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Upbit)를 운영하는 두나무(Dunamu)는 2012년 설립된 핀테크·블록체인 전문기업으로, 현재 국내 가상자산 산업을 대표하는 선도 사업자다. 본사는 서울 강남구에 위치하며, 2024년 기준 국내 가상자산 시장 점유율 약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두나무는 2017년 10월 글로벌 블록체인 기업 비트렉스(Bittrex)와 제휴해 업비트(Upbit)를 출시하며 국내 가상자산 거래 시장에 본격 진입했다. 출범 직후 사용자 친화적 인터페이스, 철저한 보안 시스템, 은행 실명계좌 연동 등을 통해 빠르게 시장 점유율을 확보했고, 현재는 일평균 거래금액이 10조 원 안팎에 달한다. 업비트는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리플(XRP) 등 주요 가상자산뿐 아니라, 국내외 신규 코인 상장에도 적극적이며, 글로벌 거래소 수준의 투명한 상장 심사 프로세스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2021년 특정금융정보법(특금법) 시행 이후 금융위원회로부터 정식으로 가상자산사업자(VASP) 인가를 획득해 합법적으로 영업 중이다. 두나무는 단순 거래소를 넘어 블록체인 기반 금융 플랫폼 기업으로 성장하고 있다. 비상장주식 거래
경제타임스 김재억 기자 | 에코프로비엠(코스닥: 247540)이 종업원 상여금 지급을 위해 약 104억9204만원 규모의 자기주식을 처분한다. 20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에코프로비엠은 보통주 6만5168주를 주당 16만1000원에 처분할 예정이며, 처분 기간은 2025년 10월 22일부터 2026년 1월 21일까지다. 이번 처분은 회사가 보유한 자사주를 임직원의 증권 계좌로 직접 이체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처분 전 에코프로비엠의 자기주식 보유량은 보통주 7만1865주(지분율 0.07%)였으며, 이번 처분으로 대부분의 자사주가 소진될 전망이다. 회사 측은 “처분 금액은 이사회 결의일 직전일인 10월 17일 종가를 기준으로 산정했다”고 밝혔다.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국내 대표 IT기업 네이버(NAVER)와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Upbit) 운영사 두나무의 합병 추진이 10월20일 국정감사장에서 정면 도마에 올랐다. 거래가 현실화될 경우 재계 판도를 뒤흔들 초대형 빅딜임에도, 합병 절차와 정보공개가 ‘깜깜이’ 수준이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날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더불어민주당 민병덕 의원은 “네이버와 두나무의 합병은 산업적으로 긍정적일 수 있으나, 투명성과 절차적 정당성이 심각하게 부족하다”고 비판했다. 민 의원은 “재계 순위 22위 네이버와 36위 두나무가 합치면 KT(13위)에 이어 재계 14위 규모의 거대 플랫폼 기업이 탄생한다”며 “이런 대형 거래임에도 공식 문서는 ‘한 줄 공시’뿐”이라고 지적했다. 네이버는 앞서 조회공시를 통해 ‘두나무와 주식교환을 포함한 협력 관계를 검토 중이나, 구체적으로 확정된 바는 없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시장에서는 이미 구체적인 합병 시나리오와 주식교환 비율이 거론되고 있으며, 주가와 거래량이 급등한 점을 문제 삼고 있다. 민 의원은 “관련 보도가 오후 3시경 나왔는데, 그보다 훨씬 이른 오전 10시 40분부터 네이버 주가와 거래량이 급등했다”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국내 증시가 또 한 번 역사를 새로 썼다. 10월20일 코스피가 사상 처음으로 3,800선을 돌파하며 3,814.69로 거래를 마감, 이달 들어 3,500·3,600·3,700선을 연속 돌파한 데 이어 3,800선마저 넘어섰다. 