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53.6은 전월 대비 0.6 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에 의한 침체에서 회복이 분명 해졌다. 호황과 불황을 판단하는 고비의 50을 6개월 연속 웃돌았다.(사진 : 유튜브 캡처)영국 조사 회사 IHS 마크 잇은 2일 중국의 10월 체감경기를 나타내는 제조업 구매 관리자 지수(PMI)가 53,6이라고 발표했다고 교도통신이 2일 보도했다. 53.6은 전월 대비 0.6 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에 의한 침체에서 회복이 분명 해졌다. 호황과 불황을 판단하는 고비의 50을 6개월 연속 웃돌았다. 미래에 대해서도 기업 사이에서 낙관론이 확산되면서, 지난 2014년 8월 이후 증가를 보였다. 다만 수출의 신규 수주는 해외에서 신종 코로나 다시 유행을 받아 약세를 기록했다. 경영비용도 다소 상승하고 있다. 한편, 중국 당국이 10월말에 발표한 이번 PMI는 51.4 및 전월 대비 소폭 하락했었다.
미·중 무역 및 환율분쟁과 일본 경제보복 등 대외여건의 불확실성이 확대되면서 국내 소비자심리지수가 2년7개월 만에 최저를 나타냈다. 2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9년 8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를 보면 이달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92.5로 한 달 전보다 3.4포인트 떨어졌다. 한은이 발표하는 CCSI는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한 소비자동향지수(CSI) 중 주요한 6개 지수를 표준화한 것으로 소비자의 체감 경기를 보여주는 지표다. 지수가 100보다 작으면 소비자들의 심리가 장기평균(2003∼2018년)보다 비관적임을 뜻한다. 이달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92.5로 한 달 전보다 3.4포인트 떨어졌다. (자료=한국은행) 소비자심리지수 흐름을 살펴보면 지난 4월 101.6까지 올랐으나 5월부터 4개월 연속 하락하며 지난 2017년 1월(92.4) 이후 2년7개월만에 최저치로 주저앉았다. 소비자심리지수를 구성하는 6개 항목 모두가 하락했다. 가계 재정상황에 대한 인식을 보여주는 생활형편전망 소비자동향지수(CSI)는 3포인트 떨어진 89로 2009년 3월(80) 이후 최저를 기록했다. 가계수입전망(94)은 2포인트 내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