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타임스 이준오 기자 | 10·15 부동산 대책 이후 수도권 비규제지역에선 오히려 아파트 매매 거래량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갭투자(전세 끼고 투자)가 가능하고, 대출 규제 및 세제 부담이 덜한 지역으로 부동산 매매 수요가 이동하는 '풍선효과'로 풀이된다. 반면 토지거래허가 규제지역에서는 거래가 4분의 1 토막으로 줄어들었다.
11월11일 국토교통부 수도권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 자료에 따르면 10·15 부동산대책 이후 20일간(10월16일~11월4일)의 수도권 아파트 매매량은 8,716건으로 대책 전 20일간(9월25일~10월14일)의 1만5,412건보다 43% 가까이 줄었다.
서울 전역과 경기 12개 지역 등 토지거래허가 규제지역에서는 같은 기간 매매 건수는 1만242건에서 2,424건으로 76% 감소했다. 감소폭이 큰 지역은 서울 영등포구(-95%), 성남시 수정구(-93%), 서울 성동구(-91%), 경기 분당구(-89%), 성남시 중원구(-86%) 등이다. 대출규제 강화 등으로 실수요 매수심리가 급격히 위축된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이미 규제지역이던 서울 강남권에서는 거래 감소폭이 상대적으로 작았다. 특히 서초구는 대책 전보다 거래량이 소폭 증가(2%)한 것으로 나타났고 송파구(-12%) 강남구(-40%) 등도 타 지역에 비해 감소폭이 낮았다. 대출한도 등 일부 조정이 있었지만 이미 규제가 적용되던 지역인 만큼 이번 대책의 영향은 크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반면 규제지역에서 제외된 수도권 비규제 지역의 아파트 매매는 5,170건에서 6,292건으로 22% 증가했다. 대출규제와 세제부담이 덜한 지역을 중심으로 실수요자나 일부 관망세를 유지하던 수요층이 유입되며 비규제지역 거래량 증가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수도권 비규제지역 중 거래량이 특히 두드러지게 늘어난 곳은 경기 수원시 권선구다. 수원시 권선구의 아파트 매매량은 대책 전 143건에서 이후 247건으로 늘며 73% 증가했다. 이어서 거래가 많이 증가한 지역은 화성시다. 화성시 매매량은 대책 전 561건에서 대책 후 890건으로 거래가 증가하며 단일지역 기준으로는 가장 많은 건수를 나타냈다. 화성시가 규제지역에서 제외되며 동탄 일대 매물이 소진되는 등 수요 유입이 이어지고 있다. 갭투자로 매매가 가능한 몇 안되는 지역이다.
경기 파주시와 구리시는 대책 이전보다 매매가 각각 41% 급증했고 군포시는 34%, 부천시 원미구는 25% 늘었다. 규제지역 인접 및 교통여건이 우수한 생활권을 중심으로 거래가 증가하는 흐름이 확인됐다.
부동산 관계자는 "이번 대책 이후 수도권 주택시장은 규제 강도와 자금여건 변화에 맞춰 균형을 조정해 나가는 과정으로 보인다"며 "정부의 추가조치가 이어질 가능성도 남아 있는 만큼 단기적으로는 거래위축과 수요이동이 공존하는 혼조세가 지속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