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정부 관리들은 이번 조치는 최근 인도-중국 국경지대 라다크에 침입, 20명의 인도 육군 요원이 사망 한 것과 관련, 인도의 불만을 분명히 알리기 위한 것이며, “설령 비용이 더 많이 든다고 해도 우리는 그들(중국)과 거래 할 수 없다”고 말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사진 : 이코노믹 타임스 해당기사 일부 캡처)인도 정부가 대중(對中) 수입 규제의 일환으로 랩탑, 카메라, 알루미늄 제품, 섬유제품 등을 포함한 약 20개의 제품군에 대해 관세 인상을 고려 중이라고 인도 이코노믹 타임스가 1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인도 정부 고위 관계자는 “이 제품군들이 중국에서 주로 수입되는 것은 사실이나, 이번 규제가 중국만을 겨냥한 것은 아니다”고 언급했다. 최근 베트남, 태국 등 인근 자유무역협정(FTA) 체결국으로 수입선이 다변화되면서 인도 정부의 관세 인상 움직임이 감지된 적이 있으며, 최근 인도 상공부는 타이어와 컬러TV에 대한 수입 규제를 시행한 적이 있다. 일부 철강 제품은 라이센스 기관인 대외 무역 사무국에 의해 수입 제한을 고려하고 있다. 일부 수입 제한 외에도 나렌드라 모디(Narendra Modi)총리 행정부
인도 전자위원회는 국내 제조업자들이 직면한 적절한 인프라 부족, 높은 재정비용, 고품질 생산 어려움 등 전자 설계 및 제조 관련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 할 예정이다. (사진 : 이코노믹 타임스 해당 기사 캡처) 인도정부는 중국 수입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방안으로 인도 국내 전자제조업을 추진하는 전자위원회 (Electronics Commission) 설치 제안을 마무리 중에 있다고 이코노믹 타임스가 29일 보도했다. 중국산 전자 제품 수입은 인도 전체 수입의 32%를 차지하고 있으며, 2019~2020년에 655억 US$에 달했다. 인도 전자위원회는 국내 제조업자들이 직면한 적절한 인프라 부족, 높은 재정비용, 고품질 생산 어려움 등 전자 설계 및 제조 관련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 할 예정이다. 위원회 관계자는 “인도가 전자제품의 수출 중심지가 되도록 하는 것은 물론 국내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정부가 인도에 대규모 제조공장을 설립할 수 있도록 정부가 제시한 인센티브를 채우기 위해 이 위원회가 사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위원회는 전자 설계 및 제조와 관련된 모든 문제에 대해 산업 주체들을 촉진하고 산업계가 직면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