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는 4일 현대자동차, BMW코리아 등 5개사가 제작 또는 판매한 84개 차종 29만 8,721대에서 결함이 발견돼 자발적 시정조치(리콜)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국토교통부는 4일 현대자동차, BMW코리아 등 5개사가 제작 또는 판매한 84개 차종 29만 8,721대에서 결함이 발견돼 자발적 시정조치(리콜)에 들어간다고 밝혔다.이번 리콜은 현대자동차, BMW코리아, 기아, 혼다코리아,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의 일부 차량에서 제작결함이 발견된 데 따른 조치다. 현대자동차 아이오닉5, 아이오닉6 등 5개 차종 11만 9,774대는 통합충전제어장치(ICCU) 소프트웨어 오류로, 포터2 EV 2만 9,115대는 프로펠러 샤프트 설계 오류로 리콜 대상에 포함됐다. BMW코리아 520i 등 62개 차종 6만 9,614대는 통합제동장치의 품질 불량으로 안전 문제가 제기됐다. 기아 EV6 5만 8,608대는 ICCU 소프트웨어 오류로 리콜이 결정됐다. 혼다코리아 ACCORD 등 7개 차종 1만 2,713대는 연료펌프 내 부품 불량, CR-V 등 2개 차종 1,698대는 스티어링 기어박스 결함이 발견됐다.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 Mercedes-AMG E53 4MATIC+ 등
LG전자(대표이사 조주완)가 업계 최고 수준의 차량 사이버보안 관리체계(Cyber Security Management System, 이하 CSMS) 인증인 레벨3를 획득하며 글로벌 전장시장 공략을 강화한다. 국제 공인시험인증기관인 TUV라인란드로부터 공식 인정받은 CSMS 레벨3 인증서. LG전자는 최근 국제 공인시험인증기관인 TUV라인란드(TÜV Rheinland)로부터 CSMS 레벨3 인증을 완료했다. 사이버보안 관리체계는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SDV, Software Defined Vehicle)가 모빌리티 산업의 중심이 되면서 완성차 업체가 갖춰야 하는 필수 요소가 됐다. CSMS 인증은 다양한 시나리오를 가정해 인포테인먼트, 텔레매틱스 등 전장 제품의 설계, 개발, 소프트웨어, 생산 및 사후관리까지 전 과정에 보안이 제대로 적용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모의 해킹 침투 테스트 등을 통해 철저하게 역량을 평가한다. LG전자는 지난해 사이버보안 관리체계를 갖추고 있음을 인증 받는 CSMS 레벨2를 획득한 데 이어, 이번에는 더욱 까다로운 절차를 거쳐 CSMS를 철저히 준수해 실제 제품을 양산하고 있음을 인증 받는 레벨3를 받았다. LG전자는 이번
KG 모빌리티(KGM)가 LPG의 높은 경제성을 선호하는 고객들의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해 ‘바이퓨얼(Bi-Fuel)’ 모델의 라인업을 총 5개 차종으로 확대한다고 3일 밝혔다. KG 모빌리티 바이퓨얼 모델 라인업 확대(액티언) ‘바이퓨얼’ 모델은 현재 △토레스에 적용 중이며 이번 라인업 확대로 △액티언 △ 토레스 밴 △코란도 △티볼리 등 4개 모델을 새롭게 추가해 선보인다. ‘바이퓨얼’은 경제성 높은 LPG와 가솔린의 엔진 성능을 동시에 사용해 각각의 연료가 갖는 장점을 결합한 방식으로, 가솔린 모델 대비 30~40%의 연료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어 경제적이다. 도넛형 LPG 봄베(58ℓ)와 가솔린 연료탱크(50ℓ)를 완충하면 한 번의 충전(주유)으로 최대 1000km 주행 가능하며, 주연료인 LPG가 모두 소진되면 가솔린으로 자동 전환되기 때문에 충전소를 찾아다녀야 하는 번거로움이 덜해 장거리 운행 시 편리하다. 또한, 운행 상황에 따라 운전자가 연료 전환 버튼을 눌러 필요에 맞는 연료 타입을 선택하고 유연하게 전환할 수 있어 연료를 더욱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기존 LPG 차량의 약점으
