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전세난 해결을 위해 내놓은 11·19 전세대책에 대해 10명 중 절반 정도는 '효과 없을 것'이라고 답했다. (자료=리얼미터) 정부가 전세난 해결을 위해 2년간 11만 4000여 가구를 공급하는 전세대책을 내놓은 가운데, 10명 중 절반 정도가 효과 없을 것이라고 응답한 조사 결과가 나왔다. YTN 더뉴스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가 11·19 전세대책 효과성 관련 국민 여론을 조사한 결과, ‘효과 없을 것’이 54.1%(전혀 효과 없을 것 28.0%, 별로 효과 없을 것 26.1%)로 다수였으며, ‘효과 있을 것’은 39.4%(매우 효과 클 것 12.6%, 어느 정도 효과 있을 것 26.8%)로 집계됐다. ‘잘 모르겠다’라는 응답은 6.5%다. 권역별로 응답이 갈렸다. 인천/경기(효과 있을 것 32.2% vs 효과 없을 것 66.2%)와 대구/경북(22.9% vs 61.4%), 대전/세종/충청(41.9% vs 53.2%), 부산/울산/경남(39.8% vs 52.9%)에서는 ‘효과가 없을 것이다’라는 부정 여론이 더 많았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 조사 결과, 고 이건희 회장이 사회에 기여한 공로는 긍정 평가가 우세했지만, 과오에 대한 평가는 팽팽하게 나타났다. (자료=리얼미터 제공)지난 25일 삼성전자 이건희 회장이 향년 78세로 별세한 가운데 사회에 기여한 공로는 긍정 평가가 우세했지만, 과오에 대한 평가는 팽팽하게 나타났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가 오마이뉴스 의뢰로 고(故) 이건희 회장의 공과 인식에 대해 조한 결과 한국 사회에 기여한 ‘공로가 크다’라는 응답은 84.3%(공로가 매우 큼 54.3%, 공로가 큰 편 30.0%)로 다수였으며, ‘공로가 크지 않다’라는 응답이 11.5%(공로가 전혀 크지 않음 3.4%, 공로가 별로 크지 않음 8.1%)로 집계됐다. ‘잘 모르겠다’라는 응답은 4.1%다. ‘과오가 크다’라는 응답이 49.2%(과오가 매우 큼 21.7%, 과오가 큰 편 27.6%), ‘과오가 크지 않다’라는 응답 43.2%(과오가 전혀 크지 않음 16.9%, 과오가 별로 크지 않음 26.3%)로 팽팽하게 나타났다. ‘잘 모르겠다&rsquo
리얼미터 조사 결과, 라임 옵티머스 사태 수사에 대해 ‘공수처’와 ‘특검’ 두 방안이 오차범위 내 팽팽하게 갈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리얼미터 제공)리얼미터 여론조사 결과 라임, 옵티머스 사태 수사에 대해 ‘공수처’와 ‘특검’ 두 방안이 오차범위 내 팽팽하게 갈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YTN 더뉴스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가 라임, 옵티머스 수사 방안 관련 국민 여론을 조사한 결과, ‘특별 검사를 추진해야 한다’라는 응답이 43.6%, ‘공수처 출범을 서둘러야 한다’라는 응답이 38.9%로 팽팽하게 집계됐다. ‘잘 모르겠다’라는 응답은 17.5%다. 권역별로는 부산/울산/경남(특검 추진 49.7% vs. 공수처 출범29.1%)과 대구/경북(48.9% vs. 26.4%), 서울(44.2% vs. 33.8%) 거주자 10명 중 4명 이상은 ‘특검을 추진해야 한다’라고 응답했다. 반면, 인천/경기 거주자 10명 중 5명 가까이인 48.3%는 ‘공수처 출범을 서둘러야 한다&
