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국토부, 2019년말 기준 '전국 도시개발구역 현황 통계' 발표 전국 도시개발구역 524개, 총 면적 167.5㎢···여의도 면적의 약 58배 규모 정문수 기자 2020-03-26 11:55:39

국토교통부가 2019년말 기준 전국 도시개발구역 현황 통계를 발표했다. (경제타임스 자료사진)국토교통부는 17개 광역지자체 등을 대상으로 실시한 도시개발사업 현황조사를 바탕으로 2019년말 기준 전국 도시개발구역 현황 통계를 발표했다.


‘도시개발법’시행 이후 현재까지 지정된 전국 도시개발구역의 수는 524개, 총 면적은 167.5㎢로 여의도 면적의 약 58배 규모이며 이중 218개 사업이 완료되고 306개는 시행 중인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신규 지정된 도시개발구역은 36개로 전년도인 2018년도와 동일한 반면, 지정 면적은 9.4㎢로 전년도에 비해 약 1.6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난 해 신규로 지정된 단지·시가지조성사업의 총 지정 면적 38.2㎢ 중 도시개발구역의 지정비율은 24.6%로 종전에 비해 크게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으며이는 주택시장 안정을 위한 3기 신도시 등 공공주택지구의 신규 지정이 크게 증가해 전체적인 신규 지정 면적이 증가하였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연간 약 7.0㎢의 신규 도시개발구역 지정에 따른 파급효과를 추정한 결과 연간 약 1.7조 원의 자금 투입으로 4.8조 원의 경제적 파급효과와 2.1만명의 일자리 창출효과가 발생되는 것으로 추정됐다.

신규 도시개발사업으로 인한 연간 경제적 파급효과는 생산유발효과 약 3.4조 원, 부가가치유발효과 약 1.4조 원 발생으로 총 4.8조 원에 이르는 경제유발효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사업방식별 시행기간을 보면, 수용방식은 평균 5.2년, 환지방식은 평균 7.5년이 소요되는 것으로 분석되어 수용방식이 환지방식에 비해 사업기간이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524개 구역 중 60.9%가 관할 행정구역 내 기존 도심으로 부터 5㎞ 이내에 입지하고 있고 5㎞ 이상 ~ 10㎞ 미만이 24.0%, 10㎞ 이상 ~ 20㎞ 미만이 13.4%, 20㎞ 이상은 1.7%에 불과해 대부분 기존 도심에 인접해 입지가 결정되고 있으며 도심과 개발입지 간 평균거리는 5.1㎞인 것으로 분석됐다.


관련기사
TAG

사회·교육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