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타임스 김재억 기자 | 휴맥스(115160)는 21일 공시를 통해 자회사 위너콤의 제4회차 사모사채 발행에 대한 70억 원 규모의 채무보증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보증 기간은 2025년 10월 30일부터 2027년 10월 30일까지로 설정됐다. 이번 채무보증의 채권자는 신보 2025 제24차 유동화전문 유한회사이며, 휴맥스의 자기자본(1152억9718만655원) 대비 채무보증금액 비율은 6.07% 에 해당한다. 휴맥스는 2025년 10월 21일 이사회 결의를 통해 해당 보증을 승인했으며, 이사회에는 사외이사 1명이 참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결정으로 인해 휴맥스의 채무보증 총 잔액은 411억2000만 원에 이르게 된다.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FOMO(Fear Of Missing Out·소외에 대한 공포)는 투자자들이 급등하는 시장에서 ‘나만 기회를 놓치는 것 아닐까’ 하는 불안감에 따라 매수에 나서는 심리 현상을 의미한다. FOMO는 급등장에서 자주 등장하는 투자 심리로, 시장의 상승 흐름에서 소외되지 않으려는 불안감이 과열 매수세를 유발하는 현상이다. 주가가 이미 상당 부분 오른 상황에서도 ‘더 오를 수 있다’는 기대감이 확산되면 투자자들이 뒤늦게 진입하는데, 이때 나타나는 과열 매수세가 바로 FOMO의 전형적인 모습이다. 특히 최근처럼 인공지능(AI)·반도체·금과 같은 특정 자산이 급등하는 국면에서는 “놓치면 손해 본다”는 심리가 확산되며 합리적 판단보다 군집심리(herd behavior)가 시장을 지배하게 된다. 전문가들은 FOMO를 “탐욕이 공포를 앞서는 순간 나타나는 투자 심리”라고 평가하며, 단기적 상승세의 연료가 될 수 있지만 동시에 조정의 불씨로 작용할 위험이 있다고 경고한다.
경제타임스 여원동 기자 | 현대건설이 21일 '사우디 플랜트 프로젝트 상호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었다고 밝혔다. 지난 20일 용산구 그랜드 하얏트 호텔에서 진행된 행사에서 현대건설은 사우디에서 플랜트 자재 공급사 7곳과 MOU를 체결했다. 협력사는 △히타치에너지 KSA(초고압 가스절연개폐장치) △플로우서브 알루사이드(펌프설비) △요코가와 사우디(분석기) △레다 해저드 컨트롤(방화, 안전 및 보안 솔루션) △AVK SVM(산업용 밸브) △페트라(냉난방공조설비) △사우디 디젤(디젤 발전기)까지 총 7곳이다. 행사에는 이한우 현대건설 대표이사를 비롯한 사우디 7개사 주요 경영진들이 참석했다. 참가자들은 경영층 면담, 만찬 행사, 주요 시설 및 K-문화 체험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즐겼다. 이번 MOU는 현대건설이 지난해부터 추진한 '사우디 전략 협력사 파트너십 프로그램'의 일환이다. 이는 현대건설이 대형 석화 플랜트 사업 성공을 위한 현지화 전략으로 분석된다. 대형 석유화학 플랜트 사업은 보통 중장기 발주를 맡기기 때문에 안정적 공급을 약속받는게 중요하다. 이로써 현대건설은 사우디 내에 경쟁력을 구축하는 발판을 마련했다. 현대건설과 사우디의 인연은 각
경제타임스 이준오 기자 | 살아서 내 사망보험금을 쓰는 시대가 도래했다. 사망보험금 유동화제도란 종신보험 일부를 생전에 연금 서비스로 전환해 노후 생활비로 쓰는 제도로 10월30일부터 시행되기 때문이다. 가입금액의 일정 부분을 자동 감액해 연금 등의 방식으로 해약환급금의 차액을 지급하므로 계약자별로 해약환금금이나 유동화 조건이 상이하다. 이에 앞서 정부는 지난해 11월부터 보험금청구권 신탁을 허용하기 시작했다. 3,000만원 이상 일반 사망 보장일 경우 신탁업자를 보험 수익자로 변경한 뒤, 신탁 수익자를 처나 직계존비속으로 설정하는 방식으로 보험금을 굴릴 수 있도록 규제를 완화한 것이다. 신탁회사가 자산운용사처럼 보험 가입자의 보험금을 운용한 뒤, 가입자가 미리 정해둔 수익자에게 나눠주는 구조다. 연금 개시 시점이나 수령 기간 등 유동화 조건 결정에 어려운 노령층의 경우 보험금청구권을 보험회사에 맡기는 신탁도 투자 옵션으로 고려할 만하다. 살아 있을 때 보험사에 처와 자식에게 사망보험금을 어떻게 나눠줄지 방식을 설정해 운용·관리하는 것이다. 증권사나 자산운용사가 위탁받은 자산을 운용하는 원리와 비슷하다. 