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지금까지 호주산 와인에 대해 반덤핑 관세 (Anti-Dumping Tariff)를 최대 212%까지 부과하고, 호주산 구리(Copper), 설탕(Sugar), 목재(Lumber) 수입을 규제하고 있다. (사진 : 유튜브 캡처) 중국과 호주가 갈수록 반목이 깊어지면서 특히 중국이 호주에 대한 강력한 수입규제에 나서면서 긴장감이 더욱더 커지고 있다. 중국 관영 영자신문인 글로벌타임스(Global Times)는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가 지난 13일 모든 발전소에 호주산을 제외하고, 무제한으로 석탄을 수입할 수 있도록 허가했다고 보도했다. 이와 관련,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는 15일 중국의 호주산 석탄 수입금지조치는 세계무역기구(WTO)규정을 위반한 것이며, 나아가 이 보도가 사실이라면, “이는 호주와 중국이 지난 2015년에 맺은 자유무역협정(FTA) 또한 위반한 것”이라며 중국에 반박했다. 모리슨 총리는 이어 “(중국의) 이러한 조치는 무역관계에 나쁜 결과를 가져올 것이며, 정치적 문제와 교역을 결합하는 것은 다른 많은 무역 상대국들에 불확실성을 초래하게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사이먼 버밍엄 호주 통산투자관광부
유 본부장은 세계무역기구(WTO)가 “다시 한 번 재창조하지 못할 경우, 미·중 무역전쟁과 같은 관세전쟁이 더욱 확산될 수 있다”고 말했다. 오콘조 이웨알라는 미-중 무역전쟁과 관련해 “양국이 이미 협상 테이블에 오른 이슈에 초점을 맞춰 WTO가 '신뢰 회복'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후보 시절 밝혔다(그래픽 : 경제타임스) * 세계무역기구WTO)란 무엇인가? 1995년 1월에 설립되어 2020년 현재 25년의 역사를 사진 제네바에 본부를 둔 세계무역기구(WTO)는 국가 간 무역 규칙을 정하는 기구이다. 1948년부터 1994년까지,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 협정(GATT : 가트)은 세계 무역의 많은 부분을 위한 규칙을 제공했다. WTO의 창설은 2차 세계대전 종전 이후 최대 규모의 국제무역 개혁이었다. WTO 웹 사이트에 따르면, WTO는 모든 사람들의 이익을 위해 무역을 개방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국제기구로 회원국은 164국으로 세계 무역의 98%에 관여하고 있다. WTO는 회원국 정부에 의해 운영되며, 모든 주요 결정은 통상 2년에 한 번 이상 만나는 장관이나 제네바에서 정
EU가 보복 관세를 발동하는 배경에는 쌍방이 같은 조건이 되는 것으로 교섭을 하기 쉽게 한 다음, 조치의 취하를 재촉할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보여, 쌍방이 타협할 수 있을지가 초점이 되고 있다.(사진 : 미국의 보잉 공장/위키피디아)미국의 항공기 제조사 지원을 놓고 미국과 대립해온 유럽연합(EU)은 세계무역기구(WTO)로 인정된 연간 최대 40억 달러(약 4조 4,653억 원)의 보복관세를 10일부터 발동한다고 발표했다고 영국의 BBC방송이 10일 보도했다. 단지, EU는 대화를 호소하고 있고 쌍방이 양보할 수 있을지가 초점이 모아지고 있다. EU와 미국은 각각 ‘에어버스’와 ‘보잉’에 대한 지원이 부당하다고 오랫동안 대립하고 있으며 WTO는 함께 부당하다고 인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미국은 이미 EU제품에 연간 최대 8조 3,943억 원의 관세를 부과하는 조치를 단행했지만, EU도 지난달 WTO로부터 최대 40억 달러의 보복관세를 인정받았다. EU의 발디스 돔브로프스키스(Valdis Dombrovskis) 집행부위원장은 9일 기자회견에서 미국과의 협상에서 진전이 없었기 때문에 유감이지만, 권리를 행사해 대항조치를 취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무역정책을 조언하는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WTO에 비판적인 성명을 내고 “이 기구는 현장에서 실질적인 실무경험을 가진 사람이 이끌어야 한다”고 밝혔다(그래픽 : 경제타임스) 유명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을 한국인 최초로 세계무역기구(WTO) 사무총장 배출에 온 힘을 쏟고 있는 가운데, 강력한 경쟁자인 아프리카 나이지리아 재무장관 출신 응고지 오콘조-이웨알라 (Ngozi Okonjo-Iweala)에 대해 미국 미국이 반대하고 나서 앞으로 사태 진전이 주목된다. 지금까지 알려진 바로는 유럽연합(EU) 27개 회원국이 지지하겠다는 나이지리아 출신 후보가 앞서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유명희 후보가 탈락하는 것 아니냐며 어둡게 내다보고 있는 가운데, 미국의 한국 후보를 공개적으로 지지하고 나서 끝까지 희망을 포기해서는 안 되겠다는 상황이 되고 있다. 28일 세계무역기구 후보추천위원회는 WTO의 164개 회원국에 응고지 오콘조 이웨알라를 임명할 것으로 권고했다고 영국의 BBC방송이 29일 보도했다. 만일 그녀가 수장이 된다면, WTO를 이끄는 최초의 여성이자 최초의 아프리카인이 될 것이다. 그러나 WTO
WTO는 지난 13일 미국의 보잉(Boeing) 보조금에 대해, EU의 보복 관세를 용인하는 중재 결정을 발표했다. 이날 분쟁처리 기구에서 회원국 전체가 반대하지 않는 한 결정은 번복되지 않는다.(사진 : 위키피디아)세계무역기구(WTO) 분쟁처리기구는 26일(현지시간) 미국과 유럽연합의 대형 항공기 제조회사에 대한 보조금 통상 분쟁에서 유럽연합(EU)의 미국 물품 및 서비스에 대한 보복관세 허용 중재결정을 승인했다고 교도통신이 27일 보도했다. 연간 최대 약 39억 9천만 달러(약 4조 4,931억 3,900만 원))어치의 관세 조치가 가능해진다. EU유럽위원회는 26일 “회원국과 긴밀히 협의하면서 대항 조치의 준비를 진행시키겠다”며, “바람직한 것은 교섭에 의한 해결이다. 우리는 미국 측과 집중적인 협의를 계속하고 있다. 라이트 하이저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연락을 취하고 있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WTO는 지난 13일 미국의 보잉(Boeing) 보조금에 대해, EU의 보복 관세를 용인하는 중재 결정을 발표했다. 이날 분쟁처리 기구에서 회원국 전체가 반대하지 않는 한 결정은 번복되지 않는다.
