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금융감독원이 즉시연금 불완전판매와 리베이트 의혹에 대한 현장점검을 본격화하며 보험업계가 초긴장 상태에 돌입했다. 대법원의 ‘보험금 미지급 정당’ 판결 이후에도 ‘설명의무 위반’이 남은 쟁점으로 부상하면서, 감독당국이 판매 절차와 내부통제 전반을 다시 들여다보는 모양새다. 금융감독원은 11월3일 삼성생명 본사를 대상으로 즉시연금 불완전판매 여부에 대한 현장점검에 착수했다. 지난주 미래에셋생명에 이어 다음 주에는 동양생명 점검이 예고돼 있다. 이번 점검은 대법원이 “보험금 미지급은 정당하나, 보험사가 계약자에게 충분히 설명하지 않았다”고 판시한 데 따른 후속조치다. 금감원은 즉시연금 상품의 판매 경위, 설명의무 이행 여부, 상품 설계 체계 등을 전방위로 조사 중이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법적 다툼이 마무리됐더라도 감독당국이 ‘소비자 보호’ 차원에서 재점검에 나선 만큼 긴장감이 크다”며 “과징금 규모가 수천억 원대에 이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금감원은 즉시연금 점검과 병행해 농협생명의 판촉물 리베이트 거래 의혹도 조사 중이다. 지난달 21일부터 농협생명 현장검사를 진행 중이며, 국정감사에서 제기된 ‘불법 리베이트 의혹’이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물가가 오르는데 경기는 살아나지 않는 ‘한국형 스태그플레이션’ 속에서도, 편의점을 비롯한 유통업계가 ‘미코노미(Me-conomy)’ 트렌드를 발판으로 반등의 불씨를 지폈다. 합리적 절약과 ‘나를 위한 작은 사치’가 공존하는 소비심리가 3분기 경기 회복 기대를 끌어올렸고, BGF리테일(CU)·GS25·세븐일레븐 등 주요 편의점 3사가 이 흐름의 최전선에 섰다. ■ 경기침체 속 유통업 ‘희망의 신호’ 대한상공회의소 소매유통업 경기전망지수(RBSI)가 3분기 102를 기록했다. 기준치(100)를 웃돌며, 경기 침체 국면에서도 유통업 회복 기대감이 8년 만에 반등했다. 직전 분기 75에서 102로 급등한 배경에는 ‘미코노미(Me-conomy)’ 소비 재부상이 자리한다. ‘미코노미’는 “나를 위한 소비”, 즉 자신에게 직접적인 만족과 보상을 주는 소비 행태를 말한다. 고물가 시대를 거치며 △지출을 최소화하는 ‘짠테크형’ △작은 행복을 추구하는 ‘소확행형’으로 양분됐다. 이 두 흐름이 편의점 산업의 성장 엔진으로 작동했다는 게 업계 분석이다. ■ CU, “편리미엄+작은 사치”로 미코노미 선점 BGF리테일의 CU는 미코노미 트렌드의 가장 큰 수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SK텔레콤이 새로운 리더십으로 법조인 출신 경영인 정재헌 사장을 CEO로 선임하며, AI 시대 신뢰 기반의 경영 체계를 구축하는 방향으로 체질 개선에 나섰다. 이번 인사는 단순한 최고경영자 교체가 아니라, AI 신뢰·정보보호·거버넌스 혁신이라는 SK그룹 전체의 방향성과 궤를 같이한다는 평가가 나온다. ■ 정재헌, 법조인 출신 첫 SK텔레콤 CEO… AI·거버넌스 결합 리더십 정재헌 신임 CEO는 사법연수원 출신의 법조인으로, 2020년 SKT 법무그룹장으로 합류해 전략·법무·재무를 두루 총괄한 ‘내부 안정형 리더’로 평가받는다. 2021년 SK스퀘어 설립 창립 멤버로 참여하며 투자지원센터장을 맡아 기업 구조개편과 자본 효율화 전략을 주도했고, 2024년부터는 대외협력 사장으로 ESG·PR·CR 기능을 통합 지휘했다. 또한 SK 수펙스추구협의회 거버넌스위원장으로서 그룹의 경영 시스템 선진화 및 내부통제 강화에 핵심 역할을 했다. 업계에서는 “법률적 안정성과 전략적 감각을 겸비한 CEO”라는 평가와 함께, 사이버 침해사고 이후 신뢰 회복과 AI 사업의 책임 경영을 동시에 추진할 적임자로 꼽는다. ■ 'AI 거버넌스' 정착시킨 주역… S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개인투자자 점유율 1위를 자랑하는 키움증권이 또다시 전산 장애 논란에 휩싸였다. 특히 간밤 미국 증시가 AI(인공지능) 주도주 중심으로 급락한 시점에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 ‘영웅문S#(샤프)’이 접속 불능 상태에 빠지며, 해외주식 투자자(서학개미)들의 불만이 폭발하고 있다. ■ AI 급락장 속 ‘먹통’…서학개미 대응 불가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11월6일 밤부터 '영웅문S#' 접속 오류가 시작돼 7일 오전 6시50분 현재까지 일부 사용자는 여전히 로그인조차 불가능한 상태다. 