국내 시장은 아직 걸음마 단계지만 삼성생명, 교보생명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삼성중공업이 독자 개발한 한국형 LNG 화물창 ‘KC-2C’ 가 마침내 바다 위에서 기술력을 입증했다. 10월27일 삼성중공업은 “KC-2C를 탑재한 LNG 운반선이 통영 LNG기지에서 제주 애월기지까지의 첫 LNG 수송 항차를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밝혔다. 이번 항차는 한국형 화물창 기술이 실제 운항 환경에서 검증된 첫 사례로, 국내 조선산업의 기술 자립에 상징적인 의미를 남겼다. 삼성중공업은 지난해 8월 대한해운엘엔지와 KC-2C 화물창 개조 계약을 체결한 뒤 거제조선소에서 공사를 진행해 최근 가스 시운전을 완료했다. 이번에 인도된 선박은 기존 화물창을 KC-2C로 교체한 개조선으로, 상업 운항을 통해 기술 신뢰도를 확보하는 단계에 돌입했다. KC-2C는 프랑스의 GTT 화물창 시스템이 사실상 시장을 독점해온 가운데, 삼성중공업이 20년간의 LNG선 경험과 독자 설계 기술로 완성한 한국형 화물창 시스템이다. 2차 방벽 설계와 시공 방식이 개선돼 기밀성·안정성·시공 효율성이 모두 향상됐다. 삼성중공업은 2020년 실물 크기 목업(Mock-up) 시험, 2021년 거제 LNG 실증 설비 구축, 2023년에는 ‘그린누리호’ 탑재 실증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코스피가 장중 3,900선을 돌파하며 사상 최고치를 다시 경신했다. 미국 뉴욕증시 3대 지수가 모두 상승한 데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회담 일정이 발표되며 위험자산 선호심리가 살아난 영향이다. 10월24일 오전 9시13분 기준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48.20포인트(1.25%) 오른 3,893.76을 기록했다. 장중 한때 3,903.81까지 오르며 또 한 번의 신고가를 썼다. 전날 잠시 숨 고르기에 들어갔던 코스피는 이날 다시 상승세로 전환했다. 지난밤 미국에서는 S&P500(0.58%), 나스닥(0.89%), 다우지수(0.31%) 등 3대 지수가 일제히 상승, 글로벌 투자심리에 긍정적 신호를 보냈다. 이번 상승세는 미·중 정상회담 소식이 촉발한 ‘리스크온(Risk-on)’ 전환이 주된 배경이다.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28일 일본 도쿄에서 다카이치 사나에 신임 일본 총리를 만난 뒤, 29일 부산에서 이재명 대통령과 회담하고, 30일 한국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을 가질 예정이라고 밝혔다. 미·중 무역협상 재개에 대한 기대감은 글로벌 증시 전반의 위험자산 선호를 자극했다. 이에 따
경제타임스 이준오 기자 | 한진그룹이 창립 80주년을 맞아 새로운 CI를 발표하고 '그룹 비전 2045'를 선포했다. 한진그룹은 23일 서울 용산구 그랜드하얏트서울에서 창립 80주년 기념식을 갖고 다가올 100년을 향한 새로운 도약을 다짐했다. 조원태 회장은 이날 기념사에서 "창업주 회장님의 수송보국(輸送報國) 경영철학의 기틀과 선대 회장님의 헌신 속에서 새로운 물류의 길을 끊임없이 개척해왔다"고 자평한 뒤 "한진그룹의 빛나는 80년 역사는 각자 자리에서 묵묵히 역할을 다한 임직원들이 있었다"며 임직원들의 노고를 치하했다. 이어 "고객의 변함없는 사랑과 신뢰는 한진그룹 성장의 원동력"이었다며 "수송의 본질이 마음과 마음을 잇는 일임을 생각하며 국민 성원에 보답하고 고객 감동을 선사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그러면서 "각 계열사가 공유하고 있는 한진그룹 헤리티지를 바탕으로 100년, 그 이상의 시간이 지나도 더욱 사랑받는 세계 최고의 종합 물류 기업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념식에 앞서 열린 '그룹 VISION 2045' 발표식에는 조현민 한진 사장이 직접 발표에 나섰다. '그룹 VISION 2045'는 창립 100주년이 되는 204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양자컴퓨터(Quantum Computer)’는 기존의 디지털 컴퓨터가 0과 1의 이진(bit) 단위로 정보를 처리하는 것과 달리, 양자역학의 원리를 기반으로 0과 1을 동시에 표현할 수 있는 ‘양자비트(qubit)’를 활용하는 차세대 연산 시스템이다. 