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박원순 시장이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가전 박람회인 CES 스폐셜세션에서 기조연설을 했다고 밝혔다. (사진=경제타임스DB) [경제타임스=조남호 기자] 서울시는 8일 美 라스베이거스에서 진행된 CES(Consumer Electronic Show)에서 박원순 서울시장이 기조연설을 했다고 밝혔다. 박원순 시장이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가전‧ICT 박람회인 CES 스페셜 세션에서 ‘스마트시티 서울이 지향하는 가치와 미래상’을 주제로 기조연설을 했다. 박원순 시장은 약 5분간의 영어 스피치를 통해 스마트시티 서울의 핵심가치는 "사람을 중심에 둔 지속가능한 혁신"이라고 화두를 던지고, 시민의 삶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는 서울의 스마트시티 기술과 정책을 전 세계에 소개했다. 세계에서 유례없이 도시 전역에 자가통신망을 깔고 무료 공공 와이파이를 구축 중인 서울의 계획을 소개했다. 박 시장은 기조연설 이후 세계 각국 패널들과의 토론에서 통화량 빅데이터로 최적의 노선을 도출한 ‘올빼미버스’, 상암에 구축한 세계 최초 ‘5G 융합 자율주행 테스트베드’, 소비‧유동인구 등
일부 시중은행들이 지난해 불완전판매로 100억원 규모의 과태료를 납부한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주요 은행들이 금감원으로부터 받은 제재 건수는 총 27건에 달하며, 이로 인한 과태료 부과 액수는 1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전년도 17억원 대비 6배 가량 불어난 것이다. 금감원으로부터 가장 많은 기관 과태료를 부과 받은 곳은 KEB하나은행이다. 하나은행은 신탁형 양매도 상장지수채권(ETN) 불완전판매로 지난달 31억6000만원의 과태료와 기관경고를 받았다. 제재 사유를 보면 하나은행 미아사거리지점 등 140개 영업점에서는 2017년 11월부터 2018년 9월까지 특정 양매도 ETN 상품 359억원을 일반 투자자 354명에서 투자권유ㆍ판매하는 과정에서 투자자성향 분석결과를 재차 실시해 최초 '적극 투자형 이하'로 분류된 일반투자자를 최종적으로 '공격 투자형'으로 분류했다. 또 그 근거가 되는 투자자정보를 서명, 기명날인 등의 방법으로 확인받아 유지 관리하지 않았다. 금감원은 양매도 ETN의 주요 내용과 구조 및 성격 등에 대한 설명이 포함돼 있지 않은 운용자산설명서를 제작해 교부했고 파생
채이배 의원과 유관 시민단체는 9일 국회 정론관에서 데이터 3법에 반대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사진=조남호 기자) [경제타임스=조남호 기자] ’데이터 경제활성화‘를 위한 데이터 3법(개인정보 보호법·정보통신망법·신용정보법 개정안)이 9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 오를 예정이다. 이에 앞서 채이배 바른미래당 의원과 11개 관련 단체가 데이터 3법을 ‘개인정보 도둑법’이라며 반대 기자회견을 9일 국회에서 진행했다. 채 의원은 “기업의 이윤을 위해 충분한 안전장치도 없이 정보주체의 권리를 일방적으로 희생할 것을 요구하는 것은 국민의 대표기관이 할 일이 아니다”며 기자회견 개최 사유를 설명했다. 채 의원은 “개인정보 3법이 본회의를 통과하면 개인정보 수집 처리 이용에 대한 전반적인 변화와 정보 주체인 국민의 권리 축소가 불가피하다”며 “개인정보 3법은 상품구매나 서비스 이용이 아닌 개인정보 거래가 목적이 되는 개인정보 체게의 근간을 바꾸는 중대한 사안임에도 사회적 합의 없이 일방적으로 기업측 요구에 호응하며 추진되어 왔다. 이제 얼마 남지 않은 2