앱 실행 시 “필수항목 준비 중입니다”라는 메시지 뒤 ‘Script error reported(스크립트 오류 보고)’ 창이 반복적으로 뜨며, 앱이 강제 종료되거나 무한 로딩을 반복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문제는 이 장애가 AI 버블 우려와 고용 부진 여파로 뉴욕증시가 급락한 시점에 발생했다는 점이다. 간밤 나스닥지수는 –1.9%, 엔비디아 –3.65%, AMD –7.27% 등 국내 개인투자자들이 집중 매수한 AI 대형주가 일제히 급락했다. 시장 변동성이 커진 상황에서 투자자들이 매수·매도 대응을 전혀 하지 못한 채 손을 놓을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 고객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11월3일 코스닥 시장은 거래량 상위 종목 중심으로 극단적 변동세를 보였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대한광통신(010170)은 4천만주 이상이 거래되며 거래량 1위를 차지, 주가가 29.1% 급등했다. 거래대금은 1,146억 원으로 시가총액의 3.1%에 달했다. 재영솔루텍(049630)도 17.79% 급등하며 4,561억 원의 거래대금을 기록했다. ■ AI·로봇株 폭등…노타·티로보틱스 ‘급등 선두’ 눈에 띄는 종목은 인공지능(AI) 솔루션 기업 노타(486990)와 로봇 자동화 기업 티로보틱스(117730)다. 노타는 31,450원까지 치솟으며 245.6% 폭등, 거래대금이 6,063억 원으로 시가총액의 9%를 넘어섰다. 티로보틱스 역시 29.75% 상승하며 1,526억 원 규모의 거래대금을 기록했다. 이들 종목은 AI 반도체·로봇 테마 수급이 집중되며 투자자들의 단기 매수세가 몰린 것으로 분석된다. 휴림로봇(090710), 클로봇(466100), 로보로보(215100) 등 로봇 관련주들도 9~15%대 강세를 보였다. 특히 휴림로봇은 7,060원으로 9.46% 상승, 거래량 2,987만주를 넘기며 활발한 거래가 이어졌다. ■ 일부 종목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인공지능(AI) 산업을 둘러싼 논쟁이 ‘버블’이냐 ‘혁신의 본격화’냐로 갈리는 가운데,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AI 수요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일시적 현상이 아니다”라고 일축했다. 그의 발언은 단순한 기술 전망을 넘어, AI 인프라 산업 전반의 구조적 성장 가능성을 짚은 것으로 평가된다. ■ “AI 수요, 기하급수적으로 폭증할 것”…네 가지 근거 제시 최 회장은 11월3일 서울 강남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서밋 2025’ 기조연설에서 “AI 인프라 투자는 선형(linear)이 아니라 기하급수적(exponential)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그는 AI 수요가 폭증할 수밖에 없는 네 가지 근거로 △추론 단계의 본격화 △기업 간 거래(B2B) 확산 △에이전트형 AI의 상용화 △정부 주도의 투자 확대를 꼽았다. 먼저, 학습을 넘어 추론과 판단 단계로 진입한 AI는 압도적인 연산량과 데이터 처리 능력을 필요로 하며, 이는 고성능 메모리칩과 GPU 수요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는 설명이다. 또한 기업 간 경쟁 심화로 인해 “AI를 적용하지 않으면 도태될 수 있다는 압박감이 커지고 있다”며, AI의 B2B 확산이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SRT 운영사 국민철도 에스알(SR)이 단순한 철도 운영을 넘어 감성과 수집가치를 결합한 ‘SRT 굿즈’ 사업을 강화하고 있다. SR은 10월28일 ‘SRT 굿즈 2025 가을·겨울(A/W) 에디션’ 17종을 공개하며, 철도 팬뿐 아니라 MZ세대 소비층까지 겨냥한 새로운 라이프스타일 브랜딩 전략을 선보였다. 이번 굿즈 라인업은 SRT 동력차 모형, 맥세이프 카드지갑, 사인보드 마그넷, 접착 메모지, 노트, 스웨트셔츠, 승무원 브릭키링 등 9개 품목 17종으로 구성됐다. 실용성과 디자인 감성을 결합한 제품군으로, 일상 속에서 SRT 브랜드 경험을 확장한다는 의도가 담겼다. ■ 정교한 기술력과 ‘한정판 전략’의 결합 이번 에디션의 핵심은 ‘SRT 동력차 1:100 스케일 모형’이다. 3D 설계기술과 고해상도 3D 프린팅을 적용해 실제 차량의 질감과 비례를 세밀하게 구현했다. 