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타임스 전영진 기자 | 인공지능 전문기업 ㈜마음AI는 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류제명 2차관이 본사를 방문해 인공지능 산업 발전 방향과 기업 지원 정책을 논의했다고 14일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류제명 제2차관이 14일 국내 피지컬 AI 선도기업 ㈜마음AI를 방문해 기술 현황을 점검하고, 산업계와 함께 ‘피지컬 AI 혁신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정부가 피지컬 AI를 차세대 핵심 기술로 육성하기 위한 첫 현장 소통의 자리로, 산업계와 학계가 함께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한 협력 방향을 논의했다.
■ 데이터 팩토리 통한 통합 사이클 시연
마음AI는 자체 구축한 ‘피지컬 AI 데이터 팩토리’를 공개했다. 이 시설은 실제 로봇이 산업 환경에서 데이터를 생성·수집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학습과 실증을 반복할 수 있는 국내 유일의 통합형 인프라다. 현장에서는 ▲한화로보틱스 협동로봇의 정밀 용접 ▲모션 트래킹 기반 실시간 동작 데이터 수집 ▲디지털 트윈 기반 반복 학습 시연이 진행되며, 데이터 생성→시뮬레이션→모델 학습→실증→상용화로 이어지는 피지컬 AI 통합 사이클을 선보였다.
■ MAIED 탑재 로봇 ‘SORA’ 공개
이날 공개된 자율주행 4족보행 로봇 ‘SORA’에는 마음AI가 독자 개발한 엣지형 AI 모듈 MAIED(Maum AI Edge Device)가 탑재됐다. MAIED는 음성·언어·영상 모델을 유기적으로 결합해 네트워크 연결이 제한된 환경에서도 완전 자율 동작이 가능한 플랫폼으로, 현장에서 로봇의 온사이트 자율성(On-site Autonomy)을 구현했다.
■ 산업계·학계 협력 강조
간담회에서 마음AI 최홍섭 기술총괄대표는 “제조 피지컬 AI의 글로벌 리더십 확보를 위해서는 로봇 하드웨어뿐 아니라 소프트웨어 플랫폼과 로보틱스 파운데이션 모델, 시뮬레이터 개발이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손병희 연구소장은 데이터 팩토리를 전문 인재 양성 허브로 발전시켜 산업 현장의 문제 해결 능력을 갖춘 인재를 배출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 민·관 협력 생태계 출발점
이번 간담회에는 IITP, 한화로보틱스, 크라우드웍스, 퓨리오사AI, 동원시스템즈 등 주요 기업 관계자가 참석해 데이터·AI 반도체·로보틱스·제조 분야의 민·관 협력 필요성에 공감했다. 참석자들은 피지컬 AI 산업의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속적인 협력을 이어가기로 했다.
류 차관은 이날 현장을 둘러보며 마음AI가 개발 중인 차세대 AI 플랫폼과 서비스 현황을 점검했다. 특히 기업이 추진하는 의료·교육 분야 AI 적용 사례와 중소기업 맞춤형 AI 솔루션에 큰 관심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류 차관은 “AI는 국가 경쟁력의 핵심”이라며 “정부는 기업이 혁신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인재 양성과 제도적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방문은 정부와 민간기업 간 AI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협력의 일환으로, 향후 정책 지원과 산업계 의견 반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