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도정부 관계자는 “국내 산업은 2017년 이후 완제품 TV 수입에 대해 20%의 관세 부과로 적절한 보호를 받았고, 올해 7월부터는 일부 품목의 TV 수입이 제한적인 범주에 들어간 만큼 국내 제조업에 더 많은 투자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사진 : 유튜브 캡처)인도정부가 현지생산 장려를 위해 10월 1일부터 TV 오픈 셀 수입에 5%의 관세 부과를 개시할 것으로 발표했다고 인도의 이코노믹 타임스가 20일 보도했다. 업계 관계자는 앞서 패널 완제품 가격이 약 50% 상승한 상태에서 해당 관세를 부과한다면 32인치와 42인치 TV 가격이 각각 600루피(략 9,480 원)와 최대 1500루피(약 2만 3,700 원) 인상되는 등의 결과를 낳을 것이라고 반박했다. 그러나 인도 정부 관계자들은 이 의무에 따른 가격 인상이 TV당 Rs 250(약 3,950 원) 보다 크지 않을 것이라며 업계의 실질적인 가격 인상 주장을 일축했다. 현재 리딩 브랜드들은 오픈 셀을 32인치 Rs. 2700(약 4만 2,660 원)의 기본 가격으로, 42인치 TV에 Rs. 4000(약 6만 3,200 원)에서 Rs. 4500(약 7만 1,100 원)의 기본 가격으로
인도네시아 정부는 전기자동차 목표를 달성하기 이해서는 최소한 31,000개소의 전치가 충전소가 필요하다고 자카르타 포스트가 7일 보도했다. (사진 : 전기충전소 /자카르타 포스트 해당기사 일부 캡처)인도와 인도네시아에서는 앞으로 활성될 것으로 보이는 전기자동차를 위한 전기충전소가 양국 모두 합쳐 10만 곳이 이상이 필요한 것으로 알려졌다. 인도 이코노믹 타임스 7일 보도에 따르면, 인도정부는 69,000곳의 주유소에 전기자동차 충전소 설립을 논의 중에 있다. 인도정부가 역내 69,000여 곳의 주유소 당 1개 이상의 전기자동차(EV, Electric Vehicles) 충전 설비 구축과 더불어 기업의 직영 주유소에 해당 설비 설치 의무화를 고려 중에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인도 정부는 이를 통해 전기자동차의 인프라스트럭처 조성 및 소비 장려 등 e-모빌리티(mobility) 전략의 적극적인 추진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인도 전력부는 앞서 델리, 콜카타, 첸나이, 하이데라바드 등 특정 지역과 집중적으로 전기자동차 충전 인프라를 구축해 e-모빌리티 전환을 촉진하기 위한 논의에 돌입한 적이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아울러 인도네시아에서도 전기차 충전소 개설을 적극적으로
그래픽 : 경제타임스 전 세계 코로나19 감염 확진자 수가 2700만 명을 돌파한 27,296,207명, 사망자의 수도 90만 명을 육박하는 887,596명으로 집계되고 있다.(실시간 통계 사이트 월드오미터, 2020년 9월 7일 오후 3시 현재, 한국시간 기준) 미국이 여전히 감염 확진자 수 세계 1위로 640만 명을 돌파한 6,460,421명이며, 사망자는 193,253명으로 집계되고 있다. 2위는 브라질을 제친 인도로 감염 확진자수가 4,204,613명이며, 사망자는 71,687명이다. 브라질은 3위로 확진자 4,137,606명이며, 사망자는 126,686명이다. 한국은 확진자 순위 전 세계 75위로 전일 하루 119명이 늘어나 확진자 21,296명이며, 사망자는 전일 2명이 늘어나 총 336명이다. 이웃 일본의 경우 확진자는 71,419명, 사망자 1,357명으로 45위를 기록하고 있고, 중국은 38위로 전일 12명이 추가되어 확진자 총 85,134명, 사망자는 4,634명이다. 아래는 확진자 순위 10위까지의 내용이다(확진자---사망자---인구수 : 명) 1. 미국 : 6,460,421---193,253---331,362,224 2. 인도 : 4,2