특히 100개 한정 수작업 제작 방식으로 희소성과 프리미엄 이미지를 강화했다. SRT 굿즈가 단순한 팬서비스를 넘어 ‘수집 가능한 브랜드 자산’(Collectible Brand Asset) 으로 진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사인보드 마그넷’ 역시 철도역 안내사인 디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CJ대한통운이 올해 3분기 매출 3조666억 원, 영업이익 1,479억 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1%, 4.4% 증가하며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갔다. 회사는 “내수 중심 사업의 확장과 물류 효율화가 수익성 개선의 핵심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CJ대한통운의 핵심 사업인 택배(O-NE) 부문은 3분기 매출 9,650억 원(전년 대비 +7.4%), 영업이익 628억 원(+16.6%)으로 호조를 보였다. 지난 6월부터 본격화된 ‘매일오네(주7일 배송)’ 서비스와 당일·새벽배송 및 풀필먼트(통합물류처리) 사업 확대가 실적을 끌어올렸다. 소비심리 회복세가 겹치며 택배 물량이 반등했고, 신규 전자상거래(이커머스) 고객사 확보로 물동량도 증가했다. 계약물류(CL) 부문은 3분기 매출 8,613억 원(+12.1%), 영업이익 553억 원(+7.8%)을 기록했다. 신규 3자물류(3PL) 계약 확대와 ‘생산성 혁신 프로젝트’ 기반의 운영 효율화가 실적 상승을 이끌었다. CJ대한통운 관계자는 “공장·유통센터 맞춤형 물류 솔루션을 통한 원가 절감 효과가 본격화됐다”고 전했다. 반면 글로벌 부문은 매출 1조330억 원(–6%), 영업이익 2
경제타임스 AI기자 | 넷마블(251270)은 11월6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을 통해 총 2,000억 원 규모의 제3회 무기명식 무보증 사모 교환사채(CB) 발행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사채 발행은 기존 차입금 및 회사채 상환을 위한 자금 조달 목적으로 이뤄졌다. 발행일은 2025년 11월 19일, 만기일은 2030년 11월 19일이며, 만기 5년의 사모 방식으로 발행된다. 표면이자율과 만기이자율은 모두 0%로 책정됐으며, 원금은 만기일에 일시 상환된다. 발행 대상자는 KB증권이며, 사모 형태로 유가증권시장에는 상장되지 않는다. 교환 대상은 하이브(352820)의 보통주 52만8,576주로, 주당 교환가액은 37만8,375원이다. 이는 하이브 주가의 최근 1개월, 1주일, 최근일의 가중산술평균을 산술평균한 후 15% 할증된 금액이다. 교환청구기간은 2025년 11월 20일부터 2030년 10월 19일까지며, 교환비율은 100%다. 또한, 사채권자는 2027년 11월 19일(발행 후 24개월 경과 시점)부터 3개월마다 조기상환을 청구할 수 있으며, 조기상환금액은 원금 100%다. 조기상환 청구는 발행회사 본점 또는 한국예탁결제원을 통해 가능하
경제타임스 고은정 기자 | KB증권과 현대커머셜이 기업금융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손을 맞잡았다. 양사는 지난달 31일 서울 여의도에 위치한 현대커머셜 본사에서 ‘기업금융 시장 동반 성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신규 참여, 우수 자산 양수도 등 다양한 기업금융 분야에서의 협력을 골자로 한다. 양사는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포괄적인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각자의 전문성을 활용해 시장 확대와 수익성 제고를 도모할 계획이다. 현대커머셜은 산업금융 중심의 사업 구조에서 기업·투자금융 영역으로 확대하며 안정적인 자산 운용 역량을 인정받고 있다. KB증권은 약 7조원의 자본금을 보유한 초대형 증권사로, 투자은행(IB)과 자산관리(WM) 분야에서 강점을 지니고 있으며, 철저한 리스크 관리와 우량 자산 선별을 통해 PF 시장에서 안정성을 입증해왔다. 김인웅 KB증권 신디케이션본부장은 “현대커머셜과의 파트너십은 KB금융그룹의 종합 금융 비전을 실현하는 중요한 발판이 될 것”이라며 “양사가 함께 시장의 새로운 기회를 창출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기업금융 시장에서 혁신적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