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난지캠핑장 리모델링 조감도 모습. (자료=서울시)서울시가 노후한 한강난지캠핑장 일대 27,000㎡를 12년 만에 전면 리모델링한다. 서울시 한강사업본부는 7일부터 공사에 들어가 연말까지 완공한다고 8일 밝혔다. 내년 4월 재개장 예정이다. 공사를 위해 기존 난지캠핑장 운영은 지난 6월 28일 종료했다. 난지캠핑장은 연평균 약 16만 명의 방문객이 찾는 도심 속 휴식처지만 조성된 지 12년이 지나 시설 노후, 위생, 텐트 간 좁은 공간 등의 문제가 제기돼왔다. 한강사업본부는 캠핑면수를 줄여 텐트 간 공간을 여유롭게 확보, 밀집된 환경을 개선한다. 면수가 준 만큼 자유롭게 이용 가능한 공간을 확대해 총 수용인원은 14% 정도 줄어든다. 26개 화덕이 있는 별도 ‘바비큐존’도 설치한다. 캠핑장 이용객은 본인 텐트 앞에서, 캠핑은 하지 않고 바비큐만 즐기러 오는 사람들은 바비큐존을 이용해야 한다. 상시 노후텐트가 설치돼 획일화된 기존 캠핑 형태도 다양화한다. 모든 시설이 갖춰진 ‘글램핑존’(5면), 지정된 자리에서 캠핑을 즐기는 ‘일반캠핑존’(83면), 잔디밭에 자유롭게 텐트를 설치하는 ‘프리캠핑존’(36면)으로 다양화한다. 그 외 ‘캠프파이어존’ 5개소, 장미
산업통상자원부와 환경부는 발전용댐 관리개선에 대한 공동연구를 추진하고 효율적 물관리를 위해 발전용댐의 활용방안을 협의했다고 밝혔다. (경제타임스 자료사진) 산업통상자원부와 환경부가 뭄과 홍수 등에 대비해 통합물관리의 일환으로 발전용댐의 적극적인활용에 공동 노력한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환경부는 발전용댐 관리개선에 대한 공동연구를 추진하고 효율적 물관리를 위해 발전용댐의 활용방안을 협의했다고 밝혔다. 현재 발전용댐에 저수된 물은 발전 목적으로만 사용하면서 방류되고 있어, 가뭄이나 홍수가 발생할 때 물 이용과 홍수조절에 제한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수도권의 추가용수 수요가 계속 증가하나, 생·공용수를 담당하는 한강수계 다목적댐의 여유물량이 4억㎥ 정도밖에 남지 않아 추가 수원 확보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번 협약으로 발전용댐을 발전 위주로만 운영하지 않고 용수공급과 홍수조절 등 다목적으로 활용한다는 정부와 공공기관의 효율적 물관리 의지를 반영한 공동협력 체계가 구축된 셈이다. 특히 발전용댐 중 화천댐의 경우 댐건설후 76년간 발전 위주로 운영하다가 간헐적으로 홍수·가뭄시 활용되어 왔으나, 앞으로는 평상시에도 다목적댐처럼 운영하는 계기가 마련됐다. 화천댐을 다목적댐처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