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타임스 이준오 기자 | 서울 최대 규모인 용산 지구단위계획구역이 30년 만에 서울역, 용산역 일대 등 6개 구역으로 분할돼 사업이 추진된다. 용산전자상가는 신사업 혁신거점으로 조성되며, 높이 규제 완화로 한강대로변에 최고 120m 높이의 건축물을 지을 수 있게 된다.
서울시는 지난 11월12일 제18차 도시·건축공동위원회를 열고 용산 지구단위계획구역 및 계획결정(변경)안을 수정 가결했다고 12일 밝혔다. 서울역에서 한강대교까지 이어지는 한강대로 일대이자, 국가 상징 거점으로 구상 중인 용산 일대 지구단위계획 구역이 대상이다.
용산 지구단위계획구역은 1995년 처음 구역이 지정된 이래 330만~350만㎡ 규모로 관리돼 온 서울시 시가지 가운데 최대 규모다. 이달 말 첫 삽을 뜨는 용산국제업무지구를 비롯해 용산 일대에 개발 수요가 늘고 있음에도 지구단위계획구역 자체가 워낙 커서 정비계획에 장기간 소요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6개 구역으로 쪼개기로 한 것이다.
해당 구역은 서울역 일대(71만㎡), 남영역 일대(36만㎡), 삼각지역 일대(73만㎡), 한강로 동측(40만㎡), 용산역 일대(105만㎡), 용산전자상가(12만㎡) 6곳이다.
서울시는 구역별로 개발의 방향성을 제시했다. 우선 서울역 일대는 국제관문 위상에 대응하는 공간으로 개조하고 남산으로의 보행 녹지 네트워크를 강화한다. 남영역 일대는 한강대로 업무 축으로 육성한다. 삼각지역 일대는 용산공원과 가깝고 중저층 건물이 많다는 특성을 고려해 도시 정비를 유도한다. 한강로 동측에는 주거·업무·녹지 공간을 조성한다. 용산역 일대는 국제업무 기능을 기반으로 서울의 미래 성장을 견인하는 거점으로 개발한다. 용산전자상가는 AI·ICT 등 미래 신산업 혁신거점으로 만든다.
높이 제한 등 규제도 완화된다. 광화문∼서울역∼용산∼한강을 잇는 국가 상징 거리로 계획 중인 한강대로 일대는 최고 높이를 100m에서 120m로 높인다. ‘콤팩트 도시’로 개발되는 용산국제업무지구에 100층 안팎의 빌딩 등 고밀도 개발이 추진되는 가운데, 향후 고층 빌딩 건설이 늘어날 것을 고려한 조치다. 시는 사업계획과 지역 특성에 따라 추가로 높이를 완화해줄 계획이다.
대규모 개발을 고려해 지정한 특별 계획구역을 59개소에서 68개소로 늘릴 계획이다. 용산전자상가 일대 등 총 9개의 특별 계획구역을 신규 지정해 전략적 개발을 유도한다. 인공지능 등 미래 신사업 혁신 거점으로 조성될 용산전자상가 일대는 이번 구역 신설에 따라 총 11개 특별 계획구역이 지정된다. 이 중 8개 구역이 세부 개발 계획 수립 등 절차를 밟고 있다.
자율 개발을 유도하기 위해 공동개발 지정계획은 전면 해제하기로 했다. 소규모 필지 소유자도 개별 건축을 할 수 있게 된다. 조남준 서울시 도시공간본부장은 “구역 재편을 통해 향후 도시 행정이 신속하게 처리될 것”이라며 “용산 광역중심 일대가 미래 신도심으로 위상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