리얼미터 조사결과, 추미애 법무부 장관의 수사지휘권 발동에 대해 평가가 팽팽하게 갈렸다. (자료=리얼미터 제공추미애 법무부 장관의 수사지휘권 발동에 대해 평가가 팽팽하게 갈렸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가 오마이뉴스 의뢰로 추미애 법무부 장관의 수사지휘권 발동에 대한 평가를 조사한 결과, ‘잘한 일이다’라는 응답은 46.4%(매우 잘한 일 38.0%, 다소 잘한 일 8.4%), ‘잘못한 일이다’라는 응답이 46.4%(매우 잘못한 일 38.1%, 다소 잘못한 일 8.3%)로 팽팽하게 갈리는 것으로 집계됐다. ‘잘 모르겠다’라는 응답은 7.2%였다. 권역별로 인천/경기(잘한 일 50.2% vs. 잘못한 일 44.0%)와 서울(47.2% vs. 46.2%), 부산/울산/경남(43.8% vs. 49.2%), 대전/세종/충청(40.1% vs. 48.7%)에서는 추미애 법무부 장관의 수사지휘권 발동에 대해 평가가 팽팽하게 갈렸다. 반면, 광주/전라에서는 ‘잘한 일’ 58.4% vs. ‘잘못한 일’ 36.4%로 잘했다는 응답이 많았지만, 대구/경북에서는 &lsqu
리얼미터 조사 결과 임대차보호법을 ‘다시 개정해야 한다’ 48.1%, ‘한 번 개정한 내용을 유지하고 효과를 더 지켜봐야 한다’ 38.3%로 나타났다. (자료=리얼미터 제공)최근 개정한 임대차보호법에 대해 ‘다시 개정해야 한다’는 응답이 ‘더 지켜봐야 한다’보다 약 10%p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가 YTN 더뉴스의 의뢰로 임대차보호법에 대한 여론을 조사한 결과 임대차보호법을 ‘다시 개정해야 한다(이하, 재개정)’라고 생각하는 응답자의 비율은 48.1%였으며, ‘한 번 개정한 내용을 유지하고 효과를 더 지켜봐야 한다(이하, 현행 유지)’라는 주장에 공감하는 응답자의 비율은 38.3%였다. ‘잘 모르겠다’고 답한 비율은 13.6%다. 거주 지역별로, 임대차보호법 ‘재개정’의견과 ‘현행 유지’의견 간 격차는 서울에서 가장 크게 벌어졌다. 서울에 거주하는 응답자 중 54.6%가 ‘재개정’ 의견에 공감했으나 ‘현행 유지
리얼미터 조사결과 ‘사회적 거리 두기’ 하향 조정에 대해 ‘적절하다’는 응답이 62.5%, ‘적절하지 않다’는 응답이 35.2%로 나타났다. (자료=리얼미터)약 두 달 만에 정부가 코로나19 방역을 위한 사회적 거리 두기를 2단계에서 1단계로 하향 조정하기로 결정한 가운데, 국민 10명 중 6명이 하향 조정에 대해 적절하다고 답한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 YTN 더뉴스 의뢰로 ‘사회적 거리 두기’ 하향 조정 평가를 조사한 결과 ‘적절하다’는 응답이 62.5%(매우 적절함 20.1%, 적절한 편 42.5%)로 다수였고, ‘적절하지 않다’는 응답이 35.2%(매우 적절하지 않음 12.7%, 적절하지 않은 편 22.6%)로 집계됐다. ‘잘 모른다’는 응답은 2.2%다. 권역별로 살펴보면, 부산/울산/경남(적절함 75.0% vs. 적절하지 않음 23.9%)과 광주/전라(72.4% vs. 23.9%) 거주자 10명 중 7명 이상 정도는 하향 조정에 대해 적절하다고 평가했다. 광주/전라의 경우,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 조사결과 한글날 도심 집회 원천 차단 방침에 대해 '불가피한 조치' 56.4%, '과잉 조치' 40.6%로 집계됐다. (자료=리얼미터 제공)경찰이 이번 한글날에도 도심 집회를 불허하고 차벽을 설치할 수 있다고 밝힌 가운데, 여론조사 응답자의 절반 이상은 도심 집회 원천 차단 방침에 대해 불가피한 조치라고 답했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가 오마이뉴스 의뢰로 한글날 도심 집회 원천 차단 방침에 대한 의견 공감도를 조사한 결과, ‘코로나 19 방역을 위한 불가피한 조치다’는 응답이 56.4%로 다수였고, ‘기본권을 과도하게 침해하는 과잉 조치다’는 응답이 40.6%로 집계됐다. ‘잘 모름’은 2.9%다. 권역별로 광주·전라(불가피한 조치 81.0% vs. 과잉 조치 16.6%)와 경기·인천(59.6% vs. 36.2%), 대전·세종·충청(59.0% vs. 39.5%)에서는 ‘불가피한 조치’라는 응답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부산·울산·경남(
