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 새 225만명 떠났다…무너지는 '청약통장 신화'

  • 등록 2025.11.11 09:12:21
크게보기

가입자 2634만명 '8년 만의 최저'…고분양가·가점벽에 이탈 가속
정부 금리·세제 유인에도 효과 미미…청약통장 ‘그림의 떡’ 전락

 

 

경제타임스 이준오 기자 | 청약통장 무용론이 확산 중이다. 최근 3년 3개월 사이 가입자가 225만명 이상 줄어드는 등 청약통장이 더 이상 `내 집 마련의 첫걸음'이 아니라는 인식이 커지고 있다. 높은 청약 가점 경쟁과 함께 분양가 급등, 대출 규제 강화 등이 겹치면서 청약을 통한 내 집 마련이 사실상 '그림의 떡'이 됐다는 지적이다. 

 

11월11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지난 9월 기준 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자는 2,634만9,934명으로 올해 들어 최소치를 기록했다. 전월 대비 2만3,335명 줄었으며 2022년 6월(2,859만9279명) 대비 224만9,354명 감소했다. 가입자 수는 2022년 하반기부터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정부는 청약통장 이탈을 막기 위해 2022년 1월부터 2024년 9월까지 금리를 세 차례 인상하고 소득공제 한도를 연 300만원으로 확대하는 등 유인책을 내놨다. 그 결과 일시적으로 가입자가 늘기도 했지만 반등은 오래가지 못했다. 특히, 올해 7월 이후에는 매달 감소세가 이어지며 제도의 한계가 드러났다.

 

청약 경쟁률도 급락했다. 올해 1∼10월 전국 1순위 평균 경쟁률은 7.1대 1로 2020년(26.8대 1)의 4분의 1 수준에 그쳤다.  청약통장의 매력이 떨어진 가장 큰 원인으로는 '고분양가'와 '높은 가점 경쟁'이 꼽힌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전국 민간 아파트의 3.3㎡당 평균 분양가는 2021년 1,303만원에서 올해 9월 2,118만원으로 약 62.5% 상승했다. 원자재 가격과 인건비 상승이 맞물리면서 분양가가 급등했고 이로 인해 실수요자의 부담이 한층 커졌다는 분석이다.


최근 대출 규제 강화도 시장 위축을 가속했다. 6·27 대책 이후 수도권 주택담보대출 한도가 6억원으로 묶였고 10·15 대책으로 서울 전역과 경기 일부 지역의 주택담보인정비율(LTV)은 무주택자 기준 70%에서 40%로 낮아졌다. 

 

전문가들은 청약통장 감소세가 단순한 '제도 피로감'이 아닌 '진입 장벽의 결과'라고 분석한다. 고분양가 때문에 저렴한 새 아파트를 찾기 어려워졌고 시세 차익이 큰 단지는 높은 가점의 청약통장만 당첨이 가능해 경쟁력이 떨어지고 있다는 게 부동산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이준오 기자 juno@ket.kr
Copyright @경제타임스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