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타임스 고은정 기자 | 키움증권이 인공지능(AI)을 활용해 365일 24시간 업무 상담이 가능한 챗봇 서비스를 출시했다고 23일 밝혔다. 챗봇 서비스의 도입으로 유선 혹은 채팅 상담을 통해 직원과 처리해야 했던 다양한 업무를 AI 챗봇으로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됐다. 단순 업무를 비롯해 복잡한 조건 검색이나 수식이 포함된 문의 등을 언제 어디서든 즉시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챗봇 서비스는 키움증권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인 '영웅문S#'의 일반 모드 왼쪽 상단에서 챗봇 아이콘을 선택하면 바로 이용할 수 있다. 카카오톡의 키움증권·키움금융센터 채널에서도 이용 가능하다. 이번에 선보이는 챗봇 서비스는 생성형 AI 기술을 활용하기 때문에 복잡한 고객 문의도 대응할 수 있다. 기존 상담 시나리오를 활용해 단순 문의는 신속하게 응대하고, 복잡한 문의는 생성형 AI가 내부 자료를 실시간으로 검토해 적합한 답변을 내놓는다. 답변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전문 상담원과 바로 채팅 상담이 연결된다. 키움증권은 챗봇 서비스 도입과 함께 내부 직원용 AI 지식 검색 시스템과 AI 게시판도 구축했다. 이를 통해 고객 응대의 정확성과 업무 효율성도 높이고, 자동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차세대 자율주행 칩(AI5)의 제조를 위해 삼성과 대만 TSMC 모두와 협력할 것임을 공식화했다. 이는 테슬라가 AI 칩 공급망을 이원화해 안정적 확보와 대량 생산 체제를 구축하려는 전략으로 해석된다. 10월22일(현지시간) 비즈니스 인사이더(Business Insider)에 따르면 머스크는 이날 열린 테슬라 3분기 실적 컨퍼런스콜에서 “AI5 자율주행 컴퓨터 칩은 삼성전자와 TSMC가 모두 제조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기존에 업계 일각에서 제기됐던 “AI4 칩은 삼성, AI5는 TSMC가 담당”한다는 구도를 정면으로 부인한 발언이다. 테슬라는 이미 삼성전자와 165억 달러(약 23조6천억 원)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다. 삼성이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에 건설 중인 신규 반도체 공장에서 테슬라 전용 신형 칩을 생산하는 것이 골자다. 해당 공장은 오는 2026년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 머스크는 “이번 발언의 핵심은 AI5 칩을 특정 제조사에만 의존하지 않겠다는 점”이라며 “우리는 과잉 공급을 확보하는 것이 목표”라고 강조했다. 테슬라의 대규모 자율주행 네트워크 확장과 로봇 생산 계획을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코스피가 미국 증시 급락의 충격을 고스란히 반영하며 약세 출발했다. 장 초반 한때 3,800선이 위태로웠지만, 기관의 일부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며 간신히 하락폭을 제한하는 모습이다. 10월22일 코스피는 오전 9시4분 현재 전일 대비 60.15포인트(1.55%) 하락한 3,823.53을 기록했다. 장 초반부터 매도세가 강하게 유입되며 지수는 3,800선 초반에서 등락을 거듭하고 있다. 전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주요 3대 지수는 일제히 하락했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 전장보다 334.33포인트(0.71%) 하락한 46,590.41,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35.95포인트(0.53%) 하락한 6,699.40, 나스닥종합지수: 213.27포인트(0.93%) 떨어진 22,740.40에 장을 마쳤다, 투자심리 악화의 주요 요인으로는 △미국과 중국 간 무역 갈등 재점화 우려, △미국 기술주 중심 버블 붕괴 가능성이 꼽힌다. 특히, 테크기업 실적 부진과 금리 불확실성이 맞물리며 글로벌 위험자산 선호심리가 빠르게 위축된 것으로 분석된다. 국내 증시에서도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대표주가 동반 약세를 보였다.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차세대 자율주행 칩(AI5)’은 테슬라가 자율주행 기술의 고도화를 위해 자체 개발 중인 5세대 인공지능 운전 제어 프로세서로, 테슬라의 완전 자율주행(FSD·Full Self Driving) 플랫폼을 실질적으로 완성시키는 핵심 반도체로 평가된다. 