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4월 인도 모디 총리가 중국 우한을 방문 시진핑 주석과 회담. 최근 인도-중국 갈완계곡 국경충돌로 인도는 '자립인도'를 외치며 중국에 대립각을 새우고 있다.(사진 : 위키피디아) 인도 정부는 저가품 수입을 줄이기 위한 조치로 수십여 제품의 기본 관세를 높이기로 하고, 해당 품목에 대한 표준 사양과 같은 비관세 조치로 이어질 전망이다. 이 조치는 중국에 국한된 된 것은 아니며, 특정 국가의 특정 품목 수입에도 적용된다고 정부 관계자의 말을 인용, 파이낸셜 익스프레스가 6일 보도했다. 인도 정부는 자동차 부품, 에어컨 및 냉장고 용 압축기, 철강 및 알루미늄 제품 및 전기 기계 등 약1,173 개 품목을 대상으로 고려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품목은 대부분 중국에서 수입되는 품목으로, 번거로움 없이 인도 현지 생산으로 대체할 수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이들 1173개 품목의 중국 수입액은 2019년 회계연도에 119억 8000만 달러로 그 해 인도 전체 수입액의 2.3%에 불과했지만, 뉴델리만큼은 17%를 베이징에서 수입했다. 그러나 이들 제품/하위 제품 중 오직 47개 제품만이 2019년 회계연도에 각각 5,000만 달러 이상 수입
인도네시아와 태국에서 수입되는 자동차는 베트남 전체 자동차 수입의 약 90%를 차지하며, 올 1~5월 자동차 부품 수입액은 13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9.6% 감소했다.(사진 : 베트남 vnexpress 기사 캡처)인도네시아가 태국을 제치고 베트남 완성차 수입국 1위에 올라섰다. 베트남 익스프레스(VNEXPRESS)는 3일 이 같이 보도하고, 베트남 관세청 통계를 인용, 올 들어 1~5월 베트남은 2만 8천 523대의 자동차(9인승 이하의 승용차)를 수입했는데, 그 가운데 인도네시아가 15,074대를 베트남에 수출, 베트남 수입 전체 물량의 53%를 차지하면 수입차 1위 자리에 올랐다고 신문은 전했다. 1위 자리를 즐겼던 태국은 37%인 10,478대를 수출해, 지난 2016년 이후 줄곧 1위를 누려온 자리를 인도네시아에 넘겨주었다. 베트남이 인도네시아에서 주로 수입하는 차종으로는 미쓰비시의 엑스팬더(Xpander), 도요타의 위고(Wigo), 혼다의 브리오(Brio) 등이 대표적이다. 한편, 인도네시아와 태국에서 수입되는 자동차는 베트남 전체 자동차 수입의 약 90%를 차지하며, 올 1~5월 자동차 부품 수입액은 13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9.6
미국의 대중 무역에서 3월의 120억 달러에서 5월에는 279억 달러로 다시 수입이 급증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기쁘게 하지는 않을 것이다. 그의 대중 무역 정책은 그 수입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표 그래픽 : 더 밸런스닷컴 캡처)미국 상무부가 3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미국의 수입은 5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그러나 지난 3월 이후 대부분의 국가들과의 교역이 급감하고 있는 반면, 중국으로부터의 미국 수입은 급증하고 있다고 콰르츠(Quartz)가 이날 보도했다. * 무슨 일이 있었나? 미국의 5월 수입액은 1640억 달러(약 197조 296억 원)로 5년여 만에 월별 최저치를 기록했다. 그러나 10년 넘게 미국의 최대 수입원인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은 실제로 3월 207억 달러(약 24조 8,689억 8,000만 원)라는 10년 만의 최저치에서 5월 366억 달러(약 43조 9,712억 4,000만 원)로 증가했다. * 중국 수입 증가가 중요한 이유는 ? 중국으로부터의 미국 수입의 증가는 공급망 붕괴로 인해 많은 미국 기업들이 중국 밖에서 수입품을 구매하는 것을 막았던 2020년 1/4분기부터 억제된 수요를 충족시킨 결과일 것이다. 미국의 대중