기관의 대규모 매수세와 증권·반도체·방산주의 폭등이 맞물리며 ‘역대급 강세장’이 연출됐다. ■ 기관 매수세 주도…코스피 1.76% 급등, 코스닥도 동반 강세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65.80포인트(1.76%) 오른 3,814.69로 마감했다. 장 초반 3,728.38까지 밀렸던 지수는 기관 매수세가 강하게 유입되며 반등, 사상 첫 3,800선 돌파에 성공했다. 코스닥지수 역시 1.89% 상승한 875.77로 마감, 900선 돌파를 바라보는 흐름을 이어갔다. 한 증권사 트레이더는 “기관 자금이 대형주 중심으로 순매수세를 이어가면서 시장 내 ‘유동성 모멘텀’이 다시 확산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 증권주 ‘폭등’…미래에셋·한국금융·키움 나란히 급등 코스피 상승의 최대 수혜주는 단연 증권주였다. 최근 개인투자자 자금이 주식시장으로 대거 유입되면서 거래대금 증가 기대감이 증권주 전반을 끌어올렸
경제타임스 고은정 기자 | 대신증권은 자사 거래 플랫폼인 사이보스(MTS)와 크레온(HTS)에 '외화 RP 자동 매수 서비스'를 도입했다고 20일 밝혔다. 이 서비스는 미국 달러로 주식에 투자한 후 남은 달러 예수금을 자동으로 환매조건부채권(RP)에 투자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자동으로 투자되는 미국 달러 RP의 금리는 세전 기준 연 3.75%로, 재투자 기간은 7일이다. 매수된 RP는 매도를 통해 달러 자금을 자유롭게 회수 및 운용할 수 있다. 서비스는 대신증권 외화증권매매상품 계좌 내 달러 예수금을 활용하며, 매 영업일 오후 4시에 최소 1 달러에서 최대 10만 달러까지 자동 매수가 이뤄진다. 김은수 대신증권 플랫폼솔루션부장은 "이번 서비스는 잔여 달러를 자동으로 RP에 투자해 유휴 자금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기획됐다"고 말했다.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국내 증시가 다시 한 번 새 이정표를 세웠다. 10월 20일 오전 코스피가 사상 처음으로 3,800선을 돌파하며 랠리를 이어가고 있다. 그동안 상승장을 견인해온 SK하이닉스가 다시 불을 붙였고, 한화에어로스페이스·한화오션 등 방산주가 강세를 보이며 지수 상승을 뒷받침했다. ■ 코스피 3,802.53…개인·기관 ‘맞불 매수’에 재반등 성공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11시 42분 기준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1.43% 오른 3,802.53을 기록했다. 개장 직후 상승세를 보였던 지수는 장초반 3,728선까지 밀리며 조정을 받았으나, 개인과 기관의 강한 매수세에 힘입어 다시 상승세로 돌아섰다. 외국인은 장중 순매도로 돌아섰지만, 개인 투자자와 기관이 이를 받아내며 상승세를 이어갔다. 코스닥 역시 1.7% 상승한 875.21로 900선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다. 증권가 관계자는 “AI 반도체·방산 테마가 시장을 주도하는 가운데, 외국인 자금이 일부 이탈하더라도 내수·정책 수혜 기대감이 국내 매수세를 자극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 SK하이닉스, 장중 3% 급등…‘10조 클럽’ 가입 초읽기 시가총액 2위 SK하이닉스가 이날 장중 3%
경제타임스 고은 기자 | 한국투자증권이 주가연계증권(ELS)과 주가연계파생결합사채(ELB) 21종을 출시한다고 20일 밝혔다. 이번에 출시된 TRUE ELS 18224회는 테슬라와 팔란티어를 기초 자산으로 하는 3년 만기 픽스드 배리어(Fixed Barrier)형 상품이다. 매 6개월마다 조기 상환 여부를 평가해 기초 자산이 최초 기준가의 80% 이상이면 연 10%의 수익과 함께 조기 상환된다. 기초 자산 중 하나라도 최초 기준가의 18% 미만으로 하락하지 않으면 조기 상환 조건을 달성하지 못한 경우에도 만기 시 약정한 수익이 지급된다. TRUE ELS 18225회는 팔란티어와 에이엠디를 기초 자산으로 하는 3년 만기 스텝다운형 상품이다. 스텝다운형은 조기 상환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인 배리어가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구조다. 상환 여부를 6개월마다 판단하되, 모든 기초 자산이 최초 기준가의 80%(6,12개월), 75%(18개월), 70%(24개월), 65%(30개월), 50%(36개월) 이상이면 연 13.8%의 수익과 함께 조기 상환된다. 기초 자산 중 하나라도 최초 기준가의 25% 미만으로 하락한 적이 없다면 만기 시 약정한 수익이 지급된다. 일반 개인 투자
