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도심항공교통(Urban Air Mobility·UAM) 실증사업자 자격’은 국토교통부가 도심항공교통 상용화를 위한 기술·운항·안전성 검증 능력을 갖춘 기관에 부여하는 공식 인증이다. 이는 단순한 연구참여 자격이 아니라, 향후 상용 UAM 사업자로 지정되기 위한 필수 관문으로 평가된다. UAM 실증사업자는 국토부가 추진하는 ‘K-UAM 그랜드챌린지(K-UAM Grand Challenge)’의 주체로서, 실제 운항 환경에서 항공기·관제·통신·안전 시스템 등을 통합 시험하고, 도심 내 저고도 항공교통의 운용 기준을 마련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실증사업자 지위를 얻기 위해서는 △비행체 운용 및 안전관리 능력 △지상 관제 인프라 △통신망 안정성 △조종·운항 인력 △기상·비상대응 체계 등 UAM 특별법이 규정한 기술·인력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이 자격을 획득한 기관은 이후 실증 결과를 토대로 국가 UAM 상용화 로드맵 내 ‘우선 사업자’로 지정될 가능성이 높으며, 국내 도심항공 산업 생태계의 핵심 주체로 자리하게 된다. 즉, ‘UAM 실증사업자 자격’은 하늘길 교통체계의 상용화를 이끌 핵심 기술 검증 기관이자, 향후 도심항공 서비스의 사업권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KT가 국토교통부로부터 도심항공교통(Urban Air Mobility·UAM) 실증사업자 자격을 공식 획득했다. 이번 지정으로 KT는 통신 기반 항공 인프라의 상용화 주체로 자리 잡으며,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시장의 핵심 플레이어로 부상했다. 10월22일 KT는 국토부가 부여한 ‘UAM 실증사업자’ 자격을 취득했다고 밝혔다. KT는 지난해 전남 고흥에서 열린 K-UAM 그랜드챌린지 1단계 실증 사업에서 통합 운용성과 비행 안전성, 관제 시스템 연동 등 핵심 기술을 성공적으로 검증한 바 있다. UAM 특별법이 요구하는 장비·인력 기준을 모두 충족한 것은 물론, 자체 구축한 5G 항공통신망과 AI 기반 운항통제 기술력이 국토부 평가단으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로써 KT는 국내 UAM 상용화 로드맵에서 선도 사업자 지위 확보라는 의미 있는 성과를 얻게 됐다. KT는 오는 10월 말부터 인천 계양~청라 아라뱃길 구간에서 진행되는 K-UAM 그랜드챌린지 2단계 실증에 참여한다. 이번 사업은 현대자동차, 현대건설, 인천국제공항공사, 대한항공이 함께하는 ‘K-UAM 원팀’ 프로젝트로, 국내 최초로 도심 환경에서의 UAM 통신·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