은 정의가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넷마블이 자사의 대표 MMORPG인 ‘블레이드 & 소울 레볼루션’(개발: 넷마블에프앤씨)에 신규 통합 전장 ‘혈풍지대’를 10월28일 업데이트했다. 이번 대규모 콘텐츠는 PvE(플레이어 대 환경)와 PvP(플레이어 간 전투)를 동시에 즐길 수 있도록 설계돼, 전투 중심의 이용자 경험을 극대화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혈풍지대는 △혈풍평야 △혈풍구릉지 △혈풍고원 등 3개 지역으로 구성돼 있다. 혈풍평야는 서버 단위 PvE 전용 지역으로, 비교적 안전한 성장 구간이다. 혈풍구릉지는 PvE와 PvP가 혼합된 지역으로, 유저 간 충돌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중간 단계다. 혈풍고원은 통합 서버 단위의 PvE·PvP 전장으로, 대규모 세력전이 펼쳐지는 핵심 무대다. 특히 혈풍고원에서는 서버를 초월한 통합 전투가 가능해, 기존 서버 단위 경쟁에서 한층 확장된 전략적 세력 간 분쟁이 예상된다. 이는 넷마블이 강조해온 ‘대규모 참여형 전투 경험’을 실현하는 핵심 콘텐츠로 해석된다. 혈풍지대에는 세력 필드 보스와 중립 필드 보스가 공존한다. 적 세력의 공격을 견뎌내며 보스를 처치하면 ‘신화 장비 승급 도안’을 일정 확률로 획득할 수 있다. 이 시스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한국경제가 3분기(7~9월) 들어 내수 회복과 설비투자 반등에 힘입어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성장세를 기록했다. 10월2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5년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속보치’에 따르면 전분기 대비 1.2% 성장하며, 지난해 1분기(1.2%) 이후 6분기 만에 가장 높은 성장률을 달성했다. 이는 2분기 성장률(0.7%)보다 크게 개선된 수치로, 한국은행이 5월 경제전망에서 제시한 1.1% 성장 전망을 소폭 상회했다. 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도 1.7%로, 시장 예상치(1.5%)를 웃돌았다. ■ 민간소비·설비투자 회복…‘내수의 부활’이 주도 3분기 성장세의 핵심은 내수 회복이었다. 민간소비는 전분기 대비 1.3% 증가하며 2022년 3분기 이후 3년 만에 가장 높은 증가폭을 보였다. 자동차·통신기기 등 내구재 소비와 음식점·의료 등 서비스 소비가 함께 늘며, 소비 회복세가 ‘물건+서비스’ 전방위로 확산됐다. 정부소비도 건강보험 급여비·공공행정비 증가에 힘입어 1.2% 증가했다. 한은 분석에 따르면 3분기 성장률(1.2%) 중 민간 부문이 0.8%포인트(p), 정부 부문이 0.4%p를 각각 기여했다. 민간의 성장기여도는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주택가격전망심리지수(CSI, Consumer Survey Index for Housing Price Outlook)는 한국은행이 매월 실시하는 소비자동향조사에서 향후 1년간 집값이 오를지, 내릴지에 대한 가계의 기대를 수치화한 지표다. 응답자는 “상승”, “보합”, “하락”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며, 이를 확산지수(Diffusion Index) 방식으로 가공해 장기평균을 100으로 표준화한다. 100을 웃돌면 ‘오를 것’이라는 응답이 상대적으로 많다는 뜻이고, 100 밑으로 떨어지면 하락 전망이 우세하다는 의미다. 본 지표는 가격의 ‘방향성’에 대한 심리를 포착한다. 실제 거래가격이나 지수처럼 실물 변수를 직접 측정하지 않지만, 시장 참여자의 기대를 선행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정책 당국과 시장이 동시에 주목한다. 통상 매매거래·호가·분양시장 심리와 동행하거나 1~2개월 선행하는 경향이 관찰되며, 급등·급락 구간에서는 매수·전세 수급 지표와의 괴리가 확대되기도 한다. 조사 범위는 전국 가계로, 표본은 지역·소득·가구 특성을 고려해 추출된다. 다만 응답 시점의 뉴스·정책 발표·금리·환율 변동 등 정보 노출에 민감하고, 지역별 편차를 한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코스피 4,000 시대’가 마침내 열렸다. 연중 최고치를 경신하며 사상 처음 4,000선을 돌파한 국내 증시는 과열 논란 속에서도 AI·반도체 주도의 실적 장세와 풍부한 유동성을 기반으로 내년에도 상승세를 이어갈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 “내년에도 랠리 지속”…증권사들, ‘4,000 중반’ 전망 10월27일 주요 증권사들이 발표한 2026년 증시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증권사들은 내년 코스피 상단을 평균 4,000선 초중반으로 제시했다. 