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국내 게임산업이 ‘플랫폼의 벽’을 허무는 대전환기에 들어섰다.
넥슨·엔씨소프트·펄어비스·컴투스 등 주요 게임사들이 PC·모바일·콘솔을 아우르는 ‘크로스플랫폼(Cross Platform)’ 전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하지만 산업의 흐름과 달리 국내 규제 체계는 2006년 수준에 머물러 혁신의 발목을 잡고 있다는 지적이 커지고 있다.
■ 콘솔이 여는 ‘플랫폼 통합 시대’
10월31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대형 게임사들은 잇따라 콘솔 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다. 넥슨은 글로벌 콘솔용 신작 ‘아크 레이더스(ARC Raiders)’, 엔씨소프트는 ‘아이온2(AION 2)’, 컴투스홀딩스는 2025년 말까지 10개 이상 타이틀을 멀티 플랫폼으로 출시할 계획을 밝혔다.
과거에는 “개발비 대비 수익성이 낮다”는 이유로 외면받던 콘솔 시장이지만, 북미·유럽 중심의 충성도 높은 이용자층과 글로벌 IP 확장성 덕분에 새로운 성장 무대로 부상했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이하 한콘진)에 따르면 콘솔 게임은 글로벌 시장 점유율 28%, 국내 이용률은 **26.7%**로 매년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 “규제는 2006년에 멈춰”…크로스플랫폼 성장 발목
게임물관리위원회(게관위)의 심사비 체계와 중복 심사 제도는 크로스플랫폼 확산의 걸림돌로 꼽힌다. 현재 콘솔·PC 버전 각각에 대해 건당 356만 원대의 심사비를 추가로 내야 하며, 동일 게임이라도 플랫폼이 다르면 다시 심사를 받아야 한다.
국정감사에서는 “심사가 아닌 장사”라는 비판이 제기됐다. 게관위 2004년 자료에 따르면 전체 심사 요청 1만1832건 중 28%가 중복 심사였다. 하나의 게임을 여러 플랫폼에서 출시하는 글로벌 트렌드와 정반대의 방향이다.
■ “크로스플레이가 흥행의 핵심”…제도 개선 시급
한콘진은 보고서를 통해 “크로스플랫폼 지원 여부가 멀티플레이어 게임 성공의 핵심 요인”이라며 “제도적 규제가 이를 따라가지 못하면 국내 경쟁력은 뒤처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크로스플랫폼은 하나의 게임을 전 세계로 확장하는 생존 전략이다. 플랫폼의 경계가 허물어진 시대에 심사비와 절차 중심의 규제가 혁신 속도를 늦추고 있다는 점에서, 산업계는 정부의 신속한 제도 개편을 촉구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