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글로벌 귀금속 시장이 폭락한 가운데, 비트코인이 ‘대체 투자처’로서 존재감을 다시 드러내고 있다. 10월21일(미국 현지시각)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장중 10만8,000달러 밑으로 하락했다가 11만2,700달러까지 반등했다. 이더리움도 전날 낙폭을 만회하며 4,000달러선을 다시 돌파했다. 같은 날 뉴욕 상품시장에서는 금값이 5% 급락해 온스당 4,130달러선, 은은 8% 가까이 폭락하며 수년 만에 최대 일일 하락폭을 기록했다. 최근 몇 달간 금과 은 가격은 △중앙은행의 통화완화 전환 △미중 무역 긴장 고조 △글로벌 유동성 불안 등으로 급등세를 보여왔지만, 이제는 조정 국면으로 진입하면서 일부 자금이 암호화폐 시장으로 이동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퀸 톰슨 레커 캐피탈(Lekker Capital) 설립자는 “비트코인은 이제 금의 랠리를 따라잡을 준비가 돼 있다”고 언급했으며, 찰리 모리스 바이트트리(ByteTree) 최고투자책임자(CIO) 역시 “금 시장이 조정기에 접어들면 비트코인 랠리가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처럼 비트코인이 ‘디지털 금’으로서의 역할을 회복하고 있다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특히 금·은의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스테이블코인은 말 그대로 가치를 ‘안정적으로(stable)’ 유지하는 암호화폐다.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처럼 가격이 급등락하는 일반 가상자산과 달리, 달러·유로·엔화 등 법정통화나 금·국채 같은 실물자산에 가치를 연동(페깅·Pegging)해 가격 변동을 최소화하도록 설계된 것이 특징이다. 즉, 디지털 자산과 전통 화폐 사이의 ‘중간 교환 매개체’로 기능한다. 가상자산 투자자 입장에서는 거래소 내에서 원화나 달러로 환전하지 않고도 자금을 보관·이동할 수 있어, 결제 효율성과 유동성 관리 측면에서 핵심 인프라 역할을 한다. ■ 주요 유형: 법정화폐 담보형·암호자산 담보형·무담보 알고리즘형 스테이블코인은 담보 구조에 따라 세 가지 형태로 구분된다. ① 법정화폐 담보형(Fiat-backed): 달러 등 실물 화폐를 실제 예치해둔 뒤, 1:1 비율로 토큰을 발행하는 방식이다. 대표적으로 테더(USDT), USD코인(USDC) 등이 있다. ② 암호자산 담보형(Crypto-backed): 이더리움(ETH) 등 다른 가상자산을 담보로 예치해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한다. 예컨대 다이(DAI)가 대표 사례다. ③ 무담보 알고리즘형(Algorithmic):
결제공간이 늘어나고, 금융자산으로서의 규모가 커지면서 기관투자자들의 투자도 증가하기 시작하고 있다. 미국 대형 보험사인 매스뮤추얼 등 보험회사와 연기금이 자산의 일부를 배분하고 있는 것은 물론 헤지 펀드가 투자 확대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사진 : 유튜브 캡처)대표적인 암호자산(가상화폐)인 비트코인(Bitcoin)이 연일 급상승을 하고 있다. 미국 동부시간 16일 처음으로 2만 달러 시대를 연 뒤 17일 한 때 2만 3,700달러까지 치솟았다. 금융완화 조치가 장기화되면서 충분한 자금이 비트코인으로 흘러들어 오고 있다고 일본 닛케이가 18일 보도했다. 투자자들의 저변이 연기금이나 보험회사에도 퍼지고 있어, 주요 금융자산으로서의 비트코인에 대한 인식이 많이 높아지고 있다. 비트코인의 상승은 지난 10월 하순부터 기세를 올리더니, 2개월 사이에 2배 남짓 상승했다.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시가총액은 4,300억 달러(약 473조 860억 원)에 달했다. 이더리움 등 주요 가상화폐의 상당수가 마찬가지로 급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결제공간이 늘어나고, 금융자산으로서의 규모가 커지면서 기관투자자들의 투자도 증가하기 시작하고 있다. 미국 대형 보험사인 매스뮤추얼
내년 초 전 세계 페이팔 가맹점 2600만 점포에서 물건을 사기 위해 가상화폐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용자는 가상화폐를 추가요금 없이 법정통화로 변환할 수 있다.(사진 : 코인데스트닷컴 캡처)미국 결제업체 페이팔(PayPal)은 암호자산(가상화폐) 서비스를 몇 주 안에 미국에서 시작할 것이라고 21일 밝혔다고 일본의 도쿄신문이 22일 보도했다. 페이팔 계정이 있으면, 비트코인(bitcoin) 등 가상화폐를 사고팔 수 있게 된다. 페이팔은 2021년에는 해외 진출도 계획하고 있으며, 뉴욕 주의 금융 당국으로부터 조건부의 인가를 취득했다. 페이팔이 다루는 가상화폐는 비트코인 외에 이더리움, 비트코인 캐시, 라이트코인 등이다. 내년 초 전 세계 페이팔 가맹점 2600만 점포에서 물건을 사기 위해 가상화폐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용자는 가상화폐를 추가요금 없이 법정통화로 변환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