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5일 주재한 8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금융투자 활성화 및 과세 합리화를 위한 금융 세제 선진화 추진 방향'을 발표했다. 사진은 홍 부총리가 17일 국회 기재위원회에 참석한 모습. (사진=김상림 기자)2023년부터 국내 상장주식 양도소득은 2000만원 이상 수익의 2000만원을 뺀 나머지 양도차익에 대해 20%의 세율이 적용된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5일 주재한 8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금융투자 활성화 및 과세 합리화를 위한 금융 세제 선진화 추진 방향'을 발표했다. 홍 총리는 “최근 금융시장은 신종 금융상품의 출현 등 급격한 변화가 진행되고 있으나, 복잡한 금융 세제는 금융투자에 애로로 작용하고 있다는 지적이 있다”며, 금융산업의 혁신을 뒷받침하고 생산적 금융으로 거듭나기 위한 금융 세제 개편을 추진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종합소득, 양도소득과 별도로 분류 과세되는 ‘금융투자소득’을 신설하고 2022년부터 적용한다. 모든 금융투자상품에서 발생하는 소득을 하나로 묶어 동일한 세율로 과세하고, 금융투자소득 내에서는 손익통산(소득과 손실금액의 합산) 및 3년 범위 내 손실의 이
올라프 숄츠 독일 재무장관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COVID-19) 화를 당하더라도 강력한 기후변화 대책을 강구해 나갈 것이라며 목표 달성을 위해 크게 전진했다고 강조했다. 위 사진은 독일의 에너지 회사 우니퍼(uniper)의 갈탄(brown coal)화력발전소 (사진=파워맥닷컴 캡처) 독일 정부는 24일(현지시간) 각료회의에서 갈탄을 사용한 화력 발전소를 운영하는 공기업에 대해 43억 유로(약 5조 8,194억 500만 원) 규모의 보상 제도를 승인했다고 일본 아사히신문이 25일 보도했다. 독일은 기후변화 대책으로서 2038년까지 석탄 화력 발전을 철폐할 계획으로, 이번 보상 제도는 그 일환이다. 올라프 숄츠 독일 재무장관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COVID-19) 화를 당하더라도 강력한 기후변화 대책을 강구해 나갈 것이라며 목표 달성을 위해 크게 전진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보상 제도에 대해, 앙겔라 메르켈 정권과 영향을 받는 전력 대기업의 RWE, 우니퍼(Uniper), EnBW(에너지공급주식회사), 빈터샬 등은 합의가 끝난 상태라고 말했다. 갈탄발전의 삭감에는 탄광 지역에 400억 유로(약 54조 1,440억 원)의 투자 등 거액의 비용이 필요하다. 메르
SK바이오팜의 일반 투자자 대상 공모주 청약에 31조원의 증거금(계약금)이 몰렸다. (사진=SK바이오팜 제공) 글로벌 신약 개발 기업 SK바이오팜의 일반 투자자 대상 공모주 청약에 31조원의 증거금(계약금)이 몰렸다. 경쟁률이 무려 323.02대 1로, 과거 제일모직을 뛰어넘는 역대 최대 기록이다. 금융투자 업계에 따르면 지난 24일까지 이틀간 진행된 SK바이오팜의 일반 공모주 청약에 총 23만838건(12억6485만3070주)이 접수됐다. 회사별로는 한국투자증권이 351.09대1로 가장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으며, NH투자증권(325.17대1), 하나금융투자(323.30대1), SK증권(254.47대1) 순이었다. 통합 경쟁률 기준으로 계산하면 증거금(증거금률 50%) 1억원으로 약 4080주(주당 4만 9000원)를 청약한 투자자의 경우 12주 정도의 주식을 배정받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청약 증거금은 총 30조9899억원이 모집됐다. 이는 지난 2014년 제일모직이 세운 역대 최대 증거금인 30조649억원(194.9대 1)을 넘어 국내 기업공개(IPO) 사상 가장 큰 금액이다. 한편, SK바이오팜은 2011년 SK의 생활과학(라이프 사이언스) 사업
