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타임스 김재억 기자 | 카이노스메드(284620)가 개발 중인 다계통위축증(MSA) 치료제 ‘KM-819’가 임상 2상 시험 계획을 10월 20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승인받았다. 이번 임상은 무작위배정, 이중눈가림, 위약대조 방식으로 진행되며, 차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에서 실시될 예정이다. 임상시험의 1차 목적은 MSA 환자에서 위약 대비 KM-819의 치료 효과를 평가하는 것으로, UMSARS 총점(I+II)을 활용해 병리적 진행 속도 저하 여부를 측정한다. 해당 임상은 2025년 3월 27일 신청되어 2025년 10월 20일 승인되었으며, 약 3년간 진행될 예정이다. 목표 시험대상자 수는 167명, 예상 종료일은 2028년 12월 19일이다. 다만, 투자자들은 신약 개발의 불확실성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임상시험 약물이 최종 의약품으로 허가받을 확률은 약 10% 수준이며, 임상 및 품목허가 과정에서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결과가 나올 가능성도 존재한다. 한편, KM-819는 과거에도 국내에서 임상 2상 시험이 진행된 바 있으나, 2024년 8월 19일 해당 시험이 철회된 바 있다. 이번 승인은 기존 계획을 수정·보완하여 재개하는 형태로 이뤄
경제타임스 김재억 기자 | 파인엠텍(131760)은 2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총 160억4035만 원 규모의 신규 시설 투자 계획을 공시했다. 이번 투자는 극자외선(UV) 레이저 설비를 대상으로 하며, 폴더블 디스플레이 시장 확대에 대응하고 초정밀 레이저 생산능력(CAPA)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적 결정이다. 투자금액은 1130만 달러로, 10월 20일 기준 환율(달러당 1419.5원)을 적용해 원화로 환산됐다. 투자 기간은 2027년 2월 27일까지로 설정되었으며, 설비 설치 완료 후 최종 잔금 지급일을 기준으로 종료된다. 이번 투자는 파인엠텍의 자기자본(1645억4659만 원) 대비 9.75%에 해당하는 규모다. 회사 측은 “경영환경 변화, 관련 법규 및 인허가 사항 등에 따라 투자금액과 기간은 변동될 수 있다”고 밝혔다. 업계에서는 이번 투자를 폴더블 디스플레이 시장 성장에 대응하는 전략적 행보로 평가하고 있다. 초정밀 레이저 설비 확장을 통해 제품 경쟁력 강화와 함께 시장 내 입지 제고가 기대된다.
경제타임스 김재억 기자 | 세포치료제 전문기업 큐로셀(372320)은 20일, 식품의약품안전처(MFDS)로부터 자사 CAR-T 치료제 CRC01(안발캅타젠오토류셀, 이하 안발셀)의 임상시험계획 변경 승인을 받았다고 밝혔다. 이번 변경은 B세포 급성 림프모구성 성인 백혈병을 대상으로 진행 중인 CRC01의 제1/2상 임상시험에 대한 것으로, 시험 설계의 일부 조정과 분석 방법의 개선을 포함하고 있다. 주요 변경 사항으로는 코호트 2B의 시험대상자 수 조정, 새로운 가설 추가, 분석군 정의 명확화, 분석 원칙 수정, 그리고 통계가설에 적합한 통계분석 방법의 추가 등이 있다. CRC01은 재발성 또는 불응성의 거대 B세포 림프종 및 B세포 급성 림프모구성 백혈병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내약성, 안전성,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 중이다. 해당 임상시험은 서울성모병원을 포함한 국내 주요 의료기관에서 다기관, 공개, 단일군 방식으로 진행되며, 환자 투여 후 최대 60개월간의 추적 평가가 이뤄질 예정이다. 임상 1상에서는 CRC01의 최대내약용량(MTD)과 2상 권장용량(RP2D)을 결정하며, 임상 2상에서는 독립적인 평가를 통해 치료제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검
경제타임스 김재억 기자 | 에코프로비엠(코스닥: 247540)이 종업원 상여금 지급을 위해 약 104억9204만원 규모의 자기주식을 처분한다. 20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에코프로비엠은 보통주 6만5168주를 주당 16만1000원에 처분할 예정이며, 처분 기간은 2025년 10월 22일부터 2026년 1월 21일까지다. 이번 처분은 회사가 보유한 자사주를 임직원의 증권 계좌로 직접 이체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처분 전 에코프로비엠의 자기주식 보유량은 보통주 7만1865주(지분율 0.07%)였으며, 이번 처분으로 대부분의 자사주가 소진될 전망이다. 회사 측은 “처분 금액은 이사회 결의일 직전일인 10월 17일 종가를 기준으로 산정했다”고 밝혔다.
