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490일간 이어진 ‘티메프 사태’가 결국 위메프의 파산 선고로 마무리 수순을 밟았다. 지난해 7월8일 큐텐(Qoo10)의 미정산 사태로 촉발된 이 사태는 1조8000억 원대의 피해액을 남기고 국내 이커머스 생태계에 뼈아픈 교훈을 남겼다.
서울회생법원 회생3부(정준영 부장판사)는 11월 10일 위메프에 대해 파산을 선고했다. 2023년 7월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한 지 1년 4개월 만, 17차례 회생 계획안 제출 연기 끝에 매각이 무산된 결과다. 위메프의 계속기업가치가 –2234억 원, 청산가치는 134억 원으로 평가되면서 회생 가능성이 완전히 소멸됐다.
■ 10만 명 넘는 채권자, 회수 가능성은 ‘제로’
이번 파산으로 가장 큰 피해를 입은 것은 위메프 플랫폼을 이용한 판매자(셀러)들이다.
검은우산비대위(티메프 피해자 비상대책위원회)에 따르면 위메프의 미정산 채권액은 5800억~6000억 원 규모, 채권자 수는 약 10만 8000명에 달한다. 비대위는 회생 절차 연장을 요구하며 항고장을 제출했지만, 법원이 제시한 항고보증금 30억 원 납부 조건을 충족하지 못해 결국 기각됐다.
이에 따라 피해 셀러들은 은행 신용 하락, 대출 상환 압박 등 이중·삼중의 금융 리스크에 내몰리고 있다. 비대위 관계자는 “정부는 피해 구제책을 약속했지만 실질적 조치는 없었다”며 “은행 대출 상환 압박까지 겹쳐 생계가 위협받는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 티몬도 불안한 회생…PG 계약 불발에 ‘잠재적 휴업’
티메프 사태의 또 다른 축인 티몬 역시 경영 정상화가 불투명하다. 위메프와 함께 회생절차에 돌입했던 티몬은 지난해 오아시스마켓에 181억 원에 인수됐지만, PG사(결제대행사)·카드사 계약 불발로 인해 오픈 일정이 두 달 넘게 지연되고 있다. 당초 9월 재오픈이 예상됐지만, 현재까지 ‘유령 플랫폼’ 상태가 이어지고 있다.
유통업계 한 관계자는 “티메프 사태 이후 유통·커머스 업계 전반의 M&A 투자 심리가 급격히 위축됐다”며 “티몬이 회생에 성공하지 못하면 위메프 사례는 이커머스 투자 전반의 ‘트리거(Trigger)’가 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 전자상거래 신뢰 붕괴…정부 대책은 ‘공백’
티메프 사태는 단순한 기업 부도 사건이 아니라, 전자상거래 신뢰 시스템이 붕괴된 대표적 사건으로 꼽힌다. PG 정산 구조, 선정산 대출, 셀러 자금 보호 장치 등 이커머스 산업의 핵심 인프라 취약성이 여실히 드러났다.
정부는 지난해부터 피해 보상 및 제도 개선을 약속했지만, 정책적 구제는 사실상 전무한 상황이다. 금융 피해의 구조적 개선 없이 파산만 반복된다면, 향후 중소 셀러들의 온라인 진출 자체가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 “티메프 사태는 끝났지만…전자상거래의 신뢰는 무너졌다”
위메프의 파산은 단순히 한 기업의 실패가 아니라, 한국 전자상거래의 구조적 리스크가 현실화된 신호다. 한 업계 관계자는 “티몬·위메프의 몰락은 ‘할인 경쟁’으로만 성장한 플랫폼 산업의 한계를 보여줬다”며 “PG사·정산 시스템을 포함한 이커머스 신뢰 인프라의 리빌딩(rebuilding)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