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서울시, '에너지자립마을' 사업 공모…최대 6000만원 지원 주민 참여 에너지절약‧생산 ‘에너지자립마을’ 3월12일~26일 자치구 통해 신청…3년간 최대 6000만원 지원 에너지절약‧생산 실천운동, 자원순환, 녹색교통 등 온실가스 감축사업 자발적 시행 및 컨설팅, 교육, 멘토링 등 지원 김은미 2021-03-12 15:51:56

서울시가 주민들의 자발적 참여로 에너지 자립도를 높이고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에너지자립마을’을 올해 최대 50개소 조성한다고 밝혔다.

 

‘에너지자립마을’은 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에너지를 절약하고 에너지 효율과 신재생에너지 생산을 늘려 에너지 자립도를 높여가는 마을공동체다. 선정된 마을엔 3년간 최대 6000만원의 사업비가 지원된다.

 

서울시는 선정된 마을에 최장 3년까지 지원한다. 사업비는 1년차 최대 1000만원, 2년차 최대 2000만원, 3년차 최대 3000만원이다.

 

서울시는 2012년 사업을 시작한 이래 작년까지 133개소 조성을 마친데 이어, 올해 25개 전 자치구에 1~2개소씩 선정해 지원한다는 목표다.

 

풀뿌리 공동체와 접점에 있는 자치구가 대상지 모집‧선정과 사업 운영, 지역‧현장에 확산의 역할을 맡는다. 서울시는 예산 전액 시비 지원부터 컨설팅, 멘토링 등 전문적 지원을 이어간다.

 

에너지자립마을은 그동안 서울 전역 곳곳으로 확대되며 주민참여 에너지 절약문화 확산, 아파트 전기료 절감 등의 다양한 성과를 거뒀다.

 

작년 자치구와 협력을 통해 발굴한 1년차 에너지자립마을 34개소는 태양광설치 및 LED교체, 에너지사랑방(홍보관) 운영, 에코마일리지 가입, 가정에너지 진단, 주민협력 기반조성 등의 사업을 추진한 바 있다.

 

서울시는 올해 ‘에너지자립마을’ 조성에 참여할 마을을 각 자치구를 통해 12일부터 26일까지 모집한다. 3인 이상 주민모임 또는 단체가 생활공간이 같은 세대 단독주택의 경우 30세대, 공동주택의 경우 50세대 이상을 모집한 후 참여할 수 있다.

 

자치구 홈페이지에서 사업제안서 및 실행계획서 양식을 내려 받아 작성한 후 자치구 환경부서에 제출하면 된다.

 

마을별 특색에 맞게 특화사업을 실시하는 마을이 우선 선정된다. 예컨대, LED전등으로 교체하거나 태양광을 설치하는 등 에너지절약·효율화 사업을 계획하거나, 친환경 전기‧수소차 교체를 추진하며 온실가스 감축에 참여하는 마을 등이다.

 

시는 선정된 각 마을이 사업제안서 작성, 마을비전 설정 등을 할 수 있도록 환경 분야 전문가, 에너지자립마을 출신 컨설턴트가 참여하는 컨설팅을 지원한다. 또한 마을대표 및 마을활동가에게 역량강화 교육도 지원한다.

 

아울러 사업운영에 대한 주민참여를 확산하고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기존 서울시 에너지자립마을과 신규마을을 멘토-멘티로 연결해 우수사례를 공유하는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한편, 서울시는 에너지자립에 대한 인식을 전환하고, 주민참여 문화를 확산시키기 위해 자치구를 대상으로 에너지자립문화 기반 조성 사업비를 자치구별 최대 1000만원을 선별 지원한다.

 

이에 더해 자치구에서는 지역조직과 협력해 에너지절감 실천, 에너지정책 홍보, 에너지체험·투어코스 프로그램 운영, 에너지네트워크 활성화 프로그램을 운영‧활성화할 방침이다.

 

김연지 서울시 환경시민협력과장은 “극단적 날씨의 일상화와 코로나19로 향후 더 큰 재난에 대한 위기감이 높아지고 있다”며 “‘에너지자립마을’ 사업을 통해 마을 중심으로 탄소중립 비전을 공유하고,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다양한 과제들이 실천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의 미래를 지키는 에너지자립마을 사업에 대한 많은 시민들의 지지와 참여를 바란다”고 말했다.

 

2021 에너지자립마을 모집 홍보 포스터 (이미지=서울시)

사회·교육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