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게임, 게임의 인간』 : 놀이를 넘어 문화가 되다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게임은 더 이상 단순한 ‘놀이’가 아니다. 숭실대학교 IT정책경영학 박사과정 연구자이자 30년 경력의 게이머인 박종윤 작가의 신간 『인간의 게임, 게임의 인간』(위즈덤하우스 출판)은 게임을 인류 문명과 함께 진화해 온 문화적·철학적 현상으로 재조명한다. 이 책은 게임이 인간의 사고, 감정, 사회 구조에 어떤 영향을 미쳐왔는지를 탐구하며, “게임은 삶의 구조를 반영하고, 인간은 그 안에서 또 다른 문화를 창조한다”는 주장을 일관되게 전개한다. 문화 비평서가 아닌, 디지털 시대 인간의 존재론적 성찰서다. ■ ‘놀이’에서 ‘문화’로…게임의 진화사 해부 『인간의 게임, 게임의 인간』은 “게임은 인간의 본성에서 비롯된 문화”라는 인식에서 출발한다. 고대 놀이와 경쟁의 기원을 다루는 1장을 시작으로, 게임이 직업·경제·소비문화로 확장된 과정을 인문학적 시선으로 해부한다. 저자는 게임을 인지발달, 예술, 커뮤니케이션의 매개체로 바라본다. ‘게임은 병일까 약일까’라는 논쟁적 질문을 던지며, 게임이 스트레스 해소와 협업 능력,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긍정적 역할을 다양한 사례로 설명한다. 특히 ‘해야 하는 독서’와 ‘하고 싶은 게임’ 사이의 간극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