예상 밴드는 3,300~4,350포인트로, 전년 대비 추가 상승 여력을 남겼다. 가장 낙관적인 전망을 내놓은 대신증권은 코스피가 4,400선에 근접할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 증권사는 “글로벌 정책 공조, AI·반도체 중심의 실적 개선(EPS 레벨업)이 지수 상승을 주도할 것”이라며 “한국 증시는 기술주 중심의 글로벌 성장 사이클에 편입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신영증권과 상상인증권은 나란히 4,350선을 상단으로 제시했다. 신영증권은 “2026년 코스피 예상 자기자본이익률(ROE) 10.6%에 근거한 적정 주가순자산비율(P/B)을 반영했다”며, “실적 기반의 상승이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상상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스위스 제약 대기업 노바티스(Novartis)가 미국 바이오테크 기업 에비디티 바이오사이언스(Avidity Biosciences, NAS:RNA)를 약 120억달러(약 16조원)에 인수하기로 합의했다. 10월26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노바티스는 에비디티 바이오사이언스 주주들에게 주당 72달러를 현금으로 지급하기로 했다. 이는 지난 24일 종가 대비 46%의 프리미엄을 반영한 금액이다. 에비디티 바이오사이언스는 리보핵산(RNA) 치료제 개발에 특화된 기업으로, 특히 근육 조직에 RNA 치료제를 전달하는 플랫폼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올해 들어 주가가 약 70% 급등하며 시장의 기대를 모아왔다. 노바티스는 이번 인수를 통해 RNA 기반 치료제 포트폴리오를 확대하고 R&D 역량을 강화할 방침이다. 회사는 올해 초 미국 내 인프라 확충을 위해 230억달러(약 32조원)를 투자하겠다고 밝힌 바 있으며, 샌디에이고에 두 번째 연구개발 허브를 건설 중이다. 바스 나라시만(Vas Narasimhan) 노바티스 최고경영자(CEO)는 성명을 통해 “에비디티 바이오사이언스는 근육 조직에 RNA 치료제를 전달하는 업계 최고 수준의 프로그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지난 10월28일(현지시간) 미국 나스닥에서 애플(NAS:AAPL)은 장중 주가가 약 269.87달러까지 올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시가총액 4조 달러(약 4조 미국달러) 클럽에 가입했다. 이는 반도체 강자 NVIDIA Corporation, 그리고 마이크로소프트에 이어 세 번째로 4조 달러를 넘은 기업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애플은 이날 오전 한때 주가가 268.54달러까지 올랐고, 이는 애플의 전통적인 주가 저항선이었던 260~270달러 구간을 무너뜨리는 결정적인 흐름으로 해석된다. 이는 아이폰 17 판매 호조, 서비스·구독 사업 강화, AI 관련 기대감 등이 결합되면서 투자심리가 반등한 것이다. 그간 애플은 AI 전환 시점에서 다소 소외된 감이 있었다. 그러나 최신 아이폰 17이 미국과 중국 시장에서 예상보다 강한 반응을 보이면서 투자자들의 관심이 다시 회복됐다. 애플 측이 AI 생태계 확장을 위한 장기투자를 지속해온 가운데, 이번 주가 상승은 “기술 기업으로서의 내구성”을 시장에 확인시킨 사건으로 평가된다. 시가총액 4조 달러 시점은 단순 수치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이는 빅테크 기업 간 경쟁에서 ‘플랫폼+하드웨어+서비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코스피가 사상 처음 4,000선을 돌파한 지 하루 만에 조정을 받았다. 글로벌 주요 이벤트를 앞둔 경계 심리와 반도체 수익성 우려가 겹치면서 외국인 투자자의 대규모 차익실현 매물이 지수를 끌어내렸다. 다만, 장 후반으로 갈수록 2차전지·바이오·인터넷 등 일부 업종에 매수세가 유입되며 낙폭을 일부 만회했다. 10월28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32.42포인트(0.80%) 내린 4,010.41로 마감했다. 장중 한때 3,972.56까지 밀리며 4,000선을 내줬지만, 장 막판 일부 매수세 유입으로 하락 폭을 축소했다. 수급 면에서는 외국인이 1조 6,381억원 순매도하며 하락세를 주도했다. 반면 개인은 1조 5,735억원, 기관은 925억원을 순매수하며 방어에 나섰다. 특히 반도체 업종이 지수 하락의 중심이었다. 대만 IT 전문매체 디지타임스(Digitimes)가 “삼성전자가 HBM(고대역폭 메모리) 공급 가격을 경쟁사보다 낮게 제시했다”고 보도하자 수익성 악화 우려가 확산됐다. 이 여파로 삼성전자(-2.45%)와 SK하이닉스(-2.62%)가 동반 하락, 지수를 20포인트 이상 끌어내렸다. 이번 주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