삼성엔지니어링이 알제리에서 대형 정유 플랜트 프로젝트를 공동수주했다. 삼성엔지니어링은 8일(현지시간) 알제리 최대 국영석유회사 소나트랙과 약 4조3000억원 규모의 하시 메사우드 정유 프로젝트에 대한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이 회사에 따르면 이번 프로젝트를 스페인 테크니카스 레우니다스(TR)와 공동으로 수주했으며, 총 계약금액 중 삼성 계약분은 약 1조9000억원이다. 알제리 수도 알제에서 남동쪽으로 600km 떨어진 하시 메사우드 지역에 건설되는 이번 플랜트는 하루 약 11만 배럴의 원유를 정제 처리하는 설비다. 삼성엔지니어링은 EPC(설계, 구매, 시공) 전과정을 일괄턴키(Lump-sum Turn-Key)방식으로 52개월간 수행 예정이다. 삼성엔지니어링은 이번 수주로 알제리 최대 국영석유기업인 소나트랙과의 파트너십을 확실히 다지게 됐다. 소나트랙은 정유, 가스 등 에너지뿐만 아니라 석유화학 분야에도 대규모 투자를 계획 중이어서, 향후 연계수주도 기대된다. 삼성엔지니어링은 UAE, 사우디, 바레인, 쿠웨이트, 알제리 등지에서 다수의 정유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며, 풍부한 경험과 높은 기술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환경부가 보령댐의 가뭄 상황이 해소 됨에 따라 용수공급 체계를 정상으로 회복시켰다고 밝혔다. (사진=경제타임스DB) [경제타임스=조남호 기자] 환경부가 보령댐의 가뭄 상황이 해소 됨에 따라 용수공급 체계를 정상으로 회복시켰다. 환경부와 한국수자원공사는 지난해 8월 26일부터 가뭄 ‘경계단계’로 관리하던 다목적댐인 보령댐의 가뭄상황이 1월 8일부로 해제됨에 따라 이들 댐의 용수공급 체계를 정상으로 회복시켰다고 밝혔다. 보령댐 유역은 1월 6일부터 이틀간 약 76mm의 비가 내렸으며 이 영향으로 보령댐 저수율이 1월 8일 5시 기준으로 40%(4,650만 톤)까지 상승했다. 이에 따라 환경부와 한국수자원공사는 지난해 8월 26일 가뭄 ‘경계단계’에 진입하여 가동해왔던 보령댐 도수로 가동을 중단하고, 지난해 7월 24일 가뭄 ‘주의단계’에 진입하여 댐에서 공급을 중단했던 하루 2만 7천 톤의 하천유지용수를 1월 8일부터 다시 정상적으로 공급한다. 박하준 환경부 수자원정책국장은 “지자체 및 관계기관과 협력을 통하여 보령댐의 가뭄상황을 피해 없이 극복할 수 있었으며, 앞으로도 용수수급 상황을
식품의약품안전처가 판매중단 및 회수조치 한 ㈜하나마이 중국산 고무장갑. (사진=식품의약품안전처) [경제타임스=조남호 기자]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수입 식품판매업체인 ㈜하나마이가 중국산 고무장갑을 식약처 수입 신고하지 않고 세관을 통과한 후 식품 용도로 판매한 사실이 확인되어, 해당 제품을 판매중단 및 회수조치 했다고 밝혔다. 회수대상은 ㈜하나마이가 인터넷 등을 통해 판매한 ‘데일리 리빙 절대 장갑(DAILY LIVING RUBBER GLOVES)’이다. 식약처는 관할 관청에 위반 업체에 대해 행정처분 등 조치하도록 하고, 해당 수입업체의 제품을 구매한 소비자는 판매 또는 구입처에 반품하여 줄 것을 당부했다.