이 칩은 기존 AI4보다 연산 속도와 효율이 획기적으로 향상된 설계 구조를 갖고 있으며, 테슬라 차량이 생성하는 대규모 주행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학습·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특히, 초당 수십 테라플롭스(TFLOPS)에 달하는 연산 성능을 기반으로, 차량 내 각종 센서(라이다, 카메라, 초음파 등)로부터 들어오는 정보를 사람의 인지 반응 속도보다 빠르게 분석·판단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테슬라는 AI5 칩을 통해 차량의 판단 능력을 인간 운전자 수준 이상으로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칩 설계 단계부터 AI 학습용 뉴럴 네트워크(Neural Network) 연산에 최적화된 구조를 도입했다. 기존 엔비디아(NVIDIA) GPU 기반 시스템보다 전력 효율은 최대 30% 높고, 처리 지연(latency)은 절반 이하로 줄어들 것으로 알려졌다. AI5 칩은 단순한 차
 
								경제타임스 전영진 기자 | 두바이는 중동•아프리카•남아시아(MEASA) 지역의 선도적 글로벌 금융 허브로 입지를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이번 발표는 두바이 국제금융센터(DIFC)의 등록 기업 수가 8000개를 넘어선 시점과 맞물린다. 이 중에는 DIFC의 독립 규제 기관인 두바이 금융서비스청(DFSA)의 감독을 받는 1000개 이상의 법인이 포함돼 있다. 또한 DIFC 법원은 올해 들어 현재까지 총 175억 아랍에미리트디르함(AED) 규모의 사건을 처리했다. 두바이는 글로벌 금융센터 지수(Global Financial Centre Index)에서 세계 11위로 상승하며, 지역 내 가장 신뢰받는 금융 중심지이자 세계 4대 핀테크 허브로서의 입지를 더욱 굳혔다. 에사 카짐(H.E. Essa Kazim) DIFC 총재는 "두바이 경제 어젠다(D33) 추진을 위한 DIFC의 핵심 노력의 일환으로 우리는 금융 서비스 산업의 역량을 강화하고 글로벌 인재를 유치하며 지속 가능한 경제 성장을 뒷받침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신흥 금융 허브의 기준으로 자리매김한 DIFC의 성공은 기업이 단순히 사업 허가를 받는 수준을 넘어 산업을 선도하며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
 
								경제타임스 이준오 기자 | 삼성·SK·현대차·LG·롯데 등 국내 5대 그룹으로의 자산 쏠림이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삼성·SK·현대차 톱 3의 자산 비중은 전체의 60%를 차지하는 등 대기업 집단 내에서도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다. 22일 CEO스코어에 따르면 공정거래위원회가 지정한 공시대상기업집단 52개 그룹의 지난해 전체 자산규모는 2,709조853억원으로 집계됐다. 대기업 집단 중 삼성·SK·현대차·LG·롯데의 자산 규모는 1,588조741억원으로 전체의 60%에 육박했다. 이들 5대 그룹의 자산 규모는 2019년 1,143조5705억원에서 지난해 1,588조741억원으로 444조5,036억원(38.9%) 증가했다. 이는 나머지 47개 그룹의 총 자산 증가액을 합친 금액(367조2948억원)보다 많은 수준이다. 자산 증가액 톱3 역시 삼성, SK, 현대차다. 삼성그룹은 5년 새 자산규모가 164조원 늘어나 단일 그룹으로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다. 삼성의 총자산은 2019년말 424조8,480억원에서 지난해 말 589조1,139억원으로 38.7% 증가했다. SK그룹은 2022년 이후 재계 2위 자리를 유지했다. SK의 자산규모는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대한항공이 세계 최대 방산기업인 미국 록히드마틴(Lockheed Martin)과 손잡고 미군 및 동맹국 항공전력 유지·정비(MRO) 사업 협력에 나선다. 이번 협약으로 대한항공은 글로벌 항공 방산 시장 진출의 교두보를 확보하며, 향후 인도·태평양 지역 내 핵심 정비 거점으로 도약할 기반을 마련했다. 10월22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서울 국제 항공우주·방위산업 전시회(ADEX) 현장에서 대한항공은 록히드마틴과 ‘인도·태평양 및 제3국 내 미군 전력자산 정비 지원과 적기 전력화 기여를 위한 파트너십 프레임워크’를 체결했다. 