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 등 4개 부처가 공동 지원하는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의 2025년 10대 대표과제 성과보고회가 2월 11일 서울 마포구 YTN 뉴스퀘어 미디어홀에서 개최됐다. 췌장암 항암제 전달 효과를 높이는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기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은 의료기기 기술개발부터 임상·인허가·제품화까지 전주기 지원을 목표로, 2020년부터 2025년까지 총 1조 2천억 원(국비 9,876억 원)을 투입하는 대형 연구개발 프로젝트다. 올해로 3회째를 맞은 성과보고회에서는 우수한 성과를 창출한 10개 연구과제가 선정되어 표창을 받았다. 올해 10대 대표과제는 ▲연구개발 수행의 적절성 ▲기술·의료 분야 파급효과 ▲사회·경제적 영향력 등을 기준으로, 46개 기업이 제출한 연구 성과 중 혁신성과 시장 진출 가능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선정됐다. 주요 과제로는 세계 최초로 안압을 실시간 점검할 수 있는 스마트 콘택트렌즈와 난임 치료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AI 기반 배아 발달 예측 솔루션이 포함됐다. 이
산업통상자원부는 미국측의 철강·알루미늄 관세 부과 움직임 관련, 2025년 2월 10일 15시 30분 서울 철강협회에서 박종원 통상차관보 주재로 철강협회 및 주요 수출기업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긴급 점검회의를 개최했다. 박종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차관보는 2025. 2. 10(월) 15:30 서울 송파구 가락동에 소재한 한국철강협회 회의실에서 포스코홀딩스, 현대제철, 노벨리드 코리아, 철강협회 등 철강 · 알루미늄 관련 업계 및 협회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열린 「미국 신정부 철강 · 알루미늄 관세 부과 대응 긴급 점검회의」를 주재하고, 인사말을 한 후 미국 관세조치 관련 정보를 공유하고 수출 상황점검과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박 차관보는 트럼프 대통령이 철강·알루미늄에 대한 25% 관세를 현지 시간 2월 10일 월요일 발표할 것이라고 언급한 것과 관련, 정부는 駐美 공관을 비롯 동원가능한 모든 네트워크를 총력 가동하여 구체적 내용을 파악 중에 있으며, 향후 우리 기업에 미치는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업계와 긴밀히 공조하여 적극 대응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업계도 협회 및 개별 수출기업 차원에서 현재까지 파악된 정보를 공유하고, 민관이
글로벌 컨슈머 노트북 및 게이밍 노트북 시장 리딩 브랜드인 에이수스(ASUS, www.asus.com/kr)가 퀄컴 테크날러지스(Qualcomm Technologies Inc.)의 스냅드래곤 X 시리즈 프로세서(Snapdragon® X Series processors)를 탑재한 899g의 초경량 14인치 코파일럿+ PC ‘젠북 A14’를 출시한다. 젠북 A14 젠북 A14는 노트북 상·하판 및 키보드 프레임에 알루미늄을 세라믹으로 바꾸는 공정을 거친 하이테크 세라믹 세랄루미늄(Ceraluminum™) 소재를 적용해 단단한 내구성과 가벼움을 동시에 잡은 울트라포터블 노트북이다. 세랄루미늄 소재는 스크래치 방지 기능과 함께 강력한 내마모성과 얼룩 방지 기능이 있어 오랫동안 매끄럽고 깨끗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자연에서 영감을 받은 색상과 미니멀한 디자인에 899g의 초경량 무게로 언제 어디서든 간편하게 휴대 가능하며, 이동이 잦은 사용자에게 적합하다. 이와 함께 젠북 라인업 최초로 ‘스냅드래곤 X’ 및 ‘스냅드래곤 X 엘리트’ 프로세서를 탑재해 최상의