중국 상무부는 15일 성명을 통해, 미국이 세계무역기구(WTO)의 판결을 존중하고 다자무역체제 유지를 위한 실질적인 조치를 취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WTO를 거듭 비판해온 트럼프 행정부는 이번 결정에 항소할 수도 있다.(사진 : 세계무역기구 WTO 홈페이지 캡처)세계무역기구(WTO)가 미국이 2018년 중국산 제품에 부과해 무역전쟁을 촉발한 관세가 국제 무역규칙과 '불합치'하다는 판정을 내렸다고 BBC가 16일 보도했다. WTO는 미국이 중국의 불공정한 기술도용과 국가지원에 대한 자신들의 주장이 국경세를 정당화했다는 증거를 제시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중국 관리들은 이 판결을 환영했다. 그러나 미국은 WTO가 중국과 대치하는 과제에 ‘완전히 불충분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미국의 최고 무역 협상가인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는 “미국이 불공정한 무역 관행에 대해 스스로를 방어하도록 허용되어야 한다”면서 “이 패널 보고서는 트럼프 행정부가 4년 동안 해온 말을 확인시켜준다. WTO는 중국의 유해한 기술 관행을 막기에는 전혀 불충분하다”고 말했다. 패널은
일본은 2019년 7월에 반도체 재료의 한국에 대한 수출 관리를 엄격히 강화. 이에 한국은 WTO에 제소했으나 같은 해 11월 일본의 조치를 보아가며 한다며 절차를 중단했다. 그러나 지난 6월 한국은 양자협의가 진전이 없다며, WTO 절차를 재개할 방침을 표명했었다.(사진 : 유튜브 캡처)세계무역기구(WTO)는 29일(현지시간) 한국이 일본에 의한 수출관리 강화를 제소한 사안에 대해 1심에 해당하는 분쟁처리위원회(패널)를 설치했다면서 일본 경제산업성은 30일 WTO 패널 구성에 유감을 표명했다고 일본 아사히신문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경제산업성 당국자는 이 문제는 대화를 통해 해결돼야 하며, 한국이 양자협의를 망칠 수 있는 형태로 행동한 것은 유감이라고 말했다. 한국통상자원부는 WTO에서 일본의 대한 수출관리가 자의적이고 차별적이라는 것을 증명하고, 일본에 조속한 시일 내 철회를 요청할 예정이라고 밝히고, 패널의 최종 보고서가 나오기까지 통상 10~13개월이 걸린다고 설명했다. 일본은 2019년 7월에 반도체 재료의 한국에 대한 수출 관리를 엄격히 강화. 이에 한국은 WTO에 제소했으나 같은 해 11월 일본의 조치를 보아가며 한다며 절차를 중단했다. 그
유명희(위 사진) 통상교섭본부장은 지난 25년간 통상 분야에서 폭넓은 경험과 전문지식을 갖춘 현직 통상장관으로, 차기 WTO 사무총장에 적합한 충분한 자질과 역량을 인정받고 있다. (사진 : 산업통상자원부)한국 산업통상자원부의 유명희(53) 통상교섭본부장이 24일 기자 회견을 하고, 세계무역기구(WTO) 차기 사무총장 선거의 입후보를 표명했다며 일본 언론이 지대한 관심으로 이날 보도했다. 반도체 재료의 수출 규제 강화의 시비를 둘러싸고 WTO에서 일본과 한판 붙어야 하는 가운데 한국의 여성 후보가 입후보하겠다는 것이다. 유명희 본부장은 일본과의 통상 분쟁에의 영향에 대해 “WTO 사무총장은 특정 소송으로 특정 국가를 대변하는 포스트는 아니다”며 특정국가에 대한 영향은 없다고 말했다고 산케이 신문이 전했다. 한국은 일본의 반도체 재료 수출규제 강화는 부당하다며 WTO 분쟁해결 절차를 재개했다. 유본부장은 지난해 7월에 수출규제 강화 조치가 발동된 이후, 대응 등에 관여해왔다. 유 본부장은 “일본의 조치는 WTO 등의 국제 규범에 합치하지 않는다”고 비판하며 철회를 강하게 요구해 왔다고 신문은 전했다. 한국의 WTO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