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아도 37억’…강남 소형 아파트 新고가 행진
경제타임스 이준오 기자 | 정부의 10·15 부동산 대책 이후 서울 강남 아파트 시장에서 전용 59㎡ 이하 소형 아파트가 가격 상승을 주도하고 있다. 1~2인 가구 현상과 함께 작아도 강남' 인식이 확산되며 강남 입성을 택한 실수요자들이 대출 한도 규제를 피해 소형 평수로 갈아타고 있다는 분석이다. 11월19일 한국부동산원의 '규모별 주간 매매가격지수'를 대책 이후 세 차례 통계(10월 4주차~11월 2주차)를 합산한 결과 서울 동남권 강남4구(강남·서초·송파·강동구)의 40㎡ 초과~60㎡이하 면적대 아파트 상승률이 1.25%로 니타났다. 이 기간 서울 전지역의 모든 면적을 통틀어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동남권에서는 60㎡초과~85㎡이하(0.92%), 85㎡초과~102㎡이하(0.79%), 40㎡ 이하(0.67%), 102㎡초과~135㎡이하(0.66%), 135㎡ 초과(0.56%) 순으로 상승률이 높았다. 40㎡ 이하를 제외하면 소형 평형의 아파트 가격 상승세가 가장 돋보였다. 통상 가장 인기가 높은 면적대는 '국민평형'으로 불리는 84㎡. 10·15 대책 이후가 아닌, 올 한 해를 통틀어 보면 동남권에서도 84㎡가 속한 60㎡초과~85㎡ 이하 아파트의 누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