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국민 76.3%, “스승의 날이 세종대왕 생신인 줄 몰라” 문화체육관광부, 세종대왕 업적 인식 조사 결과 발표 출산휴가·여론조사 등 세종대왕의 정책은 백성을 향한 마음에서 출발 세종대왕 생신, 국민적 기념일로 자리매김 필요성 제기 김학준 2025-05-13 08:26:44

문화체육관광부와 국어문화원연합회가 세종대왕의 생신과 관련한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국민 76.3%가 5월 15일이 세종대왕의 생신이자 스승의 날인 사실을 모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체육관광부와 국어문화원연합회가 세종대왕의 생신과 관련한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국민 76.3%가 5월 15일이 세종대왕의 생신이자 스승의 날인 사실을 모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체육관광부는 국어문화원연합회와 함께 지난해 국가기념일로 지정된 ‘세종대왕 나신 날’을 맞아 4월 29일부터 5월 5일까지 세종대왕의 생신과 업적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를 진행했다. 이번 조사는 성별, 연령, 지역을 고려한 인구통계 비례 방식으로 총 1,077명이 참여했다.

 

조사에서는 세종대왕의 생일 인지도와 함께 그의 대표적인 정책에 대한 이해도를 물었다. 응답자의 76.3%는 세종대왕 생신과 스승의 날의 연관성을 알지 못했다. 세종대왕의 생신이자 스승의 날인 5월 15일을 정확히 알고 있다고 답한 비율은 60대가 31.5%로 가장 높았고, 10대는 16.7%로 가장 낮았다. 20대와 30대는 평균 22.6%로 나타났다.

 

스승의 날은 1958년 충남의 한 여자고등학교에서 시작된 병상 교사 위문 활동에서 유래됐으며, 1965년부터 세종대왕의 생신인 5월 15일에 맞춰 ‘겨레의 참 스승’ 의미를 담아 지정됐다. 그러나 여전히 많은 국민은 이 같은 배경을 인지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종대왕의 정책에 대한 인식 조사도 함께 이뤄졌다. 그는 1426년 여성 관노비의 출산 휴가를 기존 7일에서 100일로, 1430년에는 130일까지 확대했으며 남편에게도 30일의 휴가를 부여하는 등 복지 정책을 추진했다. 이러한 사실을 정확히 알고 있는 국민은 60.7%였고, 39.3%는 이를 다른 왕의 정책으로 잘못 알고 있었다.

 

또한 세종대왕은 1430년 전국 17만여 명을 대상으로 토지 세금 제도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는 대규모 여론조사를 시행했으며, 이에 대해 알고 있다고 답한 비율은 전체의 58%였다. 연령대별로는 50대와 60대가 평균 66.2%로 높은 인지도를 보였으나, 10대는 36.3%에 그쳤다.

 

그 외에도 ‘농사직설’ 편찬 등 농업 장려 정책에 대해 63.8%, ‘사가 독서’ 제도 등을 포함한 인재 양성 정책에 대해 82.2%, 천문과학 발달 정책에 대해 84%가 알고 있다고 응답했다.

 

유인촌 문체부 장관은 “세종대왕의 정책은 모두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에서 나왔다”며 “이번 조사를 계기로 세종대왕의 업적을 널리 알리고, 5월 15일이 온 국민이 함께 기리는 날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사회·교육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