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잠 건조 승인' 韓美 팩트시트…조선·방산주 급등

  • 등록 2025.11.14 11:46:57
크게보기

핵잠수함까지 포함된 협력문건 공개...증시 반응 폭발
자동차·반도체 관세 15% 상한...조선업 공급망 확대 기대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한·미 관세·안보 협상 ‘조인트 팩트시트(Joint Fact Sheet)’로 공식 발표되면서 11월14일 국내 증시에서는 조선·방산주가 일제히 강세를 보였다.

 

코스피가 미국 기술주 급락 여파로 2% 넘게 하락한 가운데서도 조선·방산 업종만큼은 상승 흐름을 이어가며 시장의 선명한 ‘대비효과’를 보여줬다.

 

엠피닥터에 따르면 이날 오전 11시 기준 동일스틸럭스는 전 거래일 대비 18.70% 급등했다. 대화조선(7.23%), HJ중공업(5.28%), HD현대중공업(1.23%) 등 주요 조선주들의 주가도 동반 상승했다.

 

방산주 역시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현대로템이 각각 2.30% 오르는 등 강세를 나타냈다. 시장에서는 팩트시트가 명시한 조선·방산 협력 확대와 기존 관세 규제 완화 조치가 수혜 기대감을 키웠다는 분석이 나온다.

 

팩트시트는 지난달 29일 경주에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의 후속 문서로, 산업·통상·안보·해양·원전·환율 등 양국 협력의 핵심 내용을 압축해 담은 것이 특징이다. 이날 이재명 대통령은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양국 간 협상이 최종 타결됐다고 직접 발표했다. 백악관도 “韓 공격잠수함 건조 승인, 차량 관세 15% 상한 적용” 등 주요 내용을 공식 공개했다.

 

문서에 따르면 한국 기업의 미국 내 전략산업 투자 규모는 총 3,500억달러로 적시됐다. 이 중 1,500억달러는 이미 확정된 투자이며, 2,000억달러는 신규 MOU 체결이 예정됐다. 미국은 이에 대한 보상 패키지로 한국산 제품에 대해 사실상 15% 관세 상한을 부여하고, 자동차·반도체 장비·의약품 등 기존 Section 232 품목에 대한 추가 관세 부담을 크게 낮추기로 했다.

 

특히 조선·해양 협력 부문이 문서에 대거 포함된 점이 시선을 끈다. 미국은 자국 조선소 현대화 과정에 한국 기업의 투자를 인정하고, 필요할 경우 미국 해군 함정을 한국 조선소에서 건조하는 방안까지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한국의 핵추진잠수함(SSN) 건조 추진도 미국 측이 공식 승인한 만큼 향후 방산·조선 산업의 전략적 확장 기반이 마련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환율시장 안정 방안도 포함됐다. 한국이 미국 내 대규모 투자를 집행하는 과정에서 원화 급락을 방지하기 위해 연간 달러 조달 상한을 200억달러로 설정하고, 시장 변동성이 발생할 경우 투자 시점과 규모 조정 요청이 가능하도록 했다.

 

무역 규제 완화도 폭넓게 담겼다. 미국산 차량의 한국 내 연간 5만 대 인증 면제 규정이 폐지되며, EPA 서류만으로 인증 절차가 간소화된다. 농식품 비관세 장벽 완화, 디지털 서비스 규제 차별 금지, 보험·위치정보 등 데이터 이동 제한 완화, PLT(특허법조약) 가입 추진 등도 포함됐다.

 

안보 협력 강화 조항은 이번 합의의 또 다른 핵심이다. 한국은 국방비를 GDP 대비 3.5% 수준으로 조기 상향하고, 미군 장비 250억달러 구매 및 주한미군 지원 330억달러 계획 등을 제시했다. 미국은 확장억제 공약을 재확인하고 핵협의그룹(NCG) 정례화에 합의했다. 이는 최근 동북아 안보정세 변화 속에서 한·미 동맹의 구조적 결합이 강화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날 국내 증시에서는 조선·방산주만 상승한 것과 달리 대형 기술주와 2차전지주는 큰 폭의 조정을 받았다. 삼성전자는 3.79%, SK하이닉스는 5.39% 하락하며 각각 ‘10만전자’, ‘60만닉스’ 라인이 무너졌다. 네이버(-3.01%), SK스퀘어(-8.81%) 등 IT·지주사 주가도 급락했고, 외국인은 이날 코스피에서만 1조원 넘게 순매도하며 지수 하락을 부추겼다.

 

시장은 이번 팩트시트가 조선·해양·방산업종에 중장기적인 수주 모멘텀을 제공할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실제 수주로 이어지는 과정과 한·미 간 투자·조달 일정 조정 등 세부 실행 단계에서 변수가 적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함께 나온다.

 

김은국 기자 ket@ket.kr
Copyright @경제타임스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