경제타임스 김재억 기자 | K-뷰티 유통 업체 실리콘투(257720)는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픽톤 주식 40만 주 중 20만 2000주를 매각한다고 17일 공시했다. 매각 대금은 약 130억 원으로 실리콘투가 투자한 10억 원 대비 약 13배에 달하는 수익이다. 실리콘투는 2021년부터 세 차례에 걸쳐 더마 화장품 브랜드 ‘토코보’를 운영하는 픽톤에 약 10억원을 투자했다. 이번에 보유 주식 40만 주 중 절반가량인 20만 2000주를 매각하기로 17일 이사회에서 결정했으며, 이를 통해 약 130억원을 회수한다. 매각 후에도 19만 8000주(지분 14.7%)는 계속 보유할 예정이다. 픽톤은 비건 인증을 받은 합리적인 가격대의 더마 화장품 브랜드 ‘토코보’를 앞세워 2030세대 사이에서 인기를 얻고 있다. 일본·미국·러시아 등 30여 개국에서 상표권을 확보하며 글로벌 유통망을 넓힌 결과, 현재 기업가치는 약 869억 원으로 초기 대비 25배 이상 성장했다. 주당 가격 역시 1000원에서 6만 4604원으로 64배 뛰었다. 실리콘투 관계자는 “토코보는 독창적인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글로벌 트렌드에 부합하는 제품 경쟁력을 바탕으로 빠르게 성장 중”이라며 “이번 매
경제타임스 김재억 기자 | SKC(종목코드: 011790)가 자회사 SK엔펄스를 흡수합병한다. 이번 합병은 지배구조 단순화와 재무건전성 강화를 위한 전략적 결정이다. SKC는 지난 14일 SK엔펄스와의 합병 계약 체결을 공시했다. 합병은 소규모합병 방식으로 진행되며, 주식매수청구권은 부여되지 않는다. 합병비율은 1대 0.0336649로, SKC의 주당 평가액은 10만3847원, SK엔펄스는 3496원으로 산정됐다. 합병대가는 전액 교부금으로 지급되며 최대주주 변경은 없다. 합병기일은 12월 22일이며, 반대의사 통지는 10월 29일부터 11월 12일까지 접수된다. SKC는 이번 합병을 통해 자회사 SK엔펄스를 흡수함으로써 불필요한 관리비용을 절감하고 경영 효율성을 높이는 동시에, SK엔펄스가 보유한 약 3952억 원 규모의 현금 및 자산을 확보해 재무구조를 개선하고 미래사업 투자 재원을 마련할 계획이다. SK엔펄스는 블랭크마스크 및 CMP 슬러리 사업부문을 매각할 예정이며, 매각 완료 후 사업회사로서의 기능이 사라지게 된다. 이에 따라 모회사와의 합병을 통해 조직 통합과 자산 활용을 극대화할 방침이다.
경제타임스 김재억 기자 | 에이블씨엔씨( 078520)가 분기 배당으로 현금 배당을 실시한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에이블씨엔씨는 지난 14일 공시를 통해 주당 76원의 현금 배당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총 배당금은 약 19억4403만 원 규모이며, 시가배당률은 0.7%다. 배당 기준일은 오는 17일이며, 지급 예정일은 29일이다. 일정은 변경될 수 있으나 기준일로부터 1개월 이내에 지급될 예정이다. 에이블씨엔씨는 “시가배당률은 배당결정일 직전 1주일간 유가증권시장에서 형성된 주가 평균값을 기준으로 산출했다”고 설명했다.
경제타임스 김재억 기자 | 투비소프트(079970)는 14일 공시를 통해 제3자배정 방식의 유상증자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증자를 통해 총 29억 9,999만 9,924원의 운영자금을 조달할 계획이다. 신주는 보통주 58만 7,084주가 발행되며, 1주당 발행가액은 511원이다. 납입일은 10월 24일, 신주 상장 예정일은 11월 27일로 잡혀 있다. 이번 증자는 자본시장법 제130조에 따른 소액 공모 방식으로 진행되며, 증권신고서 제출은 면제된다. 조달된 자금은 AI 기술 개발 연구 등 운영자금으로 활용될 예정이며, 배정 대상자는 투비소프트우리사주조합으로 이사회 결의를 통해 확정됐다. 한편, 투비소프트는 감사의견 거절로 인해 상장폐지 사유가 발생, 현재 주권매매거래가 정지된 상태다. 발행가액은 성운회계법인의 현금흐름할인법(DCF) 평가를 통해 산정됐다.
경제타임스 고은정기자 | 일신바이오(068330)가 9억원 규모의 초저온냉동고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13일 공시했다. 이는 최근 매출액 대비 8.32%에 해당하며 계약상대방은 일동바이오사이언스다. 계약 기간은 올해 12월 31일까지다.
경제타임스 고은정 기자 | CJ CGV(079160)가 미국 로펌 '파출스키 스탱질 앤드 존스(Pachulski Stang Ziehl & Jones LLP)'와의 법적 갈등을 해소했다. 13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CJ CGV는 해당 로펌이 제기한 중재판정 확정 신청을 취하함으로써 분쟁이 종료됐다고 지난 10일 공시했다. 이번 사건의 관할 법원은 미국 캘리포니아주 산타모니카 법원(Santa Monica Courthouse)이며, 신청 취하서는 한국시간 기준 지난 7일 제출된 것으로 확인됐다. CJ CGV는 “한국시간 기준 지난 8일, 법률대리인을 통해 신청 취하 사실을 최종 확인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