제네시스는 12월 2일 ‘GV70 전동화 부분변경 모델’의 내·외장 디자인을 공개하며, 더욱 고급스러워진 감성과 첨단 기술을 통해 전기차 라인업의 완성도를 높였다고 밝혔다. 제네시스 브랜드는 2일 `GV70 전동화 부분변경 모델`의 내∙외장 디자인을 공개했다. 제네시스 브랜드는 12월 2일 럭셔리 중형 전동화 SUV인 ‘GV70 전동화 부분변경 모델(이하 GV70 전동화 모델)’의 내·외장 디자인을 공개했다. 기존 모델의 세련된 디자인을 계승하면서도 정교한 디테일과 첨단 기술을 추가해 완성도를 높였다. 외관 디자인은 제네시스의 디자인 철학인 ‘역동적인 우아함(Athletic Elegance)’을 바탕으로, 그라데이션 형태의 G-매트릭스 패턴 크레스트 그릴과 MLA(Micro Lens Array) 헤드램프를 적용해 세련미를 극대화했다. 후면부는 방향지시등을 리어 콤비램프로 이동시키고, 크롬 가니쉬를 더해 디자인 통일성을 강화했다. 신규 외장 색상으로 세레스 블루(유/무광)가 추가돼 선택의 폭을 넓혔다. 실내는 제네시스의 독창적인 ‘여백의 미’를 살려
삼성전자는 12월 1일부터 5일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북미영상의학회(RSNA 2024)에서 소아과 통합 솔루션과 AI 진단 기술을 기반으로 한 첨단 의료기기 포트폴리오를 선보이며 글로벌 의료기기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했다고 밝혔다. 삼성전자와 삼성메디슨은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북미영상의학회(RSNA 2024)에서 최신 초음파, 디지털 엑스레이, 이동형 CT 등 첨단 의료기기와 소아과 특화 솔루션을 공개했다. 삼성전자와 삼성메디슨은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북미영상의학회(RSNA 2024)에서 최신 초음파, 디지털 엑스레이, 이동형 CT 등 첨단 의료기기와 소아과 특화 솔루션을 공개했다. 특히 저선량 기술과 AI 진단 보조 기능을 활용한 혁신적 제품군은 참석자들로부터 높은 관심을 받았다. 이번 RSNA에서 삼성은 소아과 환자를 위한 맞춤형 의료기기 솔루션을 제시했다. 신제품 초음파 진단기기 ‘TA2-9’는 기존 성인용 대비 42% 작은 헤드로 설계돼 소아 심장 진단의 정확성을 높였으며, 신생아 전용 ‘L3-22’ 프로브는 폭넓은 주파수 대역으로 신생아 전신 스캔을 지원한다. 디지털 엑스레이 전 제품은 FDA의 저선량
LG전자는 12월 2일 경기도 평택 칠러 공장에서 산업통상자원부와 간담회를 열고 AI 데이터센터의 냉각시스템 시장 공략을 위한 전략적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왼쪽 다섯 번째)과 이재성 LG전자 ES(Eco Solution)사업본부장(왼쪽 여섯 번째)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LG전자가 초대형 냉방기 칠러(Chiller)를 앞세워 글로벌 AI 데이터센터 냉각시장 선점에 나섰다. 12월 2일 평택 칠러 공장에서 열린 산업통상자원부 수출현장 지원단 간담회에서 LG전자는 산업부와 함께 데이터센터 열관리 솔루션의 수출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칠러는 냉각수를 통해 데이터센터 장비의 발열을 관리하는 핵심 장비로, LG전자는 터보 칠러, 흡수식 칠러, 스크류 칠러 등 다양한 모델을 평택 공장에서 생산한다. 주요 제품인 터보 칠러는 국내 시장 점유율 1위, 글로벌 5위를 기록하며 시장 경쟁력을 입증하고 있다. 특히, LG전자는 무급유 자기베어링 기술을 대용량 공랭식 칠러에 적용해 소음과 에너지 손실을 줄이는 차별화된 기술력을 확보했다. 이 기술은 압축기 모터의 회전축을 전자기력으로 떠받쳐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기존 급유 베어링 대비 성능과
산업통상자원부는 12월 2일 LG전자 평택칠러공장에서 AI 데이터센터 냉각시스템 생산 현장을 점검하며, 3,500억 원 규모의 수출보험 지원과 R&D 투자 등을 통해 글로벌 데이터센터 시장 진출을 본격적으로 지원한다고 밝혔다. LG전자 평택칠러공장을 방문하여, 이재성 LG전자 부사장 안내로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냉각시스템 생산라인 현장을 둘러보고, AI 데이터센터 시장과 냉각 공조기 현황 및 전망 등을 논의하고 업계의 애로 · 건의사항을 청취했다. 산업통상자원부 안덕근 장관은 12월 2일 LG전자 평택칠러공장을 방문해 AI 데이터센터 냉각시스템의 생산라인을 점검하고 업계와 소통했다. 이번 방문은 정부가 AI반도체, 전력기자재에 이어 데이터센터 냉각시스템을 차세대 수출 성장 동력으로 육성하기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이루어졌다. 냉각시스템은 데이터센터 장비 과열 문제를 해결하는 필수 기술로, 칠러와 액침냉각이 주요 품목으로 떠오르고 있다. 칠러는 냉각수를 공급해 데이터센터 내부 장비를 식히는 장치이며, 액침냉각은 서버를 전기전도성이 없는 특수 액체에 담가 냉각하는 기술이다. 안 장관은 “데이터센터는 AI 구현의 핵심 인프라”라며,