경제타임스 고은정 기자 | 하나증권은 '외국인통합계좌' 서비스의 첫 거래를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거래는 자본 시장 역사상 최초로 외국인 개인 투자자가 현지 증권사를 통해 국내 주식을 직접 매매한 첫 사례다. 기존에는 비거주 외국인 투자자가 국내 주식에 투자하려면 한국 증권사에 직접 계좌를 개설하는 등 복잡한 절차를 거쳐야 했지만, 외국인통합계좌 서비스 도입으로 외국인 투자자 본인이 쓰는 현지 증권사를 통한 주문 및 결제가 가능해졌다. 앞서 하나증권은 지난 5월 하나은행과 협업해 해외주식 매매 전용 외화보통예금 상품인 ‘하나 해외주식투자전용 통장’을 함께 선보였다. 별도의 외화 이체 없이 하나은행 외화계좌에 보유 중인 달러로 하나증권을 통해 미국 주식을 매매할 수 있어 투자자 편의성을 증대시켰다. 하나증권 관계자는 이 서비스가 하나금융그룹의 글로벌 네트워크와 인프라를 활용해 하나증권이 추진해 온 외국인 투자 편의성 확대 노력의 결과라고 전했다. 앞으로 하나증권은 하나금융그룹 역량을 활용해 업무협약을 맺은 홍콩 엠퍼러증권 외에도 다양한 해외 파트너들과 협업하는 등 ‘글로벌 투자 허브’로서의 역할을 강화할 예정이다. 강성묵 하나증권 대표이사는
경제타임스 고은정 기자 | 삼성증권이 싱가포르 국부펀드 테마섹(Temasek) 계열의 세비오라 그룹(Seviora Holdings)과 세비오라 그룹 산하 자산운용사인 아젤리아(Azalea Investment Management)와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10월20일 밝혔다. 세비오라는 테마섹의 100% 자회사로, 산하에 다양한 운용사를 둔 지주회사다. 이번 협약을 통해 삼성증권은 아젤리아가 운용하는 글로벌 사모펀드 기반의 대체투자 상품을 국내 기관 및 고액 자산가 투자자에게 선보일 예정이다. 아젤리아의 운용 전문성과 삼성증권의 자산 관리 역량을 결합해 차별화된 투자 기회를 제공한다는 전략이다. 삼성증권은 올해 블랙스톤의 사모대출펀드, EQT, 누버거버먼, CVC 등의 상품을 국내에 공급하며 대체 투자 부문을 확장하고 있다. 최근에는 미국 종합 금융사 캔터 피츠제럴드와 전략적 협약을 맺는 등 글로벌 자산 배분을 위한 파트너십을 지속 확대 중이다. 박종문 삼성증권 대표는 "이번 협력은 국내 투자자들이 글로벌 공동 투자 및 세컨더리 전략을 활용한 차별화된 사모펀드 상품을 경험할 수 있는 획기적인 계기가 될 것이다"고 말했다.
경제타임스 고은정 기자 | 한화투자증권은 ‘한국대표주 VA랩’의 누적 판매액이 1000억 원을 돌파했다고 20일 밝혔다. ‘한국대표주 VA랩’은 시가총액 및 유동성을 고려해 △삼성전자 △현대차 △NAVER 등 국내 대표 기업 위주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가치분할매매(VA, Value Averaging) 전략으로 운용한다. 가치분할매매는 직전 고점 대비 최대하락폭(MDD, Maximum Drawdown)을 활용한 전략으로, 분할매매를 통해 평균매입단가를 낮추고 저점 매수 및 고점 매도해 주식 비중을 탄력적으로 조절한다. ‘한국대표주 VA랩’은 출시 이후 다양한 업종으로 투자 범위를 넓히며 꾸준한 운용 성과를 보인 결과 누적 판매액 1000억 원을 돌파했다. 한화투자증권 류은식 상품전략실 상무는 “‘한국대표주 VA랩’은 국내 증시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합리적인 투자수단”이라며 “앞으로도 고객이 원하는 다양한 유형의 상품을 지속적으로 선보이겠다”고 말했다. 한편 한화투자증권은 ‘미국주식 VA랩’, ‘중국주식 VA랩’ 등 다양한 VA랩 서비스를 제공하며 누적 판매액 2500억 원을 상회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