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두천 15.6℃맑음
  • 강릉 17.3℃맑음
  • 서울 16.9℃맑음
  • 대전 14.7℃구름많음
  • 대구 14.0℃흐림
  • 울산 15.4℃흐림
  • 광주 12.7℃흐림
  • 부산 15.2℃흐림
  • 고창 12.7℃흐림
  • 제주 16.7℃흐림
  • 강화 13.7℃맑음
  • 보은 14.2℃구름많음
  • 금산 14.3℃구름많음
  • 강진군 14.1℃흐림
  • 경주시 14.8℃흐림
  • 거제 14.3℃흐림
기상청 제공

2025.11.12 (수)

KDI "내년 한국경제 1.8% 성장"…'관세 리스크' 경고

확장재정·금리하락에 내수 회복 전망…수출은 美 관세 충격에 1.3%↑
기업 67% “통상환경 불확실성” 경고…자동차·철강 수출 감소 불가피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한국개발연구원(KDI) 2025년 한국 경제 성장률을 1.8%로 전망했다. 올해(0.9%)보다 높지만, 회복세는 완만하다. 내수는 소비·투자 회복세로 개선되지만, 미국의 고율 관세 정책이 본격화되면서 수출은 1.3% 증가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 “반도체 훈풍·확장재정이 성장 견인”

 

KDI가 11월11일 발표한 ‘2025 하반기 경제전망’에 따르면 GDP 성장률은 올해 0.9%, 내년 1.8%로 상향 조정됐다. 8월 전망치(1.6%)보다 0.2%p 높다. 정규철 KDI 거시·금융정책연구부장은 “반도체 경기 회복과 정부의 확장재정 효과가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내년 소비는 금리 하락과 재정확대로 1.6% 증가, 설비투자는 반도체 중심으로 2.0%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건설투자도 올해 -9.1%에서 내년 2.2% 플러스로 전환될 것으로 보인다. 물가는 국제유가 하락으로 2.0% 상승률 유지, 인플레이션 안정 흐름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 “수출 1%대 둔화…관세 충격 본격화”

 

KDI는 내년 수출 증가율을 올해(4.1%)보다 낮은 1.3%로 제시했다. 미국의 관세 인상 여파가 본격화되면서, 올해 ‘선제적 수출 효과’가 사라질 것이란 분석이다. 김지연 KDI 경제전망 총괄은 “4월 고율 관세 발표 이후 반도체 등 일부 품목이 선방했지만, 관세 영향은 단지 ‘지연된 리스크’일 뿐 사라진 게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기업 체감은 더 비관적이다. 전경련 조사에 따르면 10대 수출 주력업종 150개 기업 중 67%가 ‘통상환경 불확실성’을 최대 리스크로 꼽았다. 자동차(-3.5%), 철강(-2.3%), 석유제품(-1.3%) 등 제조업 전반의 수출 감소가 예상된다.

 

■ “확장재정, 회복 이후엔 정상화 필요”

 

KDI는 정부의 재정지출 확대가 단기 경기 부양에는 유효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재정건전성 악화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관리재정수지 적자는 향후 5년간 GDP 대비 4% 이상이 예상되며, 국가채무비율도 연평균 2.2%p씩 상승할 전망이다.

 

KDI는 “경기 회복세가 자리 잡으면 확장재정 기조를 점진적으로 정상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또한 저출생·고령화에 대비한 복지 지출 구조 개편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같은 섹션 기사

더보기



영상

더보기

공시 By AI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