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타임스 전영진 기자 | 최근 ‘빵플레이션’이 현실화되면서 소비자 물가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인기 품목인 베이글의 가격은 최근 3년 새 무려 44% 급등했으며, 소금빵과 샌드위치 역시 30% 이상의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그러나 이처럼 빵값이 치솟는 동안에도 제과점의 수익성은 악화하고 있어, 소비자와 자영업자 모두 이중고를 겪는 상황이다.
한국신용데이터(KCD)가 9일 발표한 '베이커리 시장 트렌드 리포트'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가장 많이 팔린 빵은 소금빵(15.7%)이었으며, 샌드위치(15.0%), 식빵(7.2%), 크루아상(5.3%), 베이글(5.2%)이 뒤를 이었다.
특히, 상반기 판매량 상위 10종 빵의 중위가격 변동 폭을 분석한 결과, 베이글의 상승률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2022년 6월 3천 원대 중후반이던 베이글 가격은 올해 6월 말 4,400원~4,900원 선으로 치솟아 44%의 상승 폭을 보였다. 샌드위치는 7,500원~8,300원으로 32% 올랐고, 한때 2천 원대 초반에 팔리던 소금빵은 3,300원~3,700원으로 30% 상승하며 통상 3천 원대 가격으로 자리 잡았다.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8월 빵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6.5%, 2022년 6월 대비로는 19.4% 상승했다. 베이글, 샌드위치, 소금빵의 가격 상승률은 이 평균 빵값 상승률의 두 배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빵값 급등에 따른 사회적 논란도 이어졌다. 지난 8월 경제 유튜버 슈카가 소금빵과 베이글을 990원에 판매하자, 일부 자영업자들이 “정상적인 가격 구조를 왜곡한다”며 강하게 반발해 해당 판매가 일주일 만에 중단되는 일이 발생하기도 했다.
더 큰 문제는 이처럼 가격이 올랐음에도 불구하고 제과업계의 수익은 오히려 악화하고 있다는 점이다.
KCD 조사 결과, 올해 6월 기준 '베이커리·제과점' 업종의 월평균 매출은 약 907만 원으로 최근 2년간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였으며, 결국 적자로 전환되었다. 이는 매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임대료, 재료비, 인건비 등 고정비 지출이 더 크게 늘어난 결과로 풀이된다.
결국 빵값 인상은 소비자에게는 큰 부담으로, 자영업자에게는 악화된 수익성으로 돌아오면서, 양측 모두에게 고통스러운 현실로 작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