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청년층 고용 부진과 30대 ‘쉬었음’ 인구 증가가 동시에 심화되며 노동시장의 구조적 위기가 뚜렷해지고 있다. 전체 고용률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음에도, 청년층과 30대의 고용 지표만 역주행하는 ‘고용의 이중구조’가 더 뚜렷해진 모습이다.
국가데이터처가 11월12일 발표한 ‘2025년 10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15세 이상 고용률은 63.4%, 15~64세 고용률은 70.1%로 10월 기준 모두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다양한 계층에서 경제활동 참여가 늘어난 결과다. 그러나 청년층(15~29세) 고용률은 44.6%로 1%포인트 떨어지며 18개월 연속 하락했다. 청년 취업자는 16만3000명 감소했고, 이 가운데 20대 취업자가 15만3000명 줄어 감소 폭 대부분을 차지했다.
청년층의 고용 부진은 제조업·건설업 중심의 산업 구조조정과 기업들의 채용 방식 변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풀이된다. 고령층 비중이 큰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은 28만명 증가한 반면, 청년층 비중이 높은 제조업과 건설업은 각각 16개월, 18개월 연속 감소했다. 정기공채 축소와 수시채용 강화로 기업들이 즉시 투입 가능한 경력직 선호를 강화하면서 신입 청년층의 진입 장벽은 더욱 높아졌다.
30대 고용지표에서도 이상 조짐이 뚜렷하다. 지난달 30대의 ‘쉬었음’ 인구는 33만4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7.7% 증가해 2003년 통계 작성 이후 최대치를 경신했다. ‘쉬었음’은 일할 의사는 있으나 구직활동은 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정부는 이를 경기 부진에 따른 구직단념으로만 해석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결혼·출산 지연으로 전통적 비경제활동 요인이 줄고, 평생직장 개념의 약화 속에 이직·전직 과정에서 자발적 비활동이 증가한 결과라는 분석이다.
세대 간 고용 격차도 심화했다. 60세 이상 경제활동참가율은 6월 이후 5개월 연속 20대보다 높았다. 고령층·여성 중심 서비스업 고용 확대가 지속되는 반면, 청년층은 제조·건설업 취업 감소와 공공부문 채용 축소가 겹쳤다.
정부는 청년층을 포함한 고용 취약계층 지원에 정책 역량을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장규성 기획재정부 인력정책과장은 “청년층 고용률 반등을 위해 노동시장 진입 지원과 직무훈련 확대, 산업별 맞춤형 일자리 정책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고용률의 ‘양적 확대’만으로는 세대 간 격차를 해소할 수 없다며, 제조업·건설업 구조 변화에 맞춘 청년층 노동시장 재설계가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단기 처방을 넘어 산업·교육·고용정책의 연계가 요구되는 시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