올해 4개국에서의 미국 타이어 수입은 약 40억 달러 규모로 이 중 태국이 20억 달러 가까이, 한국이 12억 달러를 차지했다. (사진=미국 컨슈머리포트) 미국 상무부는 23일(현지시각) 한국, 대만, 태국, 베트남으로부터 수입하고 있는 자동차용 타이어에 대해서, 반덤핑(Anti-Dumping) 조사를 개시했다고 발표했다. 특히 베트남과 관련해서는 메이커가 자동차·경트럭용 타이어(PVLT 타이어)용으로 부당한 보조금을 받고 있는지 여부도 조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반덤핑 조사 개시는 전미철강노동조합(USW)이 지난 5월의 제기에 따른 대응이다. 올해 4개국에서의 미국 타이어 수입은 약 40억 달러 규모로 이 중 태국이 20억 달러 가까이, 한국이 12억 달러를 차지했다. USW에 따르면, 4개국·지역으로부터의 타이어 수입은 2017년 이후 20%가까이 증가하고 있다. 미 상무부는 덤핑마진(Dumping Margin)은 한국이 43~195%, 대만은 21~116%, 태국은 106~217.5%, 베트남은 5~22%라고 밝혔다. USW는 프랑스 미쉐린, 미 굿이어·타이어·앤드·러버, 미
유명희(위 사진) 통상교섭본부장은 지난 25년간 통상 분야에서 폭넓은 경험과 전문지식을 갖춘 현직 통상장관으로, 차기 WTO 사무총장에 적합한 충분한 자질과 역량을 인정받고 있다. (사진 : 산업통상자원부)한국 산업통상자원부의 유명희(53) 통상교섭본부장이 24일 기자 회견을 하고, 세계무역기구(WTO) 차기 사무총장 선거의 입후보를 표명했다며 일본 언론이 지대한 관심으로 이날 보도했다. 반도체 재료의 수출 규제 강화의 시비를 둘러싸고 WTO에서 일본과 한판 붙어야 하는 가운데 한국의 여성 후보가 입후보하겠다는 것이다. 유명희 본부장은 일본과의 통상 분쟁에의 영향에 대해 “WTO 사무총장은 특정 소송으로 특정 국가를 대변하는 포스트는 아니다”며 특정국가에 대한 영향은 없다고 말했다고 산케이 신문이 전했다. 한국은 일본의 반도체 재료 수출규제 강화는 부당하다며 WTO 분쟁해결 절차를 재개했다. 유본부장은 지난해 7월에 수출규제 강화 조치가 발동된 이후, 대응 등에 관여해왔다. 유 본부장은 “일본의 조치는 WTO 등의 국제 규범에 합치하지 않는다”고 비판하며 철회를 강하게 요구해 왔다고 신문은 전했다. 한국의 WTO 사
고젝(Gojek)은 미국 구글이나 중국 IT대기업, 텐센트홀딩스(騰訊控股) 외, 일본 기업에서는 미츠비시상사(三菱商事)와 미츠비시 자동차(三菱自動車)가 공동으로 출자한 회사이다. (사진=고젝 홈페이지 캡처)인도네시아의 배차와 배송 서비스 대기업 고젝(Gojek)은 23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COVID-19)의 감염 확대의 영향으로 일부 서비스를 중지함과 함께 직원의 약 9%에 해당하는 430명을 해고한다고 발표했다고 현지 언론을 인용 교도통신이 24일 보도했다. 이번 업무 정지는 마사지사나 청소원의 파견 등이며, 사회적 거리를 유지하기가 어려운 서비스 분야이다. 고젝은 스마트폰 앱을 통해 오토바이와 차량 배차, 음식 택배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저렴한 가격에 제공하면서 급성장했다. 200만명 이상의 오토바이 드라이버(driver)를 파트너로 하고 있어. 고젝은 미국 구글이나 중국 IT대기업, 텐센트홀딩스(騰訊控股) 외, 일본 기업에서는 미츠비시상사(三菱商事)와 미츠비시 자동차(三菱自動車)가 공동으로 출자한 회사이다. 이 달 3일에는 미국의 페이스북(facebook)과 미국 결제 서비스 대기업 페이팔(Paypal)로부터의 출자 수락을 발표했었다.