GDP는 제조업이 -39.3%로 크게 추락했다. 전 분기는 -1.4%로 이미 경기 후퇴기에 들어갔음을 보여주었다.(사진 : BBC방송 캡처, 한글 추가) 인도 통계-계획 실시부가 8월 31일(현지시각) 발표한 2분기 국내총생산(GDP)은 전년 동기 대비 -23.9% 역성장세를 보여, 과거 최대의 침체를 기록했다고 영국의 BBC방송이 1일 보도했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의 감염 확대를 억제하기 위한 봉쇄(Lockdown) 조치로 개인소비와 설비투자가 줄었다. 정부나 중앙은행에 대해 추가 경기 자극책과 금리 인하를 요구하는 압력이 강해졌다. 시장 예상은 -18.3%였으나 더욱 악화됐다. 인도는 지난 3월 하순, 매우 엄격한 봉쇄 조치를 도입했으며, 봉쇄 중에는 개인소비와 민간투자, 수출이 모두 급감했다. 특히 건설분야는 무려 -50.3%의 역성장을 기록했다. 일부 분석가들은 4월부터 시작된 올해 경제가 -10% 가까이로 위축, 1947년 영국으로부터 독립한 이후 최대 침체로 수백만 명이 빈곤에 내몰릴 것으로 보고 있다. 나렌드라 모디 총리는 5월 은행 대출에 대한 신용보증과 빈곤층에 대한 곡물 배급을 포함한 2660억 달러 규모의 경기부양책을 발표했다. 다만 소
NIP 프로젝트는 업데이트 된 프로젝트 정보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고, 민관합작투자사업(PPP)에 대한 국내외 투자자를 유치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사진 : 인도 이코노믹 타임스 해당기가 일부 캡처)인도 니르말라 시타라만(Nirmala Sitharaman)재무장관은 10일(현지시간) NIP (National Infrastructure Pipeline) 온라인 대시 보드를 개설했다. 이코노믹 타임스 11일 보도에 따르면, 인도에서 일어나는 실시간 투자 기회를 보여주는 온라인 플랫폼 IIG(India Investment Grid)로 프로젝트 정보를 찾는 모든 이해 관계자를 위한 원 스톱 솔루션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NIP 프로젝트는 업데이트 된 프로젝트 정보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고, 민관합작투자사업(PPP)에 대한 국내외 투자자를 유치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한편, 경제사회기반시설 프로젝트를 망라하는 NIP는 프로젝트 준비를 개선하고 인프라에 투자(국내외)를 유치할 것이며 2025 회계연도까지 5조 달러(약 5,927조 5,000억 원)의 경제 목표를 달성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재무부 성명서는 밝혔다.
Visakhapatnam Port, Andhra Pradesh 인도 안드라 프라데시 비사카파트남 항구 중국과의 국경충돌로 양국 사이에 긴장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인도 정부는 인도 접경 3국에 대한 사업입찰 제한 시행하기로 했다. 인도 정부는 인도 방어를 이유로 인도와 국경을 접하고 있거나 국가 안보를 포함한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관련된 사안에 대해 입찰자에 대한 규제를 부과할 수 있도록 2017년 재무총칙(General Financial Rules 2017)을 개정했다고 공식 성명서가 밝혔다. 비즈니스 투데이 24일(현지시각) 보도에 따르면, 동 조치에 따라 중국을 포함한 인도와 국경을 접하고 있는 국가의 사업 입찰자들은 산업진흥청(DPIIT, Department for Promotion of Industry and Internal Trade) 및 각 주 정부에서 구성하는 위원회(The Competent Authority)를 통해 등록을 한 이후에 사업 입찰에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 인도 정부의 이번 조치는 은행 등 금융기관, 자치단체, 인도 국영기업 프로젝트 등에 모두 적용된다. 단, 코로나19 상황으로 인해 의료물자 조달 등의 사업은 2020년 1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의 감염 확대에 의한 경제성장의 둔화에 따라, 인도 정부는 비핵심 기업 부문의 자산을 매각, 자금 조달을 도모하는 목적으로 민영화 계획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 : NDTV 캡처)인도 정부와 은행권 관계자에 따르면, 인도 정부는 은행권 개혁의 일환으로 국영은행의 절반 이상을 민영화하고 국영은행은 5개로 줄이겠다는 방침이라고 미국의 유에스 뉴스 앤드 월드 리포트가 21일 보도했다. 인도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개혁의 제1탄으로서 뱅크 오브 인디아(Bank of India), 센트럴 뱅크 오브 인디아(Central Bank of India), 인디언 오버시즈 뱅크(Indian Overseas Bank), UCO뱅크(UCO Bank), 뱅크 오브 마하라슈트라(Bank of Maharashtra), 펀자브 앤드 신드 뱅크(Punjab & Sind Bank)의 과반수 주식을 매각해 효과적인 민영화를 추진한다. 인도 정부의 한 고위관리는 “국영은행은 4~5개로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인도에는 현재 국영은행이 12개다. 인도 국영은행의 주식 매각은 정부가 현재 책정 중인 민영화 계획에 포함되어 있다. 이 계획에는
