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가 주요 교역국의 경제활동 재개에 따른 수출수요 회복과 4차 추경 등 정부의 적극적 정책 대응에 따라 올해 우리나라 경제 전망을 6월 전망보다 0.2%p 상향했다. (경제타임스 자료사진)국제통화기금(IMF)이 6월 대비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을 0.8%p, 우리나라 전망은 0.2%p 상향했다. IMF는 13일 오후 9시 30분(워싱턴 D.C. 현지시간 13일 오전 8시 30분) 세계경제전망(World Economic Outlook)을 발표했다. IMF 전망에 따르면 우리나라 올해 성장은 –1.9%로, 6월 전망보다 0.2%p 상향했다. 2021년는 2.9%로 예측했다. 올해는 주요 교역국의 경제활동 재개에 따른 수출수요 회복과 4차 추경 등 정부의 적극적 정책 대응에 힘입어 성장 전망이 상향했으나, 8월 중순 이후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인한 내수‧서비스 부문 회복 지연으로 상향조정폭 제약됐다. IMF는 코로나19 확산이 심화되며 상반기 큰 폭의 경기 위축을 전망했던 지난 6월 전망에 비해 미·유로존 등의 2분기 GDP 실적이 개선된 점 등을 반영해 선진국을 -5.8%(6월 대비 +2.3%p)로 상향조정했다. 반면 신흥개도국은 중국경제(+1.9%) 회복에
이번 화상회의에서 긴급 현금스와프의 접근성을 한층 더 지원하기 위해, “CMIM에 지역 통화기여금을 요청자와 제공자 모두에게 자발적이고 수요에 기반한 ‘현금스와프’를 제도화하고, ”국제통화기금(IMF) 탈연계 부분에 대한 CIMM 조건부 프레임워크“를 개정할 것을 승인했다. (사진 : 크메르타임스 해당 기사 일부 캡처)한-중-일을 포함한 아시아 13개국의 재무 지도자들이 2400억 달러 규모의 치앙마이 이니셔티브 다자화(CMIM, Chiang Mai Initiative Multilateralisation) 자금 중 대출과 연계 없는 자금의 비율(delinked portion)을 차입 여력의 30%에서 40%로 늘리는 것을 승인했다고 캄보디아의 크메르 타임스가 21일 보도했다. 치앙마이 이니셔티브 다자화협정은 ASEAN( 동남아시아국가연합) 10 개국과 한-중-일 3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회원국들 간 상호 협정을 통하여 역내 국가들이 금융위기로 유동성 어려움을 겪을 때 해당국 통화를 달러화 같은 국제통화로 일정기간 맞바꿔주는 양자 간 통화스와프제도를 말한다. CMIM은 회원들이 자국 통화의 대가로 미국 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