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지금까지 호주산 와인에 대해 반덤핑 관세 (Anti-Dumping Tariff)를 최대 212%까지 부과하고, 호주산 구리(Copper), 설탕(Sugar), 목재(Lumber) 수입을 규제하고 있다. (사진 : 유튜브 캡처) 중국과 호주가 갈수록 반목이 깊어지면서 특히 중국이 호주에 대한 강력한 수입규제에 나서면서 긴장감이 더욱더 커지고 있다. 중국 관영 영자신문인 글로벌타임스(Global Times)는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가 지난 13일 모든 발전소에 호주산을 제외하고, 무제한으로 석탄을 수입할 수 있도록 허가했다고 보도했다. 이와 관련,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는 15일 중국의 호주산 석탄 수입금지조치는 세계무역기구(WTO)규정을 위반한 것이며, 나아가 이 보도가 사실이라면, “이는 호주와 중국이 지난 2015년에 맺은 자유무역협정(FTA) 또한 위반한 것”이라며 중국에 반박했다. 모리슨 총리는 이어 “(중국의) 이러한 조치는 무역관계에 나쁜 결과를 가져올 것이며, 정치적 문제와 교역을 결합하는 것은 다른 많은 무역 상대국들에 불확실성을 초래하게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사이먼 버밍엄 호주 통산투자관광부
인도 정부 관리들은 이번 조치는 최근 인도-중국 국경지대 라다크에 침입, 20명의 인도 육군 요원이 사망 한 것과 관련, 인도의 불만을 분명히 알리기 위한 것이며, “설령 비용이 더 많이 든다고 해도 우리는 그들(중국)과 거래 할 수 없다”고 말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사진 : 이코노믹 타임스 해당기사 일부 캡처)인도 정부가 대중(對中) 수입 규제의 일환으로 랩탑, 카메라, 알루미늄 제품, 섬유제품 등을 포함한 약 20개의 제품군에 대해 관세 인상을 고려 중이라고 인도 이코노믹 타임스가 1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인도 정부 고위 관계자는 “이 제품군들이 중국에서 주로 수입되는 것은 사실이나, 이번 규제가 중국만을 겨냥한 것은 아니다”고 언급했다. 최근 베트남, 태국 등 인근 자유무역협정(FTA) 체결국으로 수입선이 다변화되면서 인도 정부의 관세 인상 움직임이 감지된 적이 있으며, 최근 인도 상공부는 타이어와 컬러TV에 대한 수입 규제를 시행한 적이 있다. 일부 철강 제품은 라이센스 기관인 대외 무역 사무국에 의해 수입 제한을 고려하고 있다. 일부 수입 제한 외에도 나렌드라 모디(Narendra Modi)총리 행정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