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점] IBK기업은행, 연체율 1% 돌파…부실채권 1.7조 매각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금융위기 수준의 연체율 상승 속에 부실채권(NPL) 매각 규모는 연말까지 1조7천억 원을 넘어설 전망이다. 고금리 장기화와 내수 부진, 미중 무역불확실성 등 복합 악재가 중소기업의 상환 능력을 압박하면서다. ■ 연체율 1.00%, 15년 만의 최고치 11월10일 금융권에 따르면 IBK기업은행은 올해 3분기까지 약 1조1천억 원의 부실채권을 매각했으며, 4분기에는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에 2천500억 원, 경쟁입찰을 통해 최대 4천억 원어치를 추가로 매각할 예정이다. 연간 총액은 1조7천500억 원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기업은행의 대출 연체율은 1.00%로,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1분기(1.02%) 이후 최고치다. 특히 기업대출만 보면 1.03%로 2010년 이후 15년 만의 기록이다. 이는 2분기(0.91%) 대비 0.09%포인트 상승한 수치이며, KB국민·신한·하나·우리 등 4대 시중은행의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0.53%)보다 두 배에 달한다. ■ 고금리·산업 부진 ‘이중 압박’ 기업은행의 연체율 급등은 경기 둔화의 직격탄이다. 기업은행은 전체 대출의 90%가 중소기업 대상이라, 금리 상승과 제조업 위축의 영향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