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타임스 전영진 기자 | 한화생명은 11월 14일 ‘세계 당뇨병의 날’을 맞아 최근 5년간 자사 보험금 지급 데이터 36만 건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분석에 따르면 당뇨병 발병 연령이 점차 낮아지며 30·40대 청구 비중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당시 당뇨 관련 보험금 청구자의 67.4%가 50·60대였으나, 2025년에는 55.5%로 줄고 30·40대는 35.4%로 늘어났다. 특히 남성의 조기 발병 위험이 여성보다 더 높아, 30·40대 남성 발병 비중은 30.6%에서 41.4%로 상승했다.
또한 당뇨 환자는 고혈압 환자보다 암·뇌심혈관 질환 등 합병증 발생 위험이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40대 당뇨 환자의 합병증 보험금 청구 비율은 7.4%로, 같은 연령대 고혈압 환자(6.3%)보다 높았다.
의료비 부담도 컸다. 당뇨 발병 이후 2년 내 평균 의료비는 약 333만 원으로, 고혈압 환자(약 242만 원)보다 1.4배 많았다. 이는 단순 관리 비용을 넘어 합병증 치료에 따른 실제 병원비 부담이 크다는 점을 보여준다.
한화생명 데이터통합팀 전경원 팀장은 “당뇨병은 발병 자체보다 이후 관리가 더 큰 비용과 노력이 필요한 질환임이 확인됐다”며 “특히 30·40대에서의 발병은 관리 기간이 길고 합병증 가능성도 높아 조기 진단과 생활 습관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화생명은 이번 발표를 통해 당뇨병이 더 이상 노년기 질환이 아닌 활동기 질환으로 확산되고 있음을 알리고, 젊은 세대의 건강 관리 필요성을 환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