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삼성그룹의 정기 사장단 인사가 사실상 초읽기에 들어갔다.
재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11월20일 오전부터 일부 임원들에게 퇴임 통보를 전달하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는 그룹 전반의 세대교체 신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퇴임 통보가 시작되면 곧바로 사장단 인사가 발표되는 것이 삼성의 통상적 흐름이다.
삼성전자 외 다른 주요 계열사에서도 면담 및 퇴임 절차가 병행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면서, 삼성의 연말 인사 라운드가 공식적으로 가동된 모양새다. 사장단 인사가 단행되면 곧이어 각사 임원 인사가 뒤따르게 된다.
지난해 사장단 인사는 11월 말에 발표됐지만, 올해는 시점이 며칠 앞당겨질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최근 삼성전자가 11월7일 사업지원 태스크포스(TF)를 ‘사업지원실’로 상설 조직화하고 박학규 사장을 실장으로 선임한 바 있어, 조직개편 흐름과 맞물린 인사 타이밍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삼성의 2인자’로 불리던 정현호 부회장이 경영 일선에서 한발 물러난 상황은 이번 인사의 핵심 변수다. 정 부회장의 퇴진 이후 삼성그룹의 핵심 컨트롤타워 역할이 재편되는 가운데, 새로운 축이 어디로 형성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재계에서는 이번 인사에서 부회장 승진자 탄생 가능성, 전영현 DS부문장(부회장)의 겸직 구조 변화, 메모리사업부장 교체 여부 등이 주요 관전 포인트로 꼽힌다. 특히 DS부문은 인공지능(AI) 시대 메모리 경쟁력의 최전방에 서 있는 만큼, 조직 수장 교체 여부는 삼성전자의 중장기 전략에 중대한 메시지를 담게 된다.

DS(Device Solutions)부문은 메모리와 시스템반도체 사업을 총괄하는 삼성전자의 핵심 사업부문이다.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시장을 선도해온 DRAM·NAND 플래시 사업과 파운드리(위탁생산)·시스템LSI 등 시스템반도체 분야를 모두 아우르며, 삼성전자의 반도체 경쟁력을 책임지는 전략 조직으로 평가된다.
DS부문은 메모리사업부, 시스템LSI사업부, 파운드리사업부로 구성되며, 각 사업부가 독립적으로 운영되면서도 기술·투자·공정 혁신 전략을 공유한다. AI·클라우드·고성능컴퓨팅(HPC) 수요 급증으로 글로벌 반도체 시장의 패러다임이 빠르게 변하는 가운데, DS부문은 삼성전자의 중장기 성장성을 좌우하는 사실상의 ‘미래 먹거리’ 사업부로 꼽힌다.
특히 최근 HBM(고대역폭메모리) 등 AI 메모리 시장이 급팽창하면서 DS부문은 글로벌 파운드리 경쟁, 차세대 메모리 기술 개발 등에서 삼성의 위상을 결정짓는 핵심 라인으로 부상했다. 삼성전자 실적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물론, 그룹 전체 전략에도 직결되는 만큼 DS부문의 리더십과 인사 변화는 재계의 높은 관심을 받아왔다.
삼성 내부 사정에 정통한 관계자는 “정현호 부회장의 퇴진, 사업지원실의 격상 등 일련의 조치는 그룹 경영 체계의 세대 전환을 위한 사전 정지작업으로 해석된다”며 “이번 사장단 인사는 삼성의 차세대 리더십을 가늠하는 분수령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