인도 태양광 산업협회(AISIA)는 인도가 수입하는 태양광 모듈의 경우 85%~90%가 중국산임에 따라, 동 면제 조치에 의해 약 5천억 루피(약 8조 원)의 외화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래픽 : 경제타임스 via 위키피디아) 인도 신재생에너지부 장관은 지난 7월 1일 공공 프로젝트에 한해, 전력 구매 계약이 8월 1일 이전에 체결될 경우, 중국산 수입제품의 기본 관세가 면제될 것이라고 발표한 적이 있다. 7월 말까지 태양광 장비 모든 제품에 세이프가드가 적용되며, 8월 1일부터는 태양광 모듈은 20-25%, 태양광 셀은 15%의 기본관세를 적용할 계획인데, 이 관세 부과율은 점차적으로 두 가지 모두에 대해 40%까지 올라가게 된다고 인도의 경제지 이코노믹 타임스가 13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인도 태양광 산업협회(AISIA)는 인도가 수입하는 태양광 모듈의 경우 85%~90%가 중국산임에 따라, 동 면제 조치에 의해 약 5천억 루피(약 8조 원)의 외화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된다. AISIA의 히테쉬 도쉬(Hitesh Doshi)회장은 “인도 정부가 국내 제조업 진흥을 위한 조치를 취하고 있어 기쁘다. 그러나 동시에 정책 전선의
2018년 4월 인도 모디 총리가 중국 우한을 방문 시진핑 주석과 회담. 최근 인도-중국 갈완계곡 국경충돌로 인도는 '자립인도'를 외치며 중국에 대립각을 새우고 있다.(사진 : 위키피디아) 인도 정부는 저가품 수입을 줄이기 위한 조치로 수십여 제품의 기본 관세를 높이기로 하고, 해당 품목에 대한 표준 사양과 같은 비관세 조치로 이어질 전망이다. 이 조치는 중국에 국한된 된 것은 아니며, 특정 국가의 특정 품목 수입에도 적용된다고 정부 관계자의 말을 인용, 파이낸셜 익스프레스가 6일 보도했다. 인도 정부는 자동차 부품, 에어컨 및 냉장고 용 압축기, 철강 및 알루미늄 제품 및 전기 기계 등 약1,173 개 품목을 대상으로 고려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품목은 대부분 중국에서 수입되는 품목으로, 번거로움 없이 인도 현지 생산으로 대체할 수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이들 1173개 품목의 중국 수입액은 2019년 회계연도에 119억 8000만 달러로 그 해 인도 전체 수입액의 2.3%에 불과했지만, 뉴델리만큼은 17%를 베이징에서 수입했다. 그러나 이들 제품/하위 제품 중 오직 47개 제품만이 2019년 회계연도에 각각 5,000만 달러 이상 수입
이번에 신규 대상 확대 산업은 ▶ 배터리 제조(Battery Manufacturing) ▶ 자동차 부품(Auto components) ▶ 네트워크 장비(network products) ▶ 섬유(Textiles)▶ 식품가공(Food Processing) 산업으로 5000억 루피(약 8조 원)의 인센티브(incentive)를 지원할 계획이다. (사진=더 이코노믹 타임스 캡처)인도 정부는 자국 내 제조업을 할 경우 부여하는 인센티브를 5개 산업으로 확대하여, 수입 의존도를 낮추고 “메이크 인 인디아(Make in India)”를 장려하고자 한다고 인도의 ‘더 이코노믹 타임스’ 신문이 2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특히 최근 중국과의 국경 충돌로 인도군 병사 20명이 사망하는 등으로 대(對)중국 견제와 함께 자국의 제조업 향상으로 대외 의존도 특히 중국 의존도를 대폭 낮추겠다는 의도이다. 중국은 이미 ‘중국 제조 2025“라는 슬로건으로 기술독립을 위한 잰걸음을 해오고 있다. 이번에 신규 대상 확대 산업은 ▶ 배터리 제조(Battery Manufacturing) ▶ 자동차 부품(Auto compon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