대책안에 따르면, 추가 차입을 수반, 공적채무 대비는 157%로 현재 상정의 155.7%를 웃돌게 된다.(사진=유튜브 캡처)이탈리아 정부가 150-200억 유로(약 20조 4,352억 원~약 27조 2,470억 원) 규모의 새로운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대책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국내총생산(GDP) 대비 재정적자 대비 11%가 넘는 것으로 추산된다. 새 대책안은 의회의 승인이 필요하다. 대책안에 따르면, 추가 차입을 수반, 공적채무 대비는 157%로 현재 상정의 155.7%를 웃돌게 된다. 이번 추가 부양책 검토는 일시 해고된 근로자의 수입 보전이나 도시봉쇄(lockdown, 록다운) 조치로 세수가 줄어든 지방자치단체를 지원하기 위한 자금을 늘릴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미국의 조강생산은 36.6%, 일본은 31.8%, 유럽연합(EU)은 26.8%, 모두 감소했다. 인도는 39.1% 감소했지만, 한국은 14.1% 감소하는 데 그쳤다. (사진=세계철강협회 홈페이지 캡처) 세계철강협회(WSA)가 22일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5월 세계 조강생산은 지난해 같은 달 대비 8.7% 감소한 1억 4천 880만 톤으로 집계됐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의 감염 확대로, 많은 철강 메이커들이 가동을 일시 중단했던 것이 그 배경이다. 한편, 중국의 조강 생산은 전년 동월 대비 4.2%증가의 9천 230만 톤이었다. 중국은 세계 최대의 조강 소비국이자 생산국이다. 이 밖에 미국의 조강생산은 36.6%, 일본은 31.8%, 유럽연합(EU)은 26.8%, 모두 감소했다. 인도는 39.1% 감소했지만, 한국은 14.1% 감소하는 데 그쳤다.
국내총생산(GDP)과 유예액 비교를 보면 부탄은 GDP 대비 7.3%, 앙골라 3.7%, 지부티 2.5% 순이다. DSSI는 20개국·지역(G20) 국제통화기금(IMF), 세계은행, 파리클럽(주요 채권국회의) 등에서 지원된다. (그래픽=경제타임스)세계 최빈국이 안고 있는 채무는 세계은행(World Bank) 등에 의한 구제 프로그램에 의해 2020년에는 120억 달러 이상의 지불을 유예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세계은행이 19일(현지시간)에 공표한 데이터에서 확인됐다. 코로나19 감염 확산에 따라 도입된 채무지급유예서비스이니셔티브(DSSI, Debt Service Suspension Initiative) 하에서의 유예는 올해 말까지의 단기 조치이다. 어디까지나 지불 기한을 연기하는 것이며, 완전하게 지불이 면제되는 것은 아니다. 세계은행 데이터에 따르면, DSSI 적용국 가운데 가장 유예 액이 큰 곳은 24억 달러의 파키스탄이며, 그 뒤를 8억0200만 달러의 케냐가 잇고 있다. 국내총생산(GDP)과 유예액 비교를 보면 부탄은 GDP 대비 7.3%, 앙골라 3.7%, 지부티 2.5% 순이다. DSSI는 20개국·지역(G20) 국제
한국거래소는 지난 19일 주식시장에서 ‘케이(K) 바이오’ 대표업체로 꼽히던 신라젠을 상장폐지 여부를 결정하는 ‘상장 적격성 실질심사’ 대상에 올렸다고 밝혔다. (사진=경제타임즈 자료사진) [경제타임스=김석규 기자] 한국거래소는 지난 19일 주식시장에서 ‘케이(K) 바이오’ 대표업체로 꼽히던 신라젠을 상장폐지 여부를 결정하는 ‘상장 적격성 실질심사’ 대상에 올렸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달 4일 신라젠의 주식 거래를 정지한 데 이은 조치다. 상장 적격성이 인정되면 거래가 재개될 수 있으나 그 반대의 결정이 나면 코스닥시장위원회로 최종 판단이 넘어간다. 신라젠은 지난해 8월 에프디에이의 임상시험 중단 권고가 나오면서부터 몰락의 길을 걷기 시작했음에도 경영진들이 이같은 사실을 숨기고 주식을 팔아치운 혐의 등으로 재판에 넘겨졌다. 신라젠이 주식 거래정지 한 달여 만에 다시 상장폐지 위기에까지 몰리자 신라젠 주주모임인 ‘신라젠행동주의주주모임’은 오는 7월10일 예정된 상장 실질심사를 위한 기업심사위원회에 맞춰 여의도 한국거래소 앞에서 1박2일 대규모 집회를 준비하고 있다. 오는 26일에는 신라젠 경영진과 만나 강도 높은 쇄신책을 담은 경영개선계획서를 거래소에 제출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