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2025년도 성별영향평가 대상 사업으로 ‘기후미래직업 청년일자리 전문교육 지원’ 등 총 71건을 최종 확정했다고 27일 밝혔다.
성별영향평가위원회
성별영향평가는 정책 수립·집행 과정에서 성별에 따른 영향을 사전에 분석하고 개선안을 제시하는 제도로, 정책 수혜의 형평성과 양성평등 실현을 목표로 한다.
경기도는 실국별 추천을 통해 총 87건의 사업을 제안받았으며, 이후 전문가와 1:1 대면 컨설팅 워크숍을 진행한 뒤 ‘2025년 성별영향평가위원회’ 정기회의를 통해 최종 71개 사업을 선정했다.
주요 평가 대상에는 ▲환경·에너지 분야 전공 청년을 위한 ‘기후미래직업 청년일자리 전문교육’ ▲돌봄 격차 해소를 위한 ‘아동돌봄 공동체 기회소득’ ▲‘버스 노동자 안전 및 근로여건 개선’ ▲‘AI 인재양성’ ▲‘뷰티산업 육성 지원’ 등이 포함됐다. 이들 사업은 성별 수혜 격차가 존재하거나 지역 성평등 지수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평가됐다.
아울러 경기도는 성별 차이에 따른 정책 영향을 심층 분석하는 ‘특정성별영향평가’ 대상으로 ‘공공체육시설’ 사업을 별도 지정했다. 공공체육시설의 구조적 접근성, 안전성, 이용자 성비 등에 대한 개선 필요성이 지적된 데 따른 것이다.
이날 회의에서는 선정된 사업들의 평가 타당성과 함께 정책 개선방안을 집중 논의했으며, 이를 통해 도민의 일상에 밀착된 성평등 실현과 인식 제고를 위한 구체적인 개선 방향이 마련됐다.
경기도는 지난해에도 고립은둔 청년 지원, 버스 운수종사자 양성 등 83건을 성별영향평가 대상으로 삼아 일자리, 복지, 안전 등 분야별 성인지적 정책 개선안을 도출한 바 있다.
윤영미 경기도 여성가족국장은 “성별영향평가위원회의 논의를 토대로 정책에 성평등 가치를 반영해, 도민 누구나 공평하게 혜택을 체감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