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구로구의회는 ‘제283회 정례회 제5차 본회의’에서 총 14건의 안건을 처리하며 29일 간의 정례회 일정을 지난 25일 모두 마무리했다. (사진 = 구로구의회 제공) 이성 구로구청장이 오류시장 공공개발 추진과 관련해 부정적인 입장을 밝혀 논란이 예상된다. 민간사업자에 의해 두 차례 오류시장 정비사업이 추진됐지만 여러 가지 이유로 좌초되면서 구의원과 오류시장 상인 등은 "믿을 만한 주체가 개발해야 한다"며 공공개발 추진을 방안으로 주장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서울시 구로구의회는 ‘제283회 정례회 제5차 본회의’에서 총 14건의 안건을 처리하며 29일 간의 정례회 일정을 25일 모두 마무리했다. 구의회는 이번 정례회에서 2019년 행정사무감사 결과 시정 및 건의사항과 우수사례 등 216건을 채택하고, 2018회계연도 예산·재무회계 통합결산승인안 등 16개 안건을 처리했다. 특히 이번 정례회 기간 중 시책분야 구정 질문에서 구로구 주민의 숙원 사업인 오류시장 개발 및 광명서울고속도로 건설과 관련한 이 성 구청장의 답변이 관심을 끌었다. 곽윤희(자유한국당·오류1·2동, 수궁동, 항동, 천왕동) 구의원은 구정 질문을 통해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책은
50여 년의 역사를 지닌 서울시 구로동 오류시장이 지난 10여 년 동안 지역 흉물로 변해가고 있지만 지역 관할인 구로구청은 ‘절차’만 강조하며 정비사업 추진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사진 = 이종혁 기자) 50여 년의 역사를 지닌 서울시 구로동 오류시장이 지난 10여 년 동안 지역 흉물로 변해가고 있지만 지역 관할인 구로구청은 ‘절차’만 강조하며 정비사업 추진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일각에서는 구청이 앞서 2차례 무산된 오류시장 정비사업 과정에서의 적극적인 추진 의지를 보였던 것과 대조적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또 시장 상인과 주민들은 구청이 나서는 ‘공공개발’을 제시하고 나섰지만 ‘묵묵부답’인 구청이 인근의 고척근린시장 및 남구로시장과 차별하고 있다는 볼멘소리도 있는 실정이다. 14일 구로구청과 오류시장대책위원회에 따르면 오류시장은 민간사업자에 의해 두 차례 정비사업이 추진됐지만 여러 가지 이유로 좌초됐다. 이 과정에서 지역 토박이 상인 3분의 2는 삶의 터전을 떠났다. 남아 있는 16개 점포 상인들은 ‘공공개발’이라는 대안을 찾고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