네이버㈜(대표이사 사장 최수연)는 2024년 4분기에 매출액 2조 8,856억 원, 영업이익 5,420억 원, 조정 EBITDA 7,459억 원을 기록했다고 7일 밝혔다. 네이버㈜(대표이사 사장 최수연)는 2024년 4분기에 매출액 2조 8,856억 원, 영업이익 5,420억 원, 조정 EBITDA 7,459억 원을 기록했다고 7일 밝혔다. 4분기 매출액은 서치플랫폼과 커머스 등 주요 사업 부문의 성장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13.7%, 전 분기 대비 6.3% 증가했다. 조정 EBITDA는 9분기 연속 성장세를 이어가며 전년 동기 대비 28.6% 증가한 7,459억 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 또한 8분기 연속 증가해 전년 대비 33.7% 성장한 5,420억 원을 기록하며, 영업이익률은 18.8%로 2.8%p 상승했다. 이러한 실적에 힘입어 네이버의 2024년 연간 매출액은 전년 대비 11.0% 성장한 10조 7,377억 원을 기록했다. 연간 영업이익도 32.9% 증가한 1조 9,793억 원을 기록하며, 국내 인터넷 플랫폼 기업 중 최초로 연 매출 10조 원을 돌파했다. 4분기 사업 부문별 매출은 ▲서치플랫폼 1조 647억 원 ▲커머스 7,751억 원 ▲핀테크
삼성전자가 지난달 24일부터 운영 중인 ‘New 갤럭시 AI 구독클럽’이 갤럭시 S25 시리즈 구매의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다. 삼성 강남 직원이 고객들에게 갤럭시 S25 시리즈 `New 갤럭시 AI 구독클럽`을 안내하는 모습 삼성전자에 따르면, 갤럭시 S25 시리즈 사전 판매 기간 동안 온·오프라인 매장에서 자급제 모델을 구매한 고객 5명 중 1명이 ‘New 갤럭시 AI 구독클럽’에 가입했다. 특히, 삼성닷컴에서 구매한 자급제 고객 중 30%가 구독클럽을 선택하며 높은 관심을 보였다. 이 프로그램은 1년 사용 후 기기 반납 시 50%, 2년 사용 후 반납 시 40%의 잔존가 보장과 함께 ‘삼성케어플러스 스마트폰 파손+’ 혜택을 제공한다. 구독 가입자의 60%는 2030 젊은 층으로, 최신 IT 기기에 대한 관심과 구독 경제에 대한 수용도가 높은 점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특히, 구독 가입 비중이 가장 높은 모델은 ‘갤럭시 S25 울트라’로 나타났다. 이는 상위 라인업 모델일수록 반납 시 보상 금액이 높아, 보다 합리적인 방식으로 최신 기기를 이용할
LG전자가 3월 30일까지 서울 영등포구 ‘그라운드220’에서 2025년형 LG 그램 프로를 체험할 수 있는 ‘그램 프로 AI 스페이스’ 팝업스토어를 운영한다고 10일 밝혔다. 방문객이 팝업스토어를 둘러보며 초경량(16형 그램 프로 본체 기준 1,199g) 노트북 2025년형 LG 그램 프로를 체험하고 있는 모습. 이번 팝업스토어의 메인 프로그램은 신제품의 AI 기능을 활용한 방탈출 게임이다. 방문객들은 AI 타임트래블, AI 요약, AI 챗봇 등 그램 프로의 주요 AI 기능을 활용해 다양한 미션을 해결하며 제품을 보다 몰입감 있게 체험할 수 있다. 사전예약은 그라운드220 네이버 예약을 통해 가능하며, 예약 미달 시 현장 접수도 진행된다. 이와 함께 방문객들이 직접 노트북 성능을 체험할 수 있는 체험존도 운영된다. 인텔의 차세대 고성능 CPU와 엔비디아 지포스 RTX 4050 그래픽카드를 탑재한 초경량 AI 노트북으로 영상 편집이나 고사양 게임을 직접 실행해볼 수 있다. 방문객 대상 이벤트도 진행된다. 팝업스토어 방문 인증 시 신제품 15% 할인 쿠폰, 커피 쿠폰, 굿즈 등을 제공하며, 행사 종료 후 SNS 우수