현대건설은 2024년 도시정비사업 수주액이 6조 612억 원을 기록하며 국내 최초로 6조 원을 돌파했다고 12월 2일 밝혔다. 이번 성과는 신반포2차아파트와 마장세림 재건축 사업 수주로 가능했다. 현대건설이 2024년 도시정비사업 수주액이 6조 612억원을 기록하며 국내 최초로 6조 원을 돌파했다. 현대건설은 신반포2차아파트와 마장세림 재건축 사업을 연이어 수주하며, 2024년 도시정비사업 누적 수주액 6조 612억 원을 기록했다. 이는 국내 건설사 중 최초로 도시정비사업 수주 6조 원을 돌파한 사례로, 올해만 9개 사업지를 확보하며 업계 선두 자리를 공고히 했다. 신반포2차아파트 재건축 사업은 서울 서초구 잠원동에 위치한 사업지로, 지하 4층~지상 48층 9개 동 규모의 공동주택 2,056세대를 조성한다. 현대건설은 세계적 건축가이자 프리츠커상 수상자인 2포잠박(2PORTZAMPARC)과 협력해 한강과 조화를 이루는 독창적 디자인을 선보인다. 대지 레벨을 높이고 필로티 설계를 적용해 모든 세대가 한강 조망을 누릴 수 있도록 했으며, 외벽에는 클림트 파사드 패턴과 최고급 세라믹 패널을 적용해 단지를 하나의 예술작품으로 완성했다. 마장세림 재건축 사업은 서울
현대자동차는 2일, 2024년 11월 글로벌 시장에서 전년 동월 대비 3.7% 감소한 35만 5,729대를 판매했다고 발표했다. 국내 판매는 12.3%, 해외 판매는 1.6% 각각 감소했다. 현대자동차는 2일, 2024년 11월 글로벌 시장에서 전년 동월 대비 3.7% 감소한 35만 5,729대를 판매했다고 발표했다. 현대자동차는 2024년 11월 국내에서 6만 3,170대, 해외에서 29만 2,559대를 판매해 총 35만 5,729대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동월 대비 3.7% 감소한 수치다. 국내 시장에서는 세단 부문에서 그랜저(5,047대), 쏘나타(6,658대), 아반떼(5,452대)가 판매됐으며, 총 1만 7,891대를 기록했다. RV 부문에서는 싼타페(7,576대), 투싼(5,583대), 코나(2,034대), 캐스퍼(3,745대)가 팔리며 총 2만 2,978대의 실적을 냈다. 상용차 부문은 포터 4,682대, 스타리아 4,094대, 중대형 버스 및 트럭 2,401대를 포함해 총 1만 178대를 판매했다. 프리미엄 브랜드 제네시스는 G80(3,487대), GV80(3,362대), GV70(3,155대) 등 총 1만 951대를 기록했다. 해외
기아는 2024년 11월 글로벌 시장에서 총 26만 2,426대를 판매해 전년 동월 대비 0.8% 증가했으며, 국내 판매는 감소했지만 해외 판매는 증가세를 기록했다고 12월 2일 밝혔다. 기아는 2024년 11월 글로벌 시장에서 총 26만 2,426대를 판매해 전년 동월 대비 0.8% 증가했으며, 국내 판매는 감소했지만 해외 판매는 증가세를 기록했다고 12월 2일 밝혔다. 기아는 2024년 11월 글로벌 시장에서 국내 4만 8,015대, 해외 21만 3,835대, 특수 차량 576대 등 총 26만 2,426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동월 대비 0.8% 증가한 수치다. 국내 판매는 4.0% 감소했지만, 해외 판매는 1.9% 증가하며 전체 성장을 견인했다. 국내 시장에서는 쏘렌토가 10,434대로 가장 많이 판매됐으며, 레이(4,753대), K8(4,336대), K5(2,645대) 등 승용차는 총 1만 3,300대가 팔렸다. RV 차종은 쏘렌토, 카니발(7,516대), 셀토스(4,887대), 스포티지(4,233대) 등 총 3만 1,509대가 판매되며 주요 비중을 차지했다. 상용차는 봉고Ⅲ(3,083대)를 포함해 3,206대가 팔렸다. 해외 시장에서는 스포티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