이번 서명식에는 조현철 대한항공 군용기사업부 부서장과 스티브 시히 록히드마틴 운영·유지사업개발 담당 부사장이 참석했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미군의 작전 수행 능력 향상과 효율적 전력운용 지원을 위한 항공기 후속 군수지원 협력체계를 구축한다. 이번 협력은 미 국방부의 RSF(Regional Sustainment Framework) 정책 기조에 따른 것이다. RSF는 미군이 직접 수행해 온 해외 정비·보수 업무를 인도·태평양 지역 동맹국의 기술 역량을 활용해 현지화·효율화하는 정비 거점 구축 전략이다. 대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KB국민은행이 퇴직연금 DC형(확정기여형) 적립금 15조원을 돌파하며 국내 전체 금융권에서 압도적인 1위를 유지했다.금융감독원 통합연금포털에 따르면, KB국민은행은 2025년 3분기 말 기준 DC형 적립금 15조 원을 기록, 2010년 이후 15년째 업계 1위 자리를 지켰다. KB국민은행은 DC형 퇴직연금 시장의 절대 강자로 자리 잡았다. 이번 실적은 전체 퇴직연금사업자 중 최초로 적립금 15조 원을 돌파한 기록으로, 국내 퇴직연금의 중심축이 여전히 KB국민은행에 있음을 입증했다. 퇴직연금 시장은 기업의 근로자 노후자산 형성을 책임지는 핵심 분야로, 최근 경기 변동성과 금리 불확실성 속에서 안정성과 수익률을 동시에 달성하는 은행의 역량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KB국민은행은 퇴직연금의 운용성과 면에서도 업계 최상위권을 유지했다. 올해 3분기 말 기준 DC형 1년 원리금비보장형 수익률은 15.38%, 최근 5년간의 연평균 수익률도 6.33%를 기록했다. 은행 측은 이 같은 성과의 비결로 TDF(Target Date Fund) 중심의 장기·분산 투자 전략을 꼽았다. TDF는 투자자의 은퇴 시점에 맞춰 자동으로 자산 배분을 조정하는 연금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도심항공교통(Urban Air Mobility·UAM) 실증사업자 자격’은 국토교통부가 도심항공교통 상용화를 위한 기술·운항·안전성 검증 능력을 갖춘 기관에 부여하는 공식 인증이다. 이는 단순한 연구참여 자격이 아니라, 향후 상용 UAM 사업자로 지정되기 위한 필수 관문으로 평가된다. UAM 실증사업자는 국토부가 추진하는 ‘K-UAM 그랜드챌린지(K-UAM Grand Challenge)’의 주체로서, 실제 운항 환경에서 항공기·관제·통신·안전 시스템 등을 통합 시험하고, 도심 내 저고도 항공교통의 운용 기준을 마련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실증사업자 지위를 얻기 위해서는 △비행체 운용 및 안전관리 능력 △지상 관제 인프라 △통신망 안정성 △조종·운항 인력 △기상·비상대응 체계 등 UAM 특별법이 규정한 기술·인력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이 자격을 획득한 기관은 이후 실증 결과를 토대로 국가 UAM 상용화 로드맵 내 ‘우선 사업자’로 지정될 가능성이 높으며, 국내 도심항공 산업 생태계의 핵심 주체로 자리하게 된다. 즉, ‘UAM 실증사업자 자격’은 하늘길 교통체계의 상용화를 이끌 핵심 기술 검증 기관이자, 향후 도심항공 서비스의 사업권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KT가 국토교통부로부터 도심항공교통(Urban Air Mobility·UAM) 실증사업자 자격을 공식 획득했다. 이번 지정으로 KT는 통신 기반 항공 인프라의 상용화 주체로 자리 잡으며,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시장의 핵심 플레이어로 부상했다. 10월22일 KT는 국토부가 부여한 ‘UAM 실증사업자’ 자격을 취득했다고 밝혔다. KT는 지난해 전남 고흥에서 열린 K-UAM 그랜드챌린지 1단계 실증 사업에서 통합 운용성과 비행 안전성, 관제 시스템 연동 등 핵심 기술을 성공적으로 검증한 바 있다. UAM 특별법이 요구하는 장비·인력 기준을 모두 충족한 것은 물론, 자체 구축한 5G 항공통신망과 AI 기반 운항통제 기술력이 국토부 평가단으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로써 KT는 국내 UAM 상용화 로드맵에서 선도 사업자 지위 확보라는 의미 있는 성과를 얻게 됐다. KT는 오는 10월 말부터 인천 계양~청라 아라뱃길 구간에서 진행되는 K-UAM 그랜드챌린지 2단계 실증에 참여한다. 이번 사업은 현대자동차, 현대건설, 인천국제공항공사, 대한항공이 함께하는 ‘K-UAM 원팀’ 프로젝트로, 국내 최초로 도심 환경에서의 UAM 통신·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