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두천 25.8℃맑음
  • 강릉 27.3℃구름조금
  • 서울 26.6℃맑음
  • 대전 25.0℃구름많음
  • 대구 22.6℃흐림
  • 울산 23.8℃흐림
  • 광주 24.8℃구름많음
  • 부산 27.2℃흐림
  • 고창 25.2℃구름조금
  • 제주 24.5℃
  • 강화 25.7℃맑음
  • 보은 24.4℃구름많음
  • 금산 25.9℃구름많음
  • 강진군 26.3℃구름많음
  • 경주시 22.1℃흐림
  • 거제 25.3℃구름많음
기상청 제공

2025.09.16 (화)

정부, 미소금융 등 정책서민금융 재원 오는 2025년까지 5년 더 공급하는 방안 추진

정부는 내년이 기한인 정책서민금융 재원의 공급을 오는 2025년까지 5년 더 실시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재원  확충 규모는 정부가 연 1900억원, 민간 금융사는 연 2000억원씩 출연할 계획이다.

 

금융위원회는 이 같은 정책서민금융의 안정적인 재원기반 확보 방안을 23일 밝혔다. 

 

정책서민금융은 근로자햇살론, 미소금융, 햇살론17, 새희망홀씨, 햇살론youth 등이 해당된다.

 

금융위는 2021년 시행을 목표로 내년 중 관련법 개정을 추진한다.

 

지금까지의 정책서민금융 재원은 정부(복권기금)와 금융회사 출연금 1조8000억원으로, 햇살론을 2016~2020년 공급하기 위해 조달한 한시적 재원이었다. 

 

2021년 이후 공급 재원은 확보되지 않은 상태였다.

 

그러나 금융위에 따르면, 정책서민금융에 대한 정부 출연기간을 기존 2020년에서 2025년으로 5년 연장하고, 출연규모도 기존의 연 1750억원에서 연 1900억원으로 확대한다.

 

금융권은 이 기간 연 2000억원을 출연한다. 출연 주체는 은행, 보험사, 여전사, 상호금융, 저축은행 등 가계대출을 취급하는 모든 금융권이다. 부과체계는 가계대출 잔액 대비 0.02~0.03%p 수준이 된다.

 

금융권은 출연금을 부담하는 대신 정부의 보증부 대출 상품을 취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정부와 금융권이 리스크를 분담하고, 업권별 특성에 맞는 다양한 신규 서민금융상품 출시를 촉진할 수 있다.

 

휴면금융재산 이관 제도도 개편이 추진된다. 

 

기존 소멸시효가 완성된 경우에 한해 재원 활용이 가능했던 것을 '만기·최종거래일로부터 일정 기간 이상 고객의 거래가 없는 금융재산'으로 재정의하는 게 골자다. 

 

휴면 예금·보험금 외에 금융투자회사의 투자자 예탁금도 대상에 추가된다.

 

휴면금융재산이 이관되더라도 원권리자의 반환청구권은 서민금융진흥원이 영구 보장한다. 주인 찾아주기 활동 강화, 온라인을 통한 조회·반환 편의성 제고 등이 추진된다.

 

 

 



같은 섹션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