금융위원회. (사진=경제타임스DB)이란이 미국에 미사일 공격을 개시하는 등 중동 불안이 가중되자 금융당국이 시장 일일점검반을 가동하는 등 긴급 대응조치 강구에 나섰다. 8일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금융시장 일일점검반을 구성, 가동에 나서 한층 고조되고 있는 중동 불안과 관련한 국제정세 및 국내외 금융시장에 대한 일일 모니터링 체계를 운용 중이라고 밝혔다. 이날 오전 이란이 이라크 미군기지에 미사일 수십 발을 발사했다는 외신 보도가 전해지면서 시장 불안이 더해지자 금융당국은 오후 긴급 금융시장점검회의를 열고 향후 리스크 요인 점검에 나선다. 금융위는 "금융당국은 시장상황을 예의주시하고 국내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되는 경우 컨틴전시 플랜에 따른 시장안정 조치를 조속히 시행하는 등 금융안정에 만전을 기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날 오후 2시40분 현재 코스피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4.53포인트 떨어진 2161.01에 거래되고 있다. 오후 들어 낙폭은 둔화된 모습이지만 오전 한 때 2140선이 무너지는 모습을 보였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지난 2019년 조선업 수주에서 우리나라가 세계 1위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 기록은 2년 연속 1위 기록이기도 하다. (사진=경제타임스 DB) [경제타임스=조남호 기자]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가 2019년 조선업 수주에서 우리나라가 2년 연속 세계 1위를 기록하였다고 발표했다. 산업부는 19년도 국가별 선박 수주 실적을 집계한 결과 全 세계선박 발주 2,529만CGT 중 우리나라가 943만CGT를 수주하여 세계 1위를 기록하였다고 밝혔다. 2019년 상반기에는 경쟁국인 중국에 비해 부진하였지만 하반기 집중수주를 통해 2년 연속 중국을 제치고 세계 1위를 유지하였다. 19년 조선 건조량은 951만 CGT로 전년대비 23.1% 증가하였다. 건조량은 16년 수주절벽 영향으로 18년 최저(772만 CGT)을 기록하였으나, 이후 수주 증가로 19년 2분기 이후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조산업 고용도 건조량과 유사한 추이를 보이며, 18년 8월 10.5만명으로 최저점을 기록한 이후 19년 7월 11만명대를 회복하였고 지속 상승추세를 보이고 있다. 19년 수주금액, 수주량, 수주잔량 (출처=간업통상자원부) 산업부 관계자는 “미중 무역분쟁
기획재정부. (사진=경제타임스DB)국채발행이 늘어나면서 국가채무가 지난해 11월 기준으로 704조5000억원을 기록했다. 사상 최초로 700조원 선을 넘어섰다. 기획재정부는 8일 발표한 ‘1월 재정동향’에서 "지난해 1~10월 국세수입이 276조60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279조9000억원)보다 3조3000억원 감소했다"고 밝혔다. 정부가 예상했던 국세수입 계획과 비교한 진도율은 93.8%로 2018년 실적(95.3%) 대비 1.5%P 낮았다. 부동산 거래 감소로 양도거래세수가 감소해 소득세 실적이 부진했다. 소득세는 77조9000원이 걷혀 2018년 대비 1조1000억원이 줄었다. 교통세도 13조2000억원이 걷혀 전년 실적보다 1조원이 줄었고, 관세도 7조4000억원이 걷혀 전년대비 5000억원 줄었다. 부가가치세 역시 68조3000억원이 걷혀 2018년 실적 대비 5000억원이 감소했다. 그러나 법인세수는 2018년보다 증가했다. 법인세는 지난해 1~11월 누적으로 77조9000억원이걷혀 2018년 실적 대비 1조1000억원 초과했다. 지난해 예산안 작성 당시 상정했던 세입예산안에 비해서는 8조9000억원이 부족한 상태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사진=경제타임스DB)정부는 경제 활성화를 위해 올해 짜여진 ‘울트라 슈퍼’ 예산을 조기에 집중적으로 집행해 나갈 방침이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경제활력대책회의 겸 경제관계장관회의 모두발언에서 “올해 예산 중 경기 뒷받침 예산은 최대한 조기 집행하고 포용적 복지예산은 최대한 적기 집행되도록 관리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홍 부총리는 “올해 상반기 예산 조기 집행 목표를 역대 최고 수준인 62.0%로 설정하고 특히 국민 체감이 큰 일자리 사업은 1분기 안에 37%를 집행하겠다”고 다짐했다. 그는 “공공기관 투자는 올해 60조원으로 지난해보다 6조5000억원 늘린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신도시 건설과 같은 사회간접자본(SOC) 분야, 발전소 건설 등 에너지 분야에 중점 투자하겠다”고 설명했다. 공공기관 투자가 적기에 이뤄질 수 있도록 10개월 이상 걸리는 예비타당성(예타) 조사기간도 최대 7개월로 단축한다는 계획이다. 홍 부총리는 “포용적 복지예산 적기 집행을 위해 생계급여·의료급여·아동수당 등 주요 복지급여가 차질 없이 지급되도록 매월 재정관리점검회의 등을 통해 집행 상황을 점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