리얼미터가 종전선언 지속적 추진 동의 정도를 조사한 결과 ‘동의’가 49.0%, ‘동의하지 않음’이 46.0%로 나타났다. (자료=리얼미터) 이도훈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이 북한의 한국 공무원 사살 사건에 대한 한미 양국의 공동 대응 방안을 미국 측과 협의할 것이라고 밝힌 가운데, 우리 정부가 북한, 미국 간 종전선언을 지속해서 추진할 것인지 동의 정도가 팽팽하게 나타났다. YTN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가 종전선언 지속적 추진 동의 정도를 조사한 결과 ‘동의’ 응답이 49.0%(매우 동의함 32.8%, 대체로 동의함 16.2%), ‘동의하지 않음’ 응답이 46.0%(전혀 동의하지 않음. 29.5%, 별로 동의하지 않음. 16.4%)로 팽팽하게 집계됐다. ‘잘 모름’은 5.0%다. 권역별로 경기·인천(동의 48.3% vs. 동의하지 않음 44.5%)과 서울(50.7% vs. 45.0%), 부산·울산·경남(42.3% vs. 50.4%)에서는 동의 여부가 팽팽하게 갈렸다. 대전·세종·충청
리얼미터 조사결과, 고속도로 통행료 유료화와 이동 제한 영향 정도에 대해 ‘영향 있을 것’ 47.7%, ‘영향 없을 것’ 49.9%로 팽팽하게 나타났다. (자료=리얼미터 제공)정부가 코로나 19 재확산 최소화 방안으로 추석 연휴 기간 고속도로 통행료를 받기로 한 가운데, 추석 연휴 기간 고속도로 통행료 유료화가 사람들의 이동 제한에 영향 정도에 대해 팽팽하게 갈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가 YTN 더뉴스 의뢰로 고속도로 통행료 유료화와 이동 제한 영향 정도를 조사한 결과, ‘영향 있을 것’ 47.7%(많은 영향 있을 것 12.8%, 어느 정도 영향 있을 것 35.0%), ‘영향 없을 것’ 49.9%(전혀 영향 없을 것 18.9%, 별다른 영향 없을 것 31.0%)로 집계됐다. ‘잘 모름’ 2.4%다. 권역별로 부산·울산·경남(영향 있을 것 48.9% vs. 영향 없을 것 49.9%)과 대전·세종·충청(46.7% vs. 51.7%), 광주·전라(46.3% vs .49.4%
리얼미터 조사 결과 ‘전 국민 통신비 2만원 지원’에 대해 ‘잘못한 일’ 58.2%, ‘잘한 일’ 37.8%로 나타났다. (자료=리얼미터 제공)‘전 국민 통신비 2만원 지원’에 대해 58.2%가 ‘잘못한 일’이라고 답한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YTN 더뉴스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대표 이택수)가 ‘전 국민 통신비 2만원 지원’ 결정에 대한 판단을 조사한 결과 ‘잘못한 일’이라고 평가한 응답자의 비율은 58.2%(매우 잘못한 일 39.8%, 어느 정도 잘못한 일 18.4%), ‘잘한 일’이라 답한 응답자는 37.8%(매우 잘한 일 15.7%, 어느 정도 잘한 일 22.1%)로 집계됐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자는 4.0%다. 대부분 지역에서 ‘잘못한 일’이라는 응답의 비율이 ‘잘한 일’이라는 응답의 비율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는데, 광주·전라에서만 ‘잘한 일’이라고 답한 응답자가 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