최근 3개월간 대규모 기업집단의 소속 회사가 79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자산 5조 원 이상 공시대상 기업집단의 소속 회사 변동 현황을 발표하며, 이 같은 사실을 밝혔다. 최근 3개월간 대규모 기업집단의 소속 회사가 79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88개 대규모 기업집단의 소속 회사는 2024년 11월 1일 3,284개에서 2025년 2월 3일 3,205개로 79개 감소했다. 이 기간 동안 소속 회사 변동이 있었던 대규모 기업집단은 63개다. 회사 설립, 지분 취득 등으로 38개 집단에서 69개 사가 계열 편입되었고, 흡수 합병, 지분 매각, 청산 종결 등으로 44개 집단에서 148개 사가 계열 제외되었다. 신규 편입된 회사가 많은 집단은 한진(8개), 한화(4개), 케이티·엠디엠, 중앙(각 3개) 순이며, 제외된 회사가 많은 집단은 태영(30개), 대신증권(16개), 에스케이(13개) 순이다. 이번 소속 회사 변동에는 세 가지 특징이 나타났다. 첫째, 최근 5년 기준 계열 제외를 통한 기업집단의 몸집 줄이기 작업이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태영은 재무 구조 개선 및 경영 효율성 제고를 위해 30개 사를 계열 제외했고, 에스
한국레노버가 휴대용 게임 PC ‘리전 고 S(Legion Go S)’를 국내 공식 출시한다. 레노버 리전 고 S 리전 고 S는 AMD 라이젠 Z2 Go 프로세서 기반의 핸드헬드 게이밍 기기로 높은 휴대성을 앞세웠다. 8인치 디스플레이는 WUXGA (1920x1200) 16:10 화면비, 10포인트 터치스크린을 지원한다. 120Hz 주사율과 AMD 라데온 680M 그래픽을 적용해 두 손안의 화면에서도 부드럽고 선명한 게임 플레이를 뒷받침한다. OLED 퓨어사이트(PureSight) 디스플레이는 평균 휴대용 게임 디바이스보다 37% 넓은 시청 영역을 제공한다. 100% sRGB 색상 정확도와 500니트 밝기로 선명하고 세밀한 비주얼을 구현한다. 초고속 충전을 지원하는 55.5Whr 배터리 또한 휴대성을 한층 높였다. 항공사에서 승인한 65W 어댑터로 이동 중에도 안전하게 게임을 이어갈 수 있다. 16GB LPDDR5X 메모리와 512GB PCle Gen4 스토리지, 최대 2TB까지 확장 가능한 마이크로 SD로 넉넉한 저장 공간과 빠른 로딩 속도를 확보했다. 무게는 740g에 불과하다. DisplayPort 1.4와 듀얼 USB4 Type-C
삼성전자가 2월 7일부터 ‘갤럭시 S25 시리즈’를 전 세계 120여 개국에 순차 출시한다. 한국, 미국, 영국, 인도, 태국 등을 포함한 주요 시장에서 먼저 선보이며, 국내에서는 사전 판매 기간 동안 130만 대가 판매돼 역대 갤럭시 S 시리즈 중 최다 기록을 경신했다. 칠레 수도 산티아고의 Cenco Costanera Mall에 위치한 삼성 스토어 노태문 삼성전자 MX사업부장은 “갤럭시 S25 시리즈는 사용자의 일상을 혁신할 것”이라며, “한층 발전한 갤럭시 AI를 통해 가장 자연스럽고 개인화된 모바일 경험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출시와 함께 구글 ‘제미나이(Gemini)’가 지원하는 언어도 46개로 확대된다. 갤럭시 S25 시리즈는 삼성 최초로 통합형 AI 플랫폼 ‘One UI 7’을 적용해 텍스트, 음성, 이미지 등 다양한 입력 방식에서 상황을 분석하고, 사용자 맞춤형 AI 경험을 제공한다. ‘나우 브리프(Now Brief)’ 기능을 통해 일상 속 맞춤형 정보 브리핑이 가능하며, ‘나우 바(Now Bar)&
LG전자(대표이사 조주완)가 미국 뉴저지 북미 사옥에 초고화질 마이크로 LED 사이니지 ‘LG 매그니트(LG MAGNIT)’로 구축한 버추얼 프로덕션(Virtual Production) 스튜디오를 개설하며 상업용 디스플레이 시장 공략에 나섰다. LG전자 버추얼 프로덕션 스튜디오 전경. 버추얼 프로덕션은 대형 LED 스크린을 활용해 촬영 배경을 가상으로 구현하는 기술로, 물리적 세트나 로케이션 촬영 없이도 실감 나는 영상을 제작할 수 있어 미디어·광고 업계에서 주목받고 있다. LG전자의 버추얼 프로덕션 스튜디오는 가로 7.2m, 세로 2.7m 규모의 LG 매그니트(모델명: LBAG015-G3)로 구성됐다. LG 매그니트는 100㎛(마이크로미터) 이하의 마이크로 LED가 자발광하는 디스플레이로, 선명한 화질과 높은 색 재현력을 제공하며 HDR(High Dynamic Range) 기술을 지원해 실제 눈으로 보는 듯한 생생한 영상 표현이 가능하다. 또한, 픽셀 간격(픽셀피치)이 1.5mm에 불과해 더욱 정밀한 화면을 구현한다. 설치 방식도 차별화됐다. 모듈러 방식으로 설계돼 블록을 조립하듯 손쉽게 화면을 연결할 수 있어 다양한 촬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