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타임스 이준오 기자 | 정부의 10·15 부동산 대책 이후 서울 강남 아파트 시장에서 전용 59㎡ 이하 소형 아파트가 가격 상승을 주도하고 있다. 1~2인 가구 현상과 함께 작아도 강남' 인식이 확산되며 강남 입성을 택한 실수요자들이 대출 한도 규제를 피해 소형 평수로 갈아타고 있다는 분석이다.
11월19일 한국부동산원의 '규모별 주간 매매가격지수'를 대책 이후 세 차례 통계(10월 4주차~11월 2주차)를 합산한 결과 서울 동남권 강남4구(강남·서초·송파·강동구)의 40㎡ 초과~60㎡이하 면적대 아파트 상승률이 1.25%로 니타났다. 이 기간 서울 전지역의 모든 면적을 통틀어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동남권에서는 60㎡초과~85㎡이하(0.92%), 85㎡초과~102㎡이하(0.79%), 40㎡ 이하(0.67%), 102㎡초과~135㎡이하(0.66%), 135㎡ 초과(0.56%) 순으로 상승률이 높았다. 40㎡ 이하를 제외하면 소형 평형의 아파트 가격 상승세가 가장 돋보였다.
통상 가장 인기가 높은 면적대는 '국민평형'으로 불리는 84㎡. 10·15 대책 이후가 아닌, 올 한 해를 통틀어 보면 동남권에서도 84㎡가 속한 60㎡초과~85㎡ 이하 아파트의 누적 상승률(15.13%)이 6개 구간 중 가장 높았다. 같은 기간 40㎡초과~60㎡이하는 13.22%로 102㎡초과~135㎡이하(13.94%)에도 밀린 3위였다.
강남권 소형 아파트들은 신고가에 거래가 되고 있다. 서초구 반포동 '디에이치반포라클라스' 59㎡는 이달 5일 37억5,000만원에 팔렸다. 직전 최고가 36억5,000만원(9월)보다 1억원 더 비싼 가격이다. 올해 초 31억~32억원대였던 점을 감안하면 1년도 안 돼 6억 원 가량이 올랐다. 비슷한 시기 송파구 '잠실엘스' 59㎡도 31억원에 거래되며 최고가를 경신했다.
한국부동산원의 규모별 매매지수는 아파트를 면적 기준 6개 그룹(40㎡이하, 40㎡초과~60㎡이하, 60㎡초과~85㎡이하, 85㎡초과~102㎡이하, 102㎡초과~135㎡이하, 135㎡초과)으로 나눠 통계를 낸다. 서울은 동남·서남·동북·서북·도심 등 다섯 권역별로 집계한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이 흐름을 정책 유인에 따른 '비자발적 소형화' 현상으로 본다. 고가 주택에 대한 대출이 제한되자 자금 여력에 맞춰 집 평수를 줄여서라도 강남 입성에 나서는 수요가 늘고 있다는 것이다. 10·15 대책에 따라 규제지역 내 주택담보대출은 15억원 이하 아파트는 6억원, 15억~25억원은 4억원, 25억원 초과는 2억원으로 각각 제한됐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강남에 대한 선호는 여전히 강하고, 대기 수요도 많다"면서 "규제를 회피하고 대출 한도 내에서 강남에 진입하려는 전략으로 실수요자들이 소형 아파트로 눈을 돌리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 같은 흐름은 자발적 선택이라기보다는 강제된 구조적 변화"라고 설명했다.
부동산 업계 한 전문가는 "대출 한도가 제한되면서 자금 여력이 줄어든 실수요자들이 강남 내 소형 평형으로 갈아타고 있다"며 "강남 입성은 단순 주거를 넘는 상징적 선택으로 여겨지며, 1~2인 가구 증가와 입지 선호까지 겹쳐 소형 아파트 선호 흐름은 당분간 계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