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두천 25.8℃맑음
  • 강릉 27.3℃구름조금
  • 서울 26.6℃맑음
  • 대전 25.0℃구름많음
  • 대구 22.6℃흐림
  • 울산 23.8℃흐림
  • 광주 24.8℃구름많음
  • 부산 27.2℃흐림
  • 고창 25.2℃구름조금
  • 제주 24.5℃
  • 강화 25.7℃맑음
  • 보은 24.4℃구름많음
  • 금산 25.9℃구름많음
  • 강진군 26.3℃구름많음
  • 경주시 22.1℃흐림
  • 거제 25.3℃구름많음
기상청 제공

2025.09.15 (월)

6월 소비자물가 2.2% 상승…석유류·가공식품 가격이 견인

근원물가는 2.0% 상승 유지…생활물가 2.5% 올라 체감 부담 여전
신선식품 가격은 하락폭 축소…정부 “기상·유가 등 불확실성에 선제 대응”
농축수산물 할인·원료 할당관세 등 민생물가 안정 대책 지속

2025년 6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 대비 2.2% 상승하며 5월(1.9%)보다 오름폭이 확대됐다.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석유류 가격 인상과 가공식품 가격의 상승폭 확대가 주요 요인으로 분석됐다.

 

 

변동성이 큰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2.0% 상승해 지난달과 동일한 수준을 유지했다. 일상생활과 밀접한 품목 중심의 생활물가지수는 석유류 가격 인상 영향으로 2.5% 올랐으며, 이는 5월(2.3%)보다 0.2%p 높은 수치다.

 

신선식품지수는 신선과실 가격이 크게 하락한 영향으로 전년 동월 대비 △1.7% 하락했지만, 5월(△5.0%)보다는 하락폭이 크게 줄어들었다. 농산물·석유류를 제외한 물가지수도 2.4% 상승해 전월(2.3%)보다 오름폭이 소폭 확대됐다.

 

정부는 기상여건과 국제유가 등 대외 변수로 인한 물가 불확실성이 여전하다는 점을 강조하며, 관계부처 합동으로 체감물가 안정에 총력을 다할 계획임을 밝혔다. 특히 민생과 직결된 먹거리 물가에 대해서는 농축수산물 할인 지원, 주요 식품원료에 대한 할당관세 유지 등 대응 조치를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정부 관계자는 “가격·수급 변동 요인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주요 품목에 대해서는 신속한 대응을 통해 국민 체감물가 안정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같은 섹션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