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소재 한 시장에서 시민이 수산물을 구입하고 있다. (경제타임스 자료사진)국내 수산물 원산지 단속률이 최근 3년간 1~2%대로 집계되며, 유통관리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양수산부 산하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이 김영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최근 3년간 수산물 원산지 단속현황’에 따르면 연간 수산물 단속률이 2017년 1.1%, 2018년 1.2%, 2019년 2.1%에 그쳤다. 수산물 원산지 단속대상 업소는 수산물시장, 중소형 마트, 횟집(수족관), 일반음식점 등으로 2017년 104만 곳, 2018년 101만 곳, 2019년 137만 곳에 달한다. 그러나 그중 단속업소 수는 17년 1만1천 곳, 18년 1만2천 곳, 19년 2만9천 곳에 불과한 것이다. 수산물 원산지 단속대상 업소는 수산물시장, 중소형 마트, 횟집(수족관), 일반음식점 등으로 2017년 104만 곳, 2018년 101만 곳, 2019년 137만 곳에 달한다. 그러나 그중 단속업소 수는 17년 1만1천 곳, 18년 1만2천 곳, 19년 2만9천 곳에 불과했다. (자료=김영진 의원실) 또 수산물 원산지 단속인력인 특별사법경찰(조사공무원)은 2017년 기준 13
단속반이 원산지 표시 지도점검을 하는 모습. (사진=송파구) [경제타임스=김은미 기자] 송파구는 설 명절을 앞두고 제수용·선물용 농수축산물에 대한 원산지 표시 지도점검을 17일까지 실시한다고 밝혔다. 공무원과 소비자 식품 위생감시원 등으로 구성된 민·관 합동단속반을 중심으로 집중 점검에 나선다. 점검반은 주민들이 자주 이용하는 대형 마트와 백화점을 비롯해 풍납시장·새마을 시장·마천시장·석촌시장·방이시장 등 지역 내 전통시장 등 200여 점포를 대상으로 점검을 펼칠 계획이다. 주요 점검 품목은 △도라지·고사리·버섯·곶감·사과·감·대추 등 농산물 △굴비·조기·명태·문어 등 수산물 △쇠고기·돼지고기·닭고기 등 축산물이다. 명절에 특히 수요가 많은 제수용품과 선물용품을 집중 점검한다. 이번 점검에서 ▲값싼 외국산을 국산으로 둔갑 판매 행위 ▲원산지 표시 적정 여부 ▲지역 특산품 원산지 거짓표시 판매 행위 ▲유통기간 경과 및 냉장·냉동 품목 상온 보관 등 비위생적인 판매 행위 등을 면밀히 살필 계획이다. 구는 현장에서 구입 거래명세서와 상품의 외형·색·냄새를 살피고, 원산지 표시 위반이 의심되는 품목을 수거해 전문기관에 원산지 검정을 의뢰할 계획이다. 현장 시정조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