일반 컴퓨터가 연산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반면, 양자컴퓨터는 중첩(superposition)과 얽힘(entanglement)이라는 양자역학적 특성을 이용해 동시에 수많은 계산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특정 문제—예를 들어 대규모 암호 해독, 신소재 탐색, 기후 시뮬레이션, 금융 리스크 분석 등—에서는 기존 슈퍼컴퓨터를 압도하는 성능을 발휘할 잠재력을 지닌다. 양자비트는 전자나 원자, 광자 등 미세 입자의 상태를 이용해 구현된다. 이들은 외부 환경 변화에 민감하기 때문에 ‘디코히런스(decoherence·양자 정보 소실)’ 현상을 최소화하는 것이 기술적 관건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전 세계 연구기관과 기업들은 초전도 회로(IBM·구글 등), 이온트랩(IonQ·Honeywell), 광자 기반(BosonQ·PsiQuantum), 실리콘 스핀(인텔) 등 서로 다른 물리적 플랫폼
경제타임스 이준오 기자 | 삼성전자가 새로운 AI 경험을 제공하는 헤드셋 형태의 모바일 기기 ‘갤럭시 XR(Galaxy XR)’을 10월 22일 국내에 공식 출시했다. 이 제품은 삼성전자, 구글, 퀄컴이 공동 개발한 ‘안드로이드 XR(Android XR)’ 플랫폼을 최초로 탑재한 기기로, 모바일 AI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 혁신적인 디바이스로 주목받고 있다. ‘갤럭시 XR’은 음성, 시선, 제스처 등 다양한 입력 방식을 통해 물리적 제약 없이 확장된 3차원 공간에서 콘텐츠와 자연스럽고 직관적인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멀티모달 AI에 최적화된 새로운 폼팩터로 설계되어 몰입감 높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며, 정보 탐색과 엔터테인먼트 소비 방식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삼성전자 MX사업부 최원준 사장은 “‘갤럭시 XR’은 새로운 모바일 생태계를 구축할 것”이라며, “안드로이드 XR을 기반으로 모바일 AI의 비전을 무한한 가능성의 영역으로 확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갤럭시 XR’에는 구글의 차세대 AI 모델 제미나이(Gemini)와 대화형 기능에 특화된 제미나이 라이브(Gemini Live)가 탑재되어, 사용자가 보는 것과 듣는 것을 동시에 인식
경제타임스 고은정 기자 | 22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반도체 소재 전문 기업 와이씨켐(073010)은 10월 21일, SK엔펄스의 CMP 슬러리(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Slurry) 사업부문을 총 110억 원에 인수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인수는 CMP 슬러리 기술력과 영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적 판단으로, 해당 사업부의 자산과 부채를 포함한 일체의 재산이 양수 대상에 포함된다. 양수 대상 사업부의 자산은 162억 원, 매출은 약 27.7억 원으로, 이는 와이씨켐 전체 자산의 13.93%, 전체 매출의 3.94%에 해당한다. 인수 대금은 계약금 10억 원, 거래종결 후 8영업일 이내 50억 원, 그리고 2027년 4월과 2028년 10월에 각각 25억 원씩 분할 지급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외부 평가기관인 안세회계법인은 현금흐름할인법(DCF)을 적용해 해당 사업부의 가치를 100억5100만 원에서 143억6300만 원으로 평가했으며, 인수 금액 110억 원은 적정 범위 내로 판단되었다. 와이씨켐은 인수한 CMP 슬러리 사업부를 별도의 법인 설립 없이 기존 사업부에 통합해 운영할 계획이며, 이를 통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