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두천 7.1℃구름조금
  • 강릉 12.1℃맑음
  • 서울 7.4℃맑음
  • 대전 8.6℃맑음
  • 대구 9.4℃구름많음
  • 울산 11.0℃맑음
  • 광주 7.6℃구름많음
  • 부산 10.7℃맑음
  • 고창 7.1℃흐림
  • 제주 13.2℃흐림
  • 강화 8.7℃구름조금
  • 보은 4.7℃구름조금
  • 금산 5.3℃구름많음
  • 강진군 6.5℃구름많음
  • 경주시 10.4℃맑음
  • 거제 10.6℃맑음
기상청 제공

2025.11.20 (목)

엔비디아 好실적에 훈풍…반도체株 상반기까지 강세

가이던스도 상향…AI 서버 수요 구조적 성장 재확인
피지컬AI 확산 예고…HBM4·AI칩 증설 수요 폭증 전망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AI 버블 논란의 분수령이 될 것으로 예상됐던 엔비디아의 3분기 실적이 시장의 우려를 완전히 뒤집었다. 매출·영업이익·가이던스 모두 월가 기대치를 상회하며 ‘슈퍼 서프라이즈’를 기록했고, 이는 글로벌 AI 투자심리 회복의 신호탄으로 해석된다. 국내 반도체 밸류체인에도 즉각적인 훈풍이 예상된다.

 

다올투자증권은 “최근 조정은 펀더멘털 훼손이 아닌 센티먼트 악화가 원인이었다”며 “이번 실적 발표가 분위기 반전의 결정적 이벤트”라고 평가했다.

 

■ 매출·영업이익 모두 신기록…가이던스까지 ‘상향 돌파’

 

엔비디아의 3분기 매출은 570억달러로 전 분기 대비 29%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378억달러로 무려 66% 급증했다. 가장 주목받은 지점은 다음 분기 매출 가이던스(637억~663억달러)로, 시장 기대치(620억달러)를 크게 웃돌며 AI 서버·가속기 시장의 초강세가 이어지고 있음을 확인시켰다.

 

미국 증시에서도 시간외 거래에서 주가가 즉각 반응하며 기대감이 반영됐다.

 

■ 루빈 지연? “정상 범주…2027년만 아니라면 무리 없다”

 

엔비디아는 루빈 플랫폼의 본격 확산 시점을 내년 하반기로 제시했다. 시장은 다소 지연된 것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했지만, 전문가들은 “정상 범주 내의 조정”이라고 판단한다.

 

엔비디아가 차세대 AI 시스템의 핵심으로 제시한 ‘루빈 플랫폼(Rubin Platform)’은 차세대 GPU 아키텍처인 루빈(Rubin)과 고대역폭 메모리(HBM4), NVLink, 네트워크 스위치 등 엔비디아의 전 영역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스택을 통합한 차세대 AI 컴퓨팅 플랫폼이다.

 

기존 블랙웰(Blackwell) 대비 성능·전력 효율을 크게 높인 것으로 알려졌으며, 초거대언어모델(LLM) 학습과 추론, 로보틱스·시뮬레이션·제조 등 물리 세계를 반영한 ‘피지컬AI(Physical AI)’ 구현에 최적화된 플랫폼으로 평가된다.

 

엔비디아는 내년 하반기부터 루빈 기반 제품군의 본격 양산과 생태계 확장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HBM4를 포함한 메모리 공급망 계획과 엔비디아의 연간 로드맵이 그대로 유지될 경우, AI 서버 증설은 구조적 성장 기조를 유지한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 ‘피지컬AI’ 본격 확산…AI 하드웨어 수요 2차 레벨업

 

엔비디아는 이번 실적 발표에서 ‘피지컬AI’를 전면에 내세웠다. 코스모스·옴니버스 등 기업 간 협업이 구체화되면서 AI가 실제 산업·제조·로보틱스로 확장되는 흐름이 가속화되고, 이는 추론·추가 학습을 위한 하드웨어 수요의 재도약으로 연결될 전망이다.

 

 

 

■ 국내 반도체株에 즉각적 수혜…“내년 상반기까지 강세 굳건”

 

다올투자증권은 “내년 말까지 공급자 우위가 유지될 것”이라며 “주가는 선행성이 강한 만큼, 내년 상반기 말까지는 반도체 투자 환경에 흠잡을 곳이 없다”고 분석했다. 특히 SK하이닉스·삼성전자에 대한 ‘강한 비중 확대’를 조언했고, 소재·부품·장비 업체들 또한 인프라 투자 및 전공정 증설로 수혜가 극대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같은 섹션 기사

더보기




공시 By AI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