김정은 위원장은 이날 회의에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의 북한 내 침입을 철저히 막고 있다고 강조했지만, 코로나가 원인으로 지목된 다수의 사망 사례가 알려져 있어, 이번 지시는 현재에 대한 심각한 인식을 말해주는 것으로 보인다. 위 사진은 지난 2015년 평양. (사진 : 위키피디아)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2일 북한 조선노동당 정치국 확대회의가 평양에서 열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응한 반년 간 사업 총괄 등을 했다고 3일 보도했다고 산케이 신문 등 일본 언론들이 이날 보도했다. 확대회의 사회를 맡은 김정은 조선노동당 위원장은 주변국에서 감염의 재 확산이 이어지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졸속 방역 완화는 돌이킬 수 없는 치명적인 위기를 초래할 것이라며 비상방역체제의 추가 강화를 지시했다고 한다. 북한은 지난 1월 이후 중국과의 국경을 실질적으로 봉쇄하는 초강경 방역조치를 취해 경제에도 심각한 타격을 입힌 것으로 알려져 주민들이 더욱 불만을 터뜨릴 가능성이 있다. 김정은 위원장은 이날 회의에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의 북한 내 침입을 철저히 막고 있다고 강조했지만, 코로나가 원인으로 지목된 다수의 사망 사례가 알려져 있어, 이번 지시는 현재에 대한 심각한 인식을 말해주는
상반기 중 가장 감소율이 컸던 자동차사는 닛산으로 전년 동기 대비 39.3% 감소한 43만4934대에 그쳤다. 그 다음에 미쓰비시가 32.8%감소의 4만 7760대. 도요타 자동차와 혼다, 스바루(SUBARU)는 모두 20% 남짓 하락세를 보였다. (사진 : 도요타자동차 홈페이지 캡처) 일본 자동차 메이커 6사가 1일 발표한 2020년 상반기의 미국 신차 판매대수는 전년 동기대비 26.0%감소한 236만 4736대를 기록했다고 교도통신이 2일 보도했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COVID-19)의 감염 확대라는 직격탄을 맞아, 자동차 판매점의 휴업이 잇따른 것이 악영향을 주었다. 닛산자동차와 미쓰비시 자동차를 제외한 4개사의 6월 판매 대수는 작년 같은 달보다 19.0% 감소한 34만 2291대였다. 문제는 미국 남부와 서부의 주에서 코로나19 감염자가 다시 급증하고 있어, 자동차 시장의 회복 기조가 계속 될지는 전망할 수 없다. 상반기 중 가장 감소율이 컸던 자동차사는 닛산으로 전년 동기 대비 39.3% 감소한 43만4934대에 그쳤다. 그 다음에 미쓰비시가 32.8%감소의 4만 7760대. 도요타 자동차와 혼다, 스바루(SUBARU)는 모두 20% 남짓 하락
업종별로는 음식업이 49건으로 가장 많았고, 숙박업이 39건으로 뒤를 이었다. 4~5월의 외출 제한에 가세해 방일 외국인객의 수요 소실도 타격이 됐다. (사진 : 재팬 가이드 홈페이지 캡처)일본 도쿄 상공 리서치는 1일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에 관련한 기업 도산 건수(부채액 1천 만엔 이상)가 동1일 기준으로 누계 304건이라고 발표했다고 도쿄신문이 2일 보도했다. 코로나19 관련 부도가 6월에는 103건 발생, 7월 1일에만 10건 확인되는 등 계속 증가하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일본 정부의 비상사태 선포 전면 해제 이후, 경제활동이 재개돼도 매출이 조기에 회복되지 않고 자금사정이 어려운 중소기업들이 줄을 잇고 있기 때문이며, 관련 도산이 앞으로도 높은 수준으로 발생할 것으로 보고 있다. 업종별로는 음식업이 49건으로 가장 많았고, 숙박업이 39건으로 뒤를 이었다. 4~5월의 외출 제한에 가세해 방일 외국인객의 수요 소실도 타격이 됐다. 어패럴 관련도 36건으로 눈에 띈다고 신문은 전했다.
북미의 무역 협정은 1994년의 NAFTA 발효 이래, 약 4반세기만에 근본적인 개정이 됐으며, 자동차나 유제품의 시장 개방 등 폭넓은 분야를 재검토했다.(사진 : USMCA 홈페이지 캡처)미국과 캐나다, 멕시코 3국이 맺는 새 무역협정인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이 1일 발효됐다고 유에스 뉴스 앤 월드 리포트(US News and World Report)가 1일 보도했다. 자동차 등 제조업의 미국 회귀를 재촉하는 관세 규칙을 포함시키는 등, 트럼프 미 대통령의 의중이 짙게 반영됐다. 비용 증가로 이어질 수도 있는 한국, 일본 등의 자동차 메이커 등은 운용을 주시하고 있다. 새로운 협정은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나프타)의 후속 협정이다. 북미의 무역 협정은 1994년의 NAFTA 발효 이래, 약 4반세기 만에 근본적인 개정이 됐으며, 자동차나 유제품의 시장 개방 등 폭넓은 분야를 재검토했다.
