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정부와 의회가 통과시킨 경제대책은 모두 3조 달러에 이르며, 이로 인해 경기를 떠받쳐 왔다. 실업급여를 포함한 각종 대책이 실효되는 '재정절벽'에 대한 대처가 늦어지면, 소비 위축과 기업도산 급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 미국 경기가 한 고비를 맞이하고 있다. (사진 : 위키피디아)미국의 본격적인 경기회복이 지연될 우려가 대두되고 있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유행의 “제2의 물결”의 도래가 점쳐지고 있고, 경제활동이나 고용이 다시 속도를 잃을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일본의 산케이 신문이 30일 보도했다. 4~6월기의 실질 국내 총생산(GDP)은 연율 마이너스 30%초과의 침체가 전망된다. 일부에서는 2분기 미국 경제성장률은 -34.7%가 될 것으로 예측하기도 한다. 미 행정부와 의회의 추가 경제대책 수립도 지연되고 있어 경기 개선에 부담이 되고 있다. 콜린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은 29일(현지시각) 미국에서 감염 확대가 새로운 단계에 들어섰다고 말했다. 코로나19의 제1 물결이 수습되기도 전에 제 2물결이 일어나 감염자수는 약 440만 명에 이르렀다. 영업규제 등의 대책이 각지에서 재개되어 “
미치 매코넬 상원의원은 공화당원들이 기존 프로그램들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보고 싶었지만, 이제 대유행의 경제적 여파를 해결하기 위해 ‘맞춤형 및 표적형 초안(tailored and targeted draft)’을 제시했다고 말했다.(사진 : 백악관 홈페이지)미국 공화당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Pandemic)으로 인한 경제적 피해를 해결하기 위해 추가로 1조 달러(약 1,197조 원)을 지출할 것을 제안했다고 영국의 비비시(BBC)방송이 28일 보도했다. 이번 공화당이 제안한 계획에는 학교에 1,000억 달러(약 119조 7,000억 원)와 대부분의 미국인에게 최대 1,200달러(약 143만 6,400 원)의 경기 부양금을 지급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이 계획에 따르면, 이번 지급은 대유행 기간 동안 단순히 실업급여를 600달러(약 71만 8,200 원) 인상하는 것을 대체하는 것이다. 이번 공화당 제안은 “완전히 불충분하다”고 말한 민주당원들과의 협상의 장을 마련히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미국은 이미 코로나 바이러스 구제 대책에 2.4조 달러(약2,872조 8,000억 원) 이상을 지출해 기업과 개인 가계에
코로나19의 세계적 대유행과 감염 방지책이 “과거의 경기후퇴와는 다른 특징과 역학을 수반하는 침체”로 연결되었다고 경제연구소는 설명하고, 급격한 경기 수축이 일어났기 때문에, 이른 단계에서 경기 후퇴를 선언했다고 밝혔다. (그래픽 : 경제타임스)미국의 경기순환을 판정하는 미국 경제연구소(NBER,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는 8일(현지시각) 신종 코로나바이러스(COVID-19) 감염 확대의 영향으로 올해 2월을 정점으로 미국이 경기후퇴기(Recession)에 들어갔다고 공식 발표했다. 금융 위기였던 ‘리먼·쇼크 후인 지난 2009년 6월에 시작된 경기 확대기는 기록을 거슬러 올라 1854년 이후 사상 최장인 10년 8개월(128개월)만에 종료했다. NBER는 경기수축의 기간 등 폭넓게 경제활동이 침체했는지 등을 고려해, 경기후퇴를 선언한다. 통상 경기후퇴기에 접어든 지 6개월~1년 이상 지난 뒤에야 판정을 내린다. 그러나 이번은 코로나19의 세계적 대유행과 감염 방지책이 “과거의 경기후퇴와는 다른 특징과 역학을 수반하는 침체”로 연결되었다고 경제연구소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