샤프의 태양광 자회사인 샤프 에너지 솔루션스(SESJ : Sharp Energy Solutions Corp.)가 개발한 새로운 발전소는 7월 초 가동을 시작할 예정이다. 베트남 닌투안성에 건설된 태양광 발전소(사진 : SESJ via VietReader)오는 2025년에는 전력난에 직면할 것으로 보이는 베트남 정부가 신재생에너지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가운데, 일본의 샤프사(Sharp Corp.)는 6월 30일 베트남 닌투안(Ninh Thuan) 지방에 45메가와트 규모의 태양열 발전소를 완공했다고 성명을 통해 발표했다고 미국 블룸버그통신이 1일 보도했다. 이 프로젝트는 샤프의 태양열 용량을 동남아시아 국가 중 290메가와트로 끌어올려 2030년까지 베트남 정부가 목표로 삼은 태양열 발전 용량을 12기가와트로 끌어올리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샤프의 태양광 자회사인 샤프 에너지 솔루션스(SESJ : Sharp Energy Solutions Corp.)가 개발한 새로운 발전소는 7월 초 가동을 시작할 예정이다. 베트남의 T&T 그룹(T&T Group Joint Stock Company) 및 계열사와 공동으로 건설됐다. 이날 완공된 태양열 발전은 연간 약
최근 몇 달 간 생산량이 40% 감소했으며, 이르면 2023년까지 항공 교통이 코로나19 이전으로 돌아갈 것으로 예상하지 못하고 있다고 에어버스는 밝혔다.(사진 : 에어버스 홈페이지 캡처) 항공우주 대기업 유럽의 에어버스는 코로나19애 의한 위기의 영향으로 1만 5천 명을 감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고 영국의 비비시(BBC)방송이 1일 보도했다. 에어버스(AirBus)는 영국에서 1,700개의 일자리를 줄일 것이고, 독일, 스페인 그리고 그 외 다른 곳에서도 수천 개의 일자리를 줄이겠다는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조치는 강제적인 정리해고에 반대해 온 노조와의 협의 대상이 된다. 연합 노조(The Unite union)는 에어버스의 발표가 영국 항공우주 분야에 대한 또 다른 산업 파괴 행위라고 밝혔다. 전 세계 약 13만 4천 명의 근로자들이 에어버스에서 일하고 있으며, 그들 중 10분의 1은 영국에서 일하고 있다. 에어버스는 영국이 브리스톨의 플린트셔와 필튼(Flintshire and Filton, Bristol) 두 부지에 있는 상업용 항공기 부서에만 감축할 것이라고 말했다. 두 거대 공장간의 일자리 감소와 붕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노조와의 협의를 거쳐
이미 인도 정부와 업계는 함께 이 나라의 부품 제조 생태계를 개발하기 위해 단계별 제조 프로그램(PMP)을 진행하고 있으며, 그런 일이 2년 안에 일어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사진 : 위키피디아) 인도 가전제조사협회(CEAMA)에 따르면, 인도에서 판매되는 가전제품의 약 95%가 현지에서 생산되지만, 중국산 부품에 대한 의존도는 제품에 따라 25-70% 수준이다. (참고 CEAMA=Consumer Electronics and Appliances Manufacturers Association) 인도 가전업계는 인도 내 중국 제품 보이콧이 확산되기 전부터 코로나19로 인한 중국 공장 폐쇄에 대비하기 위해 대안 공급원을 찾기 시작하였다고 이코노믹 타임스가 29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카말 난디(Kamal Nandi) CEAMA 협회장은 PTI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산업으로서 지난 23년 동안 여러 범주에 걸쳐 완제품 제조에 착수하기 위해 새로운 공장을 설립함으로써 (모든 브랜드) 역량을 창출하는 데 많은 노력을 해왔다”면서 “우리는 완제품 부문에서 모든 부문에서 좋은